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820&local_id=10011790
통합체육 수업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한 체육교사의 필수 요건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통합체육 수업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한 체육교사의 필수 요건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노형규(Univ. of Virginia)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4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7월 0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포함한 학령기 장애아동 53,404명 중 절반이 넘는 29,212명이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으며, 이 중 2,344명이 일반학급에 소속을 두고 있다는 사실(교육인적자원부, 2003)은 통합교육 및 통합체육의 사안들이 더 이상 간과되거나 방치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내 통합체육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통합체육에 대한 전문가가 직접 관여하고 있는 버지니아 주 공립학교들의 통합체육 수업을 관찰하고 관련자들을 면담함으로써 그들의 통합체육 수업 및 교사의 지도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통합체육 수업 진행에 필요한 체육교사의 핵심적인 준비 요건을 심층 이해하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자의 관찰과 면담, 수업현장 기록, 비디오 촬영과 같은 세부 자료수집 기법이 활용되었다. 연구가 진행되는 초기에 연구자는 통합체육 수업을 시행하는 3개 학교를 선정하여 각각의 수업상황을 관찰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각 수업들의 공통성 및 일반성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 중 가장 바람직한 통합체육 수업이 진행되었던 1개 학교를 선정한 후 민속지학(ethnography)적 입장에서 집중 관찰 및 면담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자의 접근 방식은 문화적 기반이 다른 국외의 상황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기 위한 방편이었으며, 연구 문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상황을 선택하고 그것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탐색과 이해를 위한 것이었다. 연구자가 선정한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연구자는 2005년 봄 학기(3월 10일-5월 30일) 동안 유목적으로 선정한 3개 공립 초등학교에 대한 참관을 학교당(총 3개 학급) 주 2회 시행하였다. 초기 3개 학교에 대한 참관은 비참여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참관 과정에서 의미 있는 상황과 제보자들의 행동은 개인 휴대용 녹음기를 이용하여 연구자의 음성으로 녹음하였다. 연구 제보자들과의 면담은 미리 선정한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면담지〈부록 1〉로 학기 시작과 끝나는 시기에 공식적으로 2차례 진행하였지만 추가적인 사항들에 대해 수업 전후 비공식적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유발되는 연구자의 의문 사항은 e-mail을 통해 수시로 담당 교사에게 질문되고 구두 또는 e-mail로 답변 받았다. 봄 학기가 끝나면서 연구자는 1차 자료 분석을 통해 1개 학교(BWE school)를 집중 관찰 대상으로 선정하고 가을 학기(9월 1일-11월 28일)동안 3개월 간(주 2회) 해당학교에 대한 참여관찰과 비참여 관찰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은 통합체육 수업 진행과정에서 체육교사들이 나타내는 태도와 지도방법 및 수업운영 방식을 확인하고 관계자들 사이에 상호작용의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보자로부터 획득한 자료는 수정 없이 전사하여 제보자 확인 절차를 거쳤으며 제보자들로부터 자료 왜곡여부를 확인한 결과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허락을 받았다. 자료 분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구자 개인의 편견 및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버지니아 대학의 특수체육 전공교수와 자료의 분류 및 하위 주제 생성에 관한 협의를 시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기초 부호화의 영역을 구체화할 수 있었으며, 핵심 주제어 도출에 관한 조언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과정 중에는 자료 분석 결과에 대한 진실성을 높일 수 있도록 관찰자료와 면담자료를 상호 비교하는 다각도검증법(triangulation)이 적용되었다.
    1차와 2차로 나누어 총 8개월간 진행된 관찰과 면담을 통해 통합체육 교사들에게는 ‘개인적 인성과 태도’, ‘특성화된 지도법’, ‘역할구조의 선정과 협조’의 핵심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하부 요소로는 ‘열린 마음에서의 출발’, ‘카멜레온 표정 갖기’, ‘창의적 변형은 있지만 독단적 변칙은 없다’, ‘나만의 행동관리법은 수업 진행의 윤활유’, ‘수준에 따른 평가 내용과 방식’, ‘적극적인 정보의 생산과 공유’, ‘혼자 할 수도 없고 혼자해서도 않된다’, ‘늘 함께 지도하는 것만이 통합체육은 아니다’의 핵심 요소들이 통합체육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일반학교 통합체육을 수행하고 있는 체육교사들에게 필요한 준비 요건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준비를 갖추고 통합체육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체육교사 재교육 및 예비 체육교사 양성교육에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 영문
  • General physical education(GPE) teachers have faced too many challengers when they working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lso most of researches that have reported negative effect of inclusion have indicated the problems of GPE teacher’s mishandle (Liberman et al, 2002; Chandler,& Greene, 1995; Hyoungkuy Roh, 2004). In the other hand, positive effect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have been found in effective teacher’s implementa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are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the GPE teachers to implemen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effectively. To explore the theme was selected qualitative methods. Participants were selected qualified 3 GPE teachers purposively because we need to observe model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hich well be run by GPE teacher. rsearcher observed to make field note fou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ich have been run by participants during about 8 months(16 times/each class). Corr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s. We will use inductive content analysis(Patton, 1990) and domain analysis which was recommended by Spradley(1980).
    The results were inducted three domains about 'individual human nature and attitude', 'specialized instruction', and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role organization'. The 'Individual human nature and attitude' have sub themes related 'Open mind' and 'chameleonic expression'. The ''specialized instruction' have sub themes related 'threr are creative adaptions but there is not arbitrary irregularity', 'Effective using of behavior management', and 'selection of reasonable evaluation'. The last, the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role organization' have sub themes related 'Production and co-ownership of information', 'Using the human resource', and 'Mix inclusive and pull out instruction'.
    These results to be vitally important to how universities in korea will train future General Physical educator and how to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deal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included in their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We can use this results for more effcient implement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but we must consider that cultures of america are different ours so we need more careful interpretation this resul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체육수업을 수행하는 통합체육 수업을 참관하고 이를 주도하는 통합체육 교사 및 관계자들을 면담함으로써 일반학교의 체육교사가 효과적인 통합체육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요건들을 갖추어야 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통합체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미국 버지니아 주의 3개 학교의 수업을 유목적으로 선정한 후 총 8개월 간 관찰하고 주요 연구문제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관찰이 진행되는 동안 연구자는 연구주제와 관련된 상황들을 참관일지 형태로 기록하였고 연구제보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면담일지를 작성하였다. 통합체육 수업 상황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질적연구 방법 중 하나인 내용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통합체육 수업을 위해 일반체육 교사에게 요구되는 것은 ‘열린 마음에서의 출발’, ‘카멜레온 표정 갖기’, ‘창의적 변형은 있지만 독단적 변칙은 없다’, ‘나만의 행동관리법은 수업 진행의 윤활유’, ‘수준에 따른 평가 내용과 방식’, ‘적극적인 정보의 생산과 공유’, ‘통합과 분리의 융통성’이라는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통합체육 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적 요건들이 국내 문화적 특성 및 관련 지원서비스 와 연계됨으로써 효과적인 통합체육의 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결과>
    본 연구는 미국 버지니아주 공립학교들의 통합체육 수업에 대한 관찰과 통합체육 교사 및 통합체육 협력교사 등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해 효과적인 통합체육 수업에서 나타나는 일반체육 교사들의 특징을 탐색하고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효과적인 통합체육의 수행을 교사들의 개인적인 준비 요건에 의해서만 해석하기에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합체육 교사에게 요구되는 개인적 필수요건과 함께 독특한 제반 요건이 존재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제반 요건들은 통합체육 교사가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통합체육 교사의 개인적인 준비 요건들과 유기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 및 분석 단계에서 통합체육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만드는 통합체육 교사의 개인적 준비 요건과 함께 통합체육을 수행 가능하게 하는 제반 요건들을 추가연구문제로 선정하여 각각의 핵심 주제어들을 도출하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구조화 하였다. 1차와 2차로 나누어 총 8개월간 진행된 관찰과 면담을 통해 통합체육 교사들에게는 ‘개인적 인성과 태도’, ‘특성화된 지도법’, ‘역할구조의 선정과 협조’의 핵심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하부 요소로는 ‘열린 마음에서의 출발’, ‘카멜레온 표정 갖기’, ‘창의적 변형은 있지만 독단적 변칙은 없다’, ‘나만의 행동관리법은 수업 진행의 윤활유’, ‘수준에 따른 평가 내용과 방식’, ‘적극적인 정보의 생산과 공유’, ‘혼자 할 수도 없고 혼자해서도 않된다’, ‘늘 함께 지도하는 것만이 통합체육은 아니다’의 핵심 요소들이 통합체육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활용방안>
    최근 장애학생들이 일반학교로 통합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지만, 일반학교 체육수업에서의 통합은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통합체육의 부실 문제는 그 동안 여러 가지 원인이 지적되어 왔으며 특히 통합체육 수업을 주도하는 일반학교 체육교사의 기능적 역할 부족이 가장 문제시 되어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진 외국의 통합체육 수업에서 체육교사들의 바람직한 역할 수행을 심층 분석하여 그들에게 요구되는 준비요건을 제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기대를 할 수 있다.
    첫째, 통합체육 수업을 진행하는 일반 학교 체육교사의 교육 연수의 지침이 되어 보다 효과적인 통합체육 교사의 역할을 촉진 할 수 있다.
    둘째, 체육교사 양성 기관의 교과과정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영역을 개발하는 데 근거로 제공될 수 있다.
    셋째, 일반학교 장애학생 체육수업에 요구되는 기타 제반 서비스에 대한 확충을 요구하는 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넷째, 효과적인 통합체육의 수행으로 일반학교에 진학한 장애학생들의 체육 수업을 충실화함으로써 신체기능 및 생활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섯째, 궁극적으로 양질의 통합체육 수업을 장애학생 및 비장애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효과적인 사회통합을 유도할 수 있다.
  • 색인어
  • 통합체육, 일반체육교사의 준비요건, 통합체육 교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