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808&local_id=10010953
학교 교육의 과거 50년 교육성과 평가를 통한 미래 50년 발전 방안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교 교육의 과거 50년 교육성과 평가를 통한 미래 50년 발전 방안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홍수(한국교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5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가 시작된 2004년은 제1차 교육과정이 고시된 지 50년이 되는 해로서, 우리나라 교육의 반세기를 결산하는 의미에서 지난 시기의 교육의 중요한 영역을 유·초·중등별로 분석하여 회고하였다. 동시에 문제점과 개선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의 질적 도약을 위한 계기를 마련하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교육 이념, 교육과정, 교육 정책, 학교 교육의 미래를 주제로 총론 부분의 연구를 진행하였고,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반성하며,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국내외의 전문가와 명망 있는 학자들을 연구위원으로 위촉하여 수행하였다.
    총론 부분은 기조 강연을 포함하여 8명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진행하였고, 교과 교육과정 영역은 유아교육과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 포함된 초·중등 10개 교과에 걸쳐 42명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국 규모의 학술 심포지움을 통해서 발표와 지정 및 자유 토론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학자, 교과 전문가, 연구원, 현장 교원들 간에 연구 결과를 확산시키고 공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학교 교육의 미래에 대해서 한국, 미국, 중국, 프랑스의 관계자들을 초빙하여 최근 제기되고 있는 미래 학교 교육의 발전 방향과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의견과 사례를 청취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적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학교급별 교과 교육과정에 대해서 해당 분야를 전공하고 많은 연구를 수행해 온 교과교육 전문가들이 발표자와 토론자로서 공동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교과 교육의 입장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 반세기를 반성하고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과 교육과정별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평가 방법, 교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학교 교육 성과 제고 방안 등은 우리나라 교육의 당면 과제인 학교 교육력의 신장을 통한 공교육의 정상화를 기하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영문
  • The year 2004 in which this study started was the fiftieth year after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had been notified. The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main educational issues of the past. At the same time, improvements for those issues are given for the benefit of quality education of this country.

    To fulfill these developments,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for an idea of education, curriculum, educational policies, future of education and the curriculums of every schools such as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junior high schools and high schools.

    As for an idea of education, eight researchers have done the research together including the basic starting preview. Forty two researchers have research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s for ten subjects in the junior high schools and high schools which include infant education. By the medium of national wide symposium, scholars, subject experts, researchers and teachers have been able to communicate and share what they have in mind.

    Especially it had been helpful to invite and listen to the educational experts from Korea, United States, China and France. It also have been beneficial to have talks with subject experts who have done a number of researches on their subject-related curriculums repectively, which gave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past and the future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purpose,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educational methods and the evaluating methods suggested in this research will be a useful guide for placing the public education on the right track.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가 시작된 2004년은 제1차 교육과정이 고시된 지 50년이 되는 해로서, 우리나라 교육의 반세기를 결산하는 의미에서 지난 시기의 교육의 중요한 영역을 유·초·중등별로 분석하여 회고하였다. 동시에 문제점과 개선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의 질적 도약을 위한 계기를 마련하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교육 이념, 교육과정, 교육 정책, 학교 교육의 미래를 주제로 총론 부분의 연구를 진행하였고,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반성하며,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국내외의 전문가와 명망 있는 학자들을 연구위원으로 위촉하여 수행하였다.
    총론 부분은 기조 강연을 포함하여 8명의 연구자가 공동으로 진행하였고, 교과 교육과정 영역은 유아교육과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 포함된 초·중등 10개 교과에 걸쳐 42명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국 규모의 학술 심포지움을 통해서 발표와 지정 및 자유 토론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학자, 교과 전문가, 연구원, 현장 교원들 간에 연구 결과를 확산시키고 공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학교 교육의 미래에 대해서 한국, 미국, 중국, 프랑스의 관계자들을 초빙하여 최근 제기되고 있는 미래 학교 교육의 발전 방향과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의견과 사례를 청취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적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학교급별 교과 교육과정에 대해서 해당 분야를 전공하고 많은 연구를 수행해 온 교과교육 전문가들이 발표자와 토론자로서 공동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교과 교육의 입장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 반세기를 반성하고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과 교육과정별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평가 방법, 교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학교 교육 성과 제고 방안 등은 우리나라 교육의 당면 과제인 학교 교육력의 신장을 통한 공교육의 정상화를 기하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국내의 권위 있는 각 영역의 최고 전문가들이 학교 교육 50년의 성과를 반성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교육의 이념, 교육 정책, 교육과정, 그리고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 속하는 초·중등학교 10개 교과교육의 교육 목표, 교육내용, 교육 방법을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국제적으로 명망있는 학자들을 초빙하여 외국과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미래를 전망하고 학교 교육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새로운 학문적인 영역을 연구할 수 있는 기초를 제시하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국내·외의 저명한 교육학자 및 교과교육 전문가들이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전국 학술 대회를 통해서 발표하고 토론함으로써 전국의 교원, 학자, 전문가들이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고 학교 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대안과 비전을 마련하는 기회가 되었다.
    셋째, 본 연구가 결과를 토대로 교육인적자원부 및 16개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학교 교육의 성과와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를 마련함으로써 학교 교육에 대한 보다 타당한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교육 철학, 교육 행정, 교육과정, 초·중등 교과교육 분야에 종사하는 학자와 전문가, 현장 교원들이 과거와 현재의 우리나라 교육의 실상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미래의 비전과 대안을 제시한 종합적 연구와 학술대회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교육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문제시 되는 단편적인 이해와 접근 방법을 넘어서 학제적이고 범교과적 시각에서 교육 문제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색인어
  • 학교교육, 교육이념,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개정, 교과 교육과정, 유치원 교육과정, 초중등 교육과정, 교육정책,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내용 선정, 교육방법, 교육평가, 평가준거, 교육제도, 교원양성, 국민공통기본교과, 교육법령, 학교교육의 미래, 교육과정의 고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