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793&local_id=10012801
전전이음 [j]와 [w]에 관한 유형론적 분석 (A Typological Analysis on On-glides [j] and [w])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전전이음 [j]와 [w]에 관한 유형론적 분석 & #40;A Typological Analysis on On-glides [j] and [w]& #41;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서정민(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15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서울방언, 전남방언(해남, 강진 그리고 여수를 중심으로), 표준미국영어, 표준불어, 표준독일어 그리고 표준중국어 등에 나타나는 공시적인 현대 언어의 전전이음(on-glides) [j]와 [w]의 음절 내 분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유형론적(typological) 관점에서 개별 언어에 나타나는 전전이음의 음절 내 분포를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의 틀 안에서 제약(constraint)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들 개별 언어에 나타나는 전전이음의 음절 내 분포에 대한 변이(variation)와 공통된 속성(common property)이 개별 언어의 음절구조를 반영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언어 보편적 제약인 *SD, MAX, *COMON, *LHDIP 그리고 OCP와 개별 언어의 음절구조를 반영하는 제약인 한국어의 *SIG, 독일어의 *TNLC와 SIHD 그리고 중국어의 CFS-CVX 등을 제시하여 전전이음의 음절 내 분포에 나타나는 변이와 공통된 속성이 개별 언어의 음절구조를 반영하고 있음을 유형론적 관점에서 규명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1)과 같다.

    (1) 개별 언어간 제약위계
    a. 한국어
    ⅰ. 서울방언: *SD, MAX, *COMON >> *LHDIP >> *SIG
    ⅱ. 전남방언: *SD, *COMON, *LHDIP, *SIG >> MAX
    b. 영어: OCP, *SD, MAX >> *LHDIP >> *COMON
    c. 불어: MAX, *LHDIP >> *SD >> *COMON
    d. 독일어: MAX, *LHDIP, *TNLC, SIHD >> *SD >> *COMON
    e. 중국어: *SD, *COMON, *LHDIP, CFS-CVX >> MAX

    한국어의 제약위계를 정리하면, 서울방언은 전전이음 앞에 자음이 나타나는 경우는 두음에 자음군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전이음이 핵음과 함께 나타나므로 *COMON은 상위에 놓이고 *LHDIP은 하위에 놓인다. 한편, 전전이음 앞에 자음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는 전전이음이 두음에 나타나므로 *SIG는 하위에 놓인다. 그러나 전남방언은 서울방언과는 달리 전전이음이 탈락되기 때문에 *LHDIP과 *SIG는 상위에 놓이고 MAX는 하위에 놓인다. (20a)에 나타난 한국어의 제약위계는 동일한 언어 내에서도 방언간의 변이로 인해 서로 다른 제약위계로 나타남을 보여준다.
    영어의 제약위계를 정리하면, 서울방언과는 동일하지만 전남방언과는 달리 영어는 전전이음이 탈락되지 않기 때문에 MAX가 상위에 놓이고 한국어와는 달리 두음에 자음군을 허용하기 때문에 *COMON이 하위에 놓인다. 특히 영어는 OCP가 상위에 놓인다.
    불어의 제약위계를 정리하면, 한국어나 영어와는 달리 불어는 두음에 공명음의 연쇄를 허용하기 때문에 *SD가 하위에 놓인다. 한편, 영어와는 동일하지만 한국어와는 달리 불어가 두음에 자음군을 허용하기 때문에 *COMON이 하위에 놓인다.
    독일어의 제약위계를 정리하면, 독일어는 불어와는 동일하지만 한국어나 영어와는 달리 *SD가 하위에 놓인다. 한편, 영어나 불어와는 동일하지만 한국어와는 달리 독어는 두음에 자음군을 허용하기 때문에 *COMON이 하위에 놓인다. 특히 독일어는 *TNLC와 SIHD가 상위에 놓인다.
    중국어의 제약위계를 정리하면, 한국어와 동일하지만 영어, 불어 그리고 독일어와 달리 중국어는 두음에 자음군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COMON이 상위에 놓인다. 한편, 중국어는 한국어나 영어와는 동일하지만 불어나 독일어와는 달리 *SD가 상위에 놓인다. 특히 중국어에서는 CFS-CVX의 역할이 두드러진다.

  • 영문
  • In this study, I aimed to show that typological distinction among on-glides [j] and [w] (hereafter on-glides) in the syllable structure results from constraint interaction. There have been three kinds of arguments about the position of on-glides of Seoul dialect, Jeonnam dialect, English, French, German, and Chinese in the syllable structure. The three arguments, Nucleus Hypothesis, Onset Hypothesis, and Tautosyllabic Hypothesis, consider the on-glides in the languages as part of nucleus, onset, and both respectively. The arguments, however, have provided conflicting accounts in reference to analogous evidence. Thus,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position of on-glides in the syllable structure should be explained by 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 based on constraints rather than rules as in Generative Phonolog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영문초록)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ypological distinction among on-glides [j] and [w] (hereafter on-glides) in the syllable structure results from constraint interaction. There have been three kinds of arguments about the position of on-glides of Seoul dialect, Jeonnam dialect, English, French, German, and Chinese in the syllable structure. The three arguments, Nucleus Hypothesis, Onset Hypothesis, and Tautosyllabic Hypothesis, consider the on-glides in the languages as part of nucleus, onset, and both respectively. The arguments, however, have provided conflicting accounts in reference to analogous evidence. Thus,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position of on-glides in the syllable structure should be explained by 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 based on constraints rather than rules as in Generative Phonology.

    (국문초록)

    본 논문은 서울방언, 전남방언(해남, 강진 그리고 여수를 중심으로), 표준미국영어, 표준불어, 표준독일어 그리고 표준중국어 등에 나타나는 공시적인 현대 언어의 전전이음(on-glides) [j]와 [w]의 음절 내 분포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형론적(typological) 관점에서 개별 언어에 나타나는 전전이음의 음절 내 분포를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의 틀 안에서 제약(constraint)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겠다. 그리고 이들 개별 언어에 나타나는 전전이음의 음절 내 분포에 대한 변이(variation)와 공통된 속성(common property)이 개별 언어의 음절구조를 반영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개별 언어에 나타나는 전전이음의 음절 내 분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에 문제점을 지적하겠다. 제 3장에서는 개별 언어에 나타나는 전전이음을 유형별로 분석하겠다. 제 4장에서는 제 3장에서 살펴본 자료를 토대로 Prince & Smolensky(1993)의 최적성이론에 의한 제약중심으로 분석하겠다. 제 5장은 결론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개별 언어의 음절구조가 선행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개별 언어의 후전이음(off-glides)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 뿐만 아니라 개별 언어의 강세(stress)dp eogks 를 유형론적 연구도 시도하겠다. 아울러 학부생들에게도 음절구조에 대한 보다 폭 넓은 강의를 시도하겠다.
  • 색인어
  • on-glides, variation, common property,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on-glides, variation, common property,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on-glides, variation, common property,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