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809&local_id=10010506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만족지수 및 지표 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만족지수 및 지표 개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양분(한국교육개발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5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5년 08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교육 관련 주요 집단에 학교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체계적으로 측정하여 제시할 수 있는 교육 만족 지표와 지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각 교육 관련 수요자인 학생, 학부모, 교사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지표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주요 만족도 평가 요소를 선정하며, 각 평가 요소별 중요도를 산정하고, 학교 교육에 대한 만족 정도를 함축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만족지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ㆍ중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다루었다. 첫째, 교육 만족도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초ㆍ중ㆍ고등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만족도를 조사할 수 있는 측정 지표를 개발한다. 둘째, 측정 지표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조사 항목 및 문항을 개발하고 이에 근거하여 조사 도구를 구성한다. 셋째, 이 도구를 통해 확인되는 교육 수요자 집단의 교육 만족 점수를 지수화할 수 있도록 만족 지표별 가중치 산출 방법을 제시하고, 넷째, 우리나라의 초․중등 학생, 학부모, 교사의 대표 표집에 대해서 교육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대상별, 학교급별, 16개 시․도별, 도시 규모별 등에 대해서 만족도 지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근거해서 만족도 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여 조사 영역과 측정 지표 및 문항, 지표별 가중치 산출 방법을 개발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결과와 조사 대상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조사지를 수정․보완하였다. 521개 초·중·고 학생 17,195명, 학부모 17,195명, 교사 15,6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 83.55%, 학부모 72.13%, 교사 67.04%의 회수율을 보였다. 조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만족 지표별 가중치와 만족도 지수, 그리고 학생과 학교의 투입 변인을 통제한 교정 만족 지수를 산출하였다.
  • 영문
  •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Satisfaction Measurement Indicators and Indexe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Educ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education satisfaction indicators and indexes to systematically measur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education and provide measured levels to main education-related groups. To this end, the study intended to develop indexes able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 the main customers of education. In addition, main satisfaction evaluation elements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element were to be drawn up to suggest scientific and systematic education satisfaction indicators that can comprehensively indicat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education.
    To fulfil these objectives, the study dealt with the following: first, it analyzed past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 satisfaction levels to develop indicators to survey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their parents, and teachers at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specific survey items and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measurement indicators, and survey tools were prepared based on these items and questions; third, a method for calculating weights by satisfaction indicator was suggested to translate education satisfaction scores given by education customer groups and identified through the survey tools into indexes ; fourth, education satisfaction surveys of representative groups of students, their parents, and teachers at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conducted, and satisfaction indexes were generated by survey subject, school level, 16 cities and provinces, and city size; and lastly, directions for improving education policies were proposed so that education satisfaction indexes could be improved.
    In this regard, past research and related documents were studied, research areas, measurement indicators, questions and weight calculation methods by indicator were defined, and experts were consulted to review their appropriateness. In addition,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then revised to reflect the survey results and the opinions of the survey respondents. 17,195 students, 17,195 parents, and 15,630 teachers from 521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surveyed, and 83.55%, 72.13%, and 67.04% of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sponded, respectively. Futhermo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tools were tested, and as a result, weights by indicator, satisfaction indexes, and revised satisfaction indexes that controlled inpu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and schools were produced.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ions were provided regarding education policies and proposal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 구 요 약


    이 연구는 교육 관련 주요 집단에 학교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체계적으로 측정하여 제시할 수 있는 교육 만족 지표와 지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각 교육 관련 수요자인 학생, 학부모, 교사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지표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주요 만족도 평가 요소를 선정하며, 각 평가 요소별 중요도를 산정하고, 학교 교육에 대한 만족 정도를 함축적으로 보여 줄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만족지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ㆍ중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다룬다. 첫째, 교육 만족도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초ㆍ중ㆍ고등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만족도를 조사할 수 있는 측정 지표를 개발한다. 둘째, 측정 지표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조사 항목 및 문항을 개발하고 이에 근거하여 조사 도구를 구성한다. 셋째, 이 도구를 통해 확인되는 교육 수요자 집단의 교육 만족 점수를 지수화할 수 있도록 만족 지표별 가중치 산출 방법을 제시하고, 넷째, 우리나라의 초․중등 학생, 학부모, 교사의 대표 표집에 대해서 교육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대상별, 학교급별, 16개 시․도별, 도시 규모별 등에 대해서 만족도 지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근거해서 만족도 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여 조사 영역과 측정 지표 및 문항, 지표별 가중치 산출 방법을 개발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결과와 조사 대상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조사지를 수정․보완하였다. 521개 초·중·고 학생 17,195명, 학부모 17,195명, 교사 15,6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 83.55%, 학부모 72.13%, 교사 67.04%의 회수율을 보였다. 조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만족 지표별 가중치와 만족도 지수, 그리고 학생과 학교의 투입 변인을 통제한 교정 만족 지수를 산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교육 만족도 지표 개발과 만족도 지수 산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만족도 조사 도구는 5개 영역, 15개의 측정 지표로 구성되었다. 학부모 만족도 조사 도구는 학생 만족도와 동일한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학교 운영 영역에 학부모 의사결정 참여 지표를 추가하여 총 16개의 측정 지표로 구성되었다. 교사 만족도 조사 도구는 4개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총 17개의 측정 지표를 포함한다.
    둘째, 최종적으로 선별된 지표 구성 문항의 수는 학생 만족도 도구 74문항, 학부모 만족도 도구 79문항, 교사 만족도 도구 56문항이다.
    셋째, 학생, 학부모, 교사 만족도 조사 도구에서 측정 지표별로 내적 합치도 지수(alpha)가 .525 이상이고 측정의 표준오차가 양호한 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표 간 상관 및 지표-총점 간 상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지표들의 상호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넷째, 지표별 만족도 지수는 학생의 경우, 초등학교가 다른 학교급에 비해서 높았으며, 사회․심리적 환경 영역의 교우 관계, 교사 자체, 교내 비폭력과 교수-학습 활동 영역의 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반면, 학교 운영에 있어 의사결정 참여와 교수-학습 활동에 있어 동기 유발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학부모의 지표별 만족도 지수도 초등학교 학부모의 만족 지수가 다른 학교급의 학부모들에 비해 높았다.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심리적 환경 영역의 교우 관계, 교사 자체, 교내 비폭력과 교수-학습 활동 영역의 평가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반면, 학교 운영에 있어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낮았다. 교사들의 경우는 교사들의 직무 성과, 교사 관계, 학교 분위기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반면, 생활지도 및 직무 부담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지표별 부하량을 산출하고, 부하량의 합에 대해 지표별 부하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그 지표의 가중치로 산정하여 지표별 만족 지수, 개인별 전체 만족 지수, 교육 만족도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여섯째, 학생 만족도 지수는 100점 만점에 62.67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생의 교육 만족도 지수는 낮아졌다. 도시 규모별로는 읍․면지역이 가장 높고, 중․소도시와 서울은 평균 이하의 지수가 산출되었다. 학부모 만족도 지수는 100점 만점에 67.90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학생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부모의 교육 만족도 지수는 약간씩 낮아졌다. 도시 규모별로는 광역시가 가장 높았으며 서울과 읍․면지역이 평균 이상을 나타내었다. 교사의 교육 만족도 지수는 100점 만점에 63.74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 만족도 지수는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낮아졌으며, 도시 규모별로는 광역시가 가장 높고, 읍․면지역, 중․소도시, 서울 순이었다. 시․도 교육청별로는 전체 만족도와 모든 학교급에서 부산 교육청의 학생, 학부모, 교사 만족도 모두가 가장 높았다.
    일곱째, 학생의 교정 만족도 지수는 61.69로 중간보다 약간 낮았다. 학부모 교정 만족도 지수는 67.74로 중간보다 약간 높았다. 교사의 교정 만족도 지수는 61.94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만족도 조사 도구와 만족 지수는 초·중등학교의 교육 수요자인 학생, 학부모, 교사의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지수를 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만족도 조사 도구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국가와 시ㆍ도의 교육 정책이 학교 교육을 통해 구현되는 과정과 결과로서의 교육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가를 조사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교육 정책이 적용되는 교육 현장의 반응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교육 정책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조사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교육 만족도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교육 환경과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 노력에 대한 효과성을 판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가 개발한 조사 도구를 2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는 시ㆍ도교육청 평가에서 각 시ㆍ도 교육청의 교육 만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교육 만족도 지수, 교육 만족 지표, 교정 만족도, 가중치, 주성분 분석, 다층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