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770&local_id=10012843
廣州語 수식구조의 語順 특성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廣州語 수식구조의 語順 특성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은정(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6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6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廣州語의 수식구조는 크게 「수식어+피수식어」와 「피수식어+수식어」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중에서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는 그다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표준 중국어와는 상반되는 특징으로 광주어의 특성을 구분 짓는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廣州語에 나타난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를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一, 명사+관형어
    ① 현대 표준 중국어와 상반되는 어순
    ② 동물의 성별(암, 수)을 나타내는 형태소가 관형어로 쓰인 경우
    a. 동물의 성별을 나타내는 경우
    b. 성별을 나타내는 어휘이지만 암수 구분을 하지 않는 경우
    c. 사물이나 사람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경우
    ③ 색깔을 나타내는 형태소가 관형어로 쓰인 경우
    ④ 명사가 관형어로 쓰인 경우(명사+명사)
    ⑤ 형용사가 관형어로 쓰인 경우(명사+형용사)
    ⑥ 동사가 관형어로 쓰인 경우(명사+동사)
    ⑦ 수사가 관형어로 쓰인 경우(명사+수사)
    二, 동사+부사어
    ① 현대 표준 중국어와 상반되는 어순
    ② 형용사가 부사어로 쓰인 경우(동사+형용사)
    ③ 부사가 부사어로 쓰인 경우(동사+부사)
    ④ 동사가 부사어로 쓰인 경우(동사+동사)
    ⑤ 명사가 부사어로 쓰인 경우(동사+명사)
    三, 형용사+부사어
    ① 형용사가 부사어로 쓰인 경우(형용사+형용사)
    ② 명사가 부사어로 쓰인 경우(형용사+명사)
    廣州語는 언어 형성 과정에 있어서 지리적으로 인접해있는 壯侗語族의 영향을 상당수 받았는데, 廣州語에 나타나는 표준 중국어와 상반되는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 역시 이 壯侗語族 언어의 영향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다.
    그렇다면 閩方言이나 客家方言과 같은 다른 방언에서 廣州語와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아마도 이들 방언이 모두 南方方言에 속한다는 공통점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세 가지 방언 즉 粤方言, 閩方言, 客家方言은 歷史적으로 공동 원천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 서로 인접해있기 때문에 언어적인 특성을 공유하기에도 상당히 용이하였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가 이들 세 방언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도 위와 같은 원인에 의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南方方言 이외에 中部方言에서도 이러한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가 나타나는데, 중부방언은 남방방언과는 달리 동일한 어휘에서 「피수식어+수식어」의 형태뿐만 아니라 「수식어+피수식어」의 형태도 동시에 나타난다(예를 들면 吳方言의 ‘猪牯’와 ‘雄猪’, 둘 다 ‘公猪’(수퇘지)라는 뜻). 「수식어+피수식어」의 형식은 북방방언의 특징으로 중부방언은 이렇게 남방방언과 북방방언의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다. 이는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가 남방에서 중부 지역으로 유입되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언어 형식이 남에서 북으로 북상하였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古漢語에서도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놓이는 구조가 등장하고는 있지만, 어휘 원래의 뜻과는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피수식어+수식어」의 수식구조로 볼 수 없다.
    위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는 壯侗語族의 영향을 받은 남방방언이 북상하면서 중부방언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던 것으로, 소수민족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영문
  • A Study on the Property of Word Order of Modification Structure in Cantone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수식구조는 일반적으로 앞에 놓인 수식어가 뒤에 놓인 피수식어를 꾸며주는 「수식어+피수식어」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수식구조는 「관형어+명사」, 「부사어+동사」, 「부사어+형용사」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廣州語의 수식구조는 표준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수식어+피수식어」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와는 상반되는 「피수식어+수식어」의 형태도 상당수 지니고 있다. 이러한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았는데, 廣州語 사전에 수록된 어휘를 근거로 하여 그 특징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문에서는 또한 통시적으로는 古漢語와, 공시적으로는 기타 漢語方言 및 壯侗語族의 언어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古漢語에서 수식어와 피수식어가 도치된 어휘가 출현하기는 하지만 이는 원래 어휘(수식어+피수식어)의 뜻과는 다르기 때문에 「피수식어+수식어」의 형태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古漢語에서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가 존재하였다고는 볼 수 없다.
    漢語方言에서는 北方方言을 제외한 中部方言과 南方方言에서 「피수식어+수식어」의 형태가 나타나는데, 南方方言일수록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中部方言에서는 동일한 어휘에서 南方方言의 형식인 「피수식어+수식어」의 형태와 北方方言의 형식인 「수식어+피수식어」의 형태가 동시에 나타나는데, 이는 북방과 남방 사이에 위치한 中部方言의 지리적인 특성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밖에 소수민족의 언어인 壯侗語族의 언어에서도 이러한 「피수식어+수식어」의 형식이 나타나는데, 壯侗語族의 언어에서는 어휘의 대부분이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廣州語에 나타나는 「피수식어+수식어」의 형식은 기타 漢語方言(중부방언과 남방방언)뿐만 아니라, 소수민족의 언어인 壯侗語族의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광주어에 나타나는 「피수식어+수식어」의 구조는 壯侗語族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후 인근 남방방언에까지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북으로 북상하면서 중부방언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던 것으로, 소수민족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활용방안
    ① 현대 표준 중국어와 相異한 특징 (語順)
    廣州語는 현대 표준 중국어와는 상반되는 어순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중국어학의 이해’라던가 ‘중국어 음운학’ 또는 ‘중국의 문화’와 같은 수업을 진행할 때 이러한 廣州語의 특성을 설명하면서 중국 방언의 다양함에 대해 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드넓은 대륙에 각기 다양한 방언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우리와 같이 표준어만 알면 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의 방언이 아닌 어음과 어휘는 물론 어법 적인 특성조차 상반되는 외국어 같은 방언이라는 것을, 넓은 땅덩어리기에 그만큼 언어도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 것을 인식시켜주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확신한다.
    ② 한국어와 유사한 특징 (入聲)
    현대 표준 중국어와 다른 특성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같은 특성도 연계시켜 강의한다면 학생들이 더욱 더 흥미로워하지 않을까 한다. 廣州語가 같은 漢語계통인 현대 표준 중국어와는 서로 반대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반면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한국어와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入聲’인데 한국어에는 중고시기에 차용해 온 한자음이 아직까지도 남아있기 때문에 入聲이 아직까지도 존재한다. 廣州語의 [-p], [-t], [-k] 入聲은 한국어의 /ᄇ/, /ᄅ/, /ᄀ/ 종성에 대응된다. 이러한 入聲이라는 공통점으로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킨다면 무미 건조하기만한 음운학 과목을 좀 더 활기차고 적극적인 수업으로 진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비록 중국인이라도 방언을 구사하지 못하면 입성을 쉽게 구분해내지 못하는데 우리는 중국인이 아니더라도 입성을 쉽게 구분해낼 수 있으므로 중국인보다 못할게 없다라는 생각을 심어준다면 학생들이 더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③ 중국 方言硏究의 방향성 제시
    廣州語의 어순은 현대 표준 중국어와는 달리 수식 구조에 있어서 「관형어 + 명사」 또는 「부사어 + 서술어」의 어순뿐 아니라 「명사 + 관형어」, 「서술어 + 부사어」의 어순도 지니고 있다. 이러한 粤方言 고유의 특성은 기타 方言硏究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표준어와는 相異한 방언의 특질은 향후의 중국방언연구에 커다란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 색인어
  • 廣州語, 粤方言, 수식구조, 「피수식어+수식어」, 「수식어+피수식어」, 어순, 語法, 漢語方言, 南方方言, 中部方言, 閩方言, 客家方言, 吳方言, 湘方言, 贛方言, 소수민족언어, 壯侗語族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