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768&local_id=10011257
朝鮮中期 道學詩와 生態學的 想像力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朝鮮中期 道學詩와 生態學的 想像力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유호진(단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6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4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자는 생태학적 사유를 탐색하려는 연구시각을 통해 그동안 退溪 李滉의 漢詩와 南冥 曹植의 漢詩를 살펴본 바 있다. 그리고 이를 「退溪 詩의 이미지 연구」(ꡔ퇴계학보ꡕ 116집, 퇴계학연구원, 2004, 12)와 「南冥 詩에 나타난 ‘上達’의 정신경계에 대하여」(ꡔ한국한문학연구ꡕ 36집, 2005, 12)라는 논제로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하여 조선중기 도학자들이 自然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했는 지를 대략 가늠할 수 있었다.
    퇴계는 자연물의 이미지를 통해 욕망을 초탈하려는 마음과 본성을 회복한 마음, 그리고 학문에 정진하는 고결한 인격주체를 형상화해 냈다. 그의 시에 나타난 상승의 이미지와 물의 이미지, 매화 이미지는 각각 이러한 정신적 지향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 퇴계는 자연을 바라보면서 갖가지 욕망으로부터 벗어나 인생의 이상을 도달해야한다는 신념을 다지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퇴계 시에서는 「夕霽登臺」와 같이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감개를 표현한 작품, 「自燕子院向所峴 馬上卽事」와 같이 자연물에서 우주의 원리를 체득하였음을 시사한 작품, 그리고 「春日閑居, 次老杜六絶句」처럼 우주의 원리를 체득한 시인의 인생이상을 묘사한 작품들이 상당량 발견할 수 있다.
    남명의 시에는 정좌수양을 통해 본성을 체득한 시인이 우주의 이법을 관조하는 정황을 시화한 작품들이 많다. 특히 봄 경물을 시인이 자주 묘사한다는 점은 우주의 生機에 대한 그의 주시와 깨달음을 암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연의 활발한 생명력뿐만 아니라 시인의 정신적 자유와 화락한 마음, 그리고 생기가 가득한 활발발한 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자연의 본체와 시인의 정신경지가 드러나 있는 것이다. 그 가운데 생태학적 사유와 관련해서 우리의 시선을 특히 집중시키는 것은 ‘만물을 길러주되 여기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堯舜氣象을 시화한 작품들이다. 남명이 이러한 기상을 형상화한 것은 우주만물을 위해 봉사하고 헌신하면서도 이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조선중기 생태학적 사유의 한 극점이 여기에서 드러난다.

  • 영문
  • [Image Study on the Poem of Toegye]
    In the images of rising up we can notice Toegye's desire to transcend worldly desires. And also the poet who was well aware of the weakness of a human mind emphasized a strong and honest spirit by using rocks and other images of solid object. Clear inner side was what the poet who tried to overcome worldly desire with strong and honest spirit worked toward. This is the explanation for the images of water, moon and wind in his poems. Water image which is transformed into a empty room, a mirror and a window are the main images that show his mind-set. He revealed bright, clear and substantial true character and cool and fresh mind by putting two images together, the image of moon and the image of water. And by combining the image of mirror and the image of water suggested his idea that we should constantly cultivate our mind. The water image in particular helps us to understand the root of his imagination and the intellectual side of him.
    [Mental world of 'sangdal(上達)' represented in Nammyeong(南冥)'s poems]
    The depiction of the mental world which Nammyeong reached through 'Gyeong' study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Nammyeong Dohak. The poet implied an inclination toward the mind, really pure and extremely strong, as an image of water and mountain, which at last means the hope for reaching the true form of the mind which recovered the real nature. Furthermore, he represented the mental freedom and pleasure of harmony which come from 'Muailchae(物我一體)' through works that expressed the mental world which learned the real nature. What attracted us is the fact that such poems mostly give shape to the natural things which emit vitality in spring. This means contemplation of vitality of nature and learning the generation ability of the universe, implying the vital mind of the poet. Especially, the poems, which figured 'yosungisang(堯舜氣象)' suggested the peculiar aspect of his mental world, is noteworth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朝鮮中期 道學詩에 내포된 生態學的 思惟 내지 想像力을 해명하여 이 시기 도학시의 현대적 의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이 시기 대표적인 도학자인 퇴계 이황의 시와 남명 조식의 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退溪 詩의 이미지 연구」(ꡔ퇴계학보ꡕ 116집, 퇴계학연구원, 2004, 12)와 「南冥 詩에 나타난 ‘上達’의 정신경계에 대하여」(ꡔ한국한문학연구ꡕ 36집, 2005, 12)라는 논제로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하여 조선중기 도학자들이 自然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했는 지를 대략 가늠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퇴계는 자연경물을 소재로 하여 욕망을 초탈하려는 마음과 본성을 회복한 마음, 그리고 학문에 정진하는 고결한 인격주체를 형상화해 냈다. 그의 시에 나타난 상승의 이미지와 물의 이미지, 매화 이미지는 각각 이러한 정신적 지향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 퇴계는 자연을 바라보면서 갖가지 욕망으로부터 벗어나 인생의 이상을 도달해야한다는 신념을 다지고 있었던 것이다. 남명의 시에는 정좌수양을 통해 본성을 체득한 시인이 우주의 이법을 관조하는 정황을 시화한 작품들이 많다. 특히 봄 경물을 시인이 자주 묘사한다는 점은 우주의 生機에 대한 그의 주시와 깨달음을 암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연의 활발한 생명력뿐만 아니라 시인의 정신적 자유와 화락한 마음, 그리고 생기가 가득한 활발발한 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자연의 본체와 시인의 정신경지가 드러나 있는 것이다. 그 가운데 생태학적 사유와 관련해서 우리의 시선을 특히 집중시키는 것은 ‘만물을 길러주되 여기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堯舜氣象을 시화한 작품들이다. 남명이 이러한 기상을 형상화한 것은 우주만물을 위해 봉사하고 헌신하면서도 이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조선중기 생태학적 사유의 한 극점이 여기에서 드러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결과
    퇴계는 자연경물을 소재로 하여 욕망을 초탈하려는 마음과 본성을 회복한 마음, 그리고 학문에 정진하는 고결한 인격주체를 형상화해 냈다. 그의 시에 나타난 상승의 이미지와 물의 이미지, 매화 이미지는 각각 이러한 정신적 지향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 퇴계는 자연을 바라보면서 갖가지 욕망으로부터 벗어나 인생의 이상을 도달해야한다는 신념을 다지고 있었던 것이다. 물론 2200여수에 달하는 퇴계의 시가 자신의 인격수양의 면모를 자연물을 빌어 표현하는 데 머물고 마는 것은 아니다. 미처 발표한 논문에 제시하지 못했지만 퇴계의 시에서는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감개를 표현한 작품, 자연물에서 우주의 원리를 체득하였음을 시사한 작품, 그리고 우주의 원리를 체득한 시인의 삶의 이상을 묘사한 작품들이 상당량 발견할 수 있다.
    남명의 시에는 靜坐修養을 통해 本性을 체득한 시인이 우주의 이법을 관조하는 정황을 시화한 작품들이 많다. 특히 봄 경물을 시인이 자주 묘사한다는 점은 우주의 生機에 대한 그의 주시와 깨달음을 암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연의 활발한 생명력뿐만 아니라 시인의 정신적 자유와 화락한 마음, 그리고 생기가 가득한 활발발한 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생태학적 사유와 관련해서 우리의 시선을 특히 집중시키는 것은 ‘만물을 길러주되 여기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堯舜氣象을 시화한 작품들이다. 남명이 이러한 기상을 형상화한 것은 우주만물을 위해 봉사하고 헌신하면서도 이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에서 조선중기 생태학적 사유의 한 극점이 여기에서 드러난다.
    앞으로 연구자가 더 다루어야 할 것은 栗谷 李珥의 시와 花潭 徐敬德의 시이다. 율곡은 자신의 시에 자연경물의 아름다움과 자연에서의 이상적인 삶을 형상화하였다. 얼핏보면 도가의 영향을 받은 자연시처럼 보이는 이런 류의 작품들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는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율곡 자신이 시에서 언급한 것들로 미루어 보건대, 이러한 시들은 도학의 사고가 매우 내밀한 형태로 스며 있는 작품들로 보인다. 유사한 양상이 반복되는 것처럼 보이는 이러한 작품들이 의미하는 바를 범주화하고 구체적인 의미를 검토하여 생태학적 상상력을 추적해보고자 한다. 서경덕의 시 역시 도학자의 시답게 자연과 인간에 대한 성찰이 가득하다. 여기에는 하늘을 바라보며 본성을 깨닫는 과정을 시화한 작품, 그리고 자연 속에서 자신의 마음이 청결해진다는 내용을 진술한 작품, 그리고 자연 속에 살아가는 시인 자신의 생활이상을 시화한 작품, 그리고 자연의 근원과 끊임없이 생성되는 자연물에 대한 사색을 시화한 작품들이 나타난다. 그리 많은 작품이 남아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작품과 작품을 조응시켜 시인이 시를 통해 드러낸 개성적인 자연관을 살펴보기로 한다.

    2) 활용방안
    (1) 강의를 통해 본 연구의 관점과 내용을 전달한다 : 지금의 청소년 세대는 산업사회의 메커니즘에 길들여져 전통문화에 대해 대체적으로 무관심하고 자신들이 향유하는 문명의 병폐에 대한 자각도 낮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태주의와 도학, 한시 등이 서로 접맥되어 있는 연구의 성과를 강의한다면, 젊은 세대에게 물질문명의 위기를 일깨워줄 뿐만 아니라 선인들의 온후하고 자연스러운 인생태도와 접하게 함으로써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삶의 자세를 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2) 조선중기 생태학적 사유에 연계된 다른 연구결과들과 결합시켜 조선중기 정신사의 한 국면을 해명하는 책으로 출간한다 : 이러한 연구성과의 내용들이 일반인에게 확산된다면 생태주의를 표방하는 작가들에게 우리의 지적 자산을 제공하고 독자들에게는 이러한 가치와 미학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심미적 감수성을 자극하고 궁극적으로는 생태학적 이념의 확산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일반인들에게 古典 전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형성하게 할 수도 있다. 好古的인 취미나 막연한 기대에서 오는 고전의 숭상이 아니라 분명한 비전과 가능성을 가지고 고전에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3) 조선후기 한시 이해의 방법론으로 활용한다 : 조선중기의 한시를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이 정해지면 조선중기의 다른 경향의 시나 조선후기 한시를 연구하는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조선중기의 도가나 불가의 사유를 담은 한시나 조선후기에 성행했던 도학시를 위시한 다양한 경향들의 한시가 이런 방법론에 의해 분석된다면 우리나라 생태사상의 윤곽이 대략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조선후기에 天機가 문학이론의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였다는 사실을 고려해보면 이러한 관점이 매우 유효하리라는 전망을 얻을 수 있다.

  • 색인어
  • 道學詩, 생태학적 상상력, 자연관, 李滉, 曹植, 徐敬德, 李珥, 욕망, 우주의 이법, 본성, 生機, 活潑潑, 정신적 자유, 和樂, 堯舜氣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