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841&local_id=10012749
영국의 교사 교육 제도: 영국의 교사교육기관은 예비교사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가?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영국의 교사 교육 제도: 영국의 교사교육기관은 예비교사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가?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무남(강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5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6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영국의 교사교육은 교회의 자선활동의 일환으로 출발하였다. 국가가 교사교육의 모형과 틀을 제공한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교사교육은 초등학교에 부설된 트레이닝 콜레지(Training College)에서 출발하였다. 그 방법은 모니터제도와 도제교육방식을 택하였다. 트레이닝 콜레지는 그 뒤 교육대학(College of Education)으로 그 이름을 바꾸고 보다 발전된 모습을 갖추었다. 이때 교사교육의 목적은 도덕적 품격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는데 모아졌다. 따라서 교사로서의 전문 지식이나 기술은 매우 미흡하였다.
    트레이닝 콜레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교사교육이 유니버시티의 교육학과 또는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대학(School of Education)에서 이루어 졌다. 이때 교사교육은 유니버시티의 이념을 따라 이론을 가르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학문 탐구의 결과로서 교육이론은 학교 현장이 요구하는 것으로부터 괴리되었다.
    20세기 후반 영국의 교사교육은 새로이 틀바꿈을 하였다. 이른바 학교 현장 중심 교사교육(school-based teacher training)이다. 현장 중심 교사교육은 교육이론의 성격을 바꾸었다. 교육이론을 이론적 학문탐구의 결과가 아니라, 교육의 실제로부터 창출되는 실천이론으로 재규정한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교육연구의 방법으로 실천연구(action research)를 그 중요한 방법으로 택하였다.
  • 영문
  • Teacher training in England has been developed at the charity schools in London and other places, which were run by the Church of England and by the Society of Friends. This means that the government did not controled teacher education until 18th century in England. Teacher training began its historical start at the Training College at elementary schools. Monitorial system and apprenticeship were the methods of teacher training. Training Colleges were transformed into independent College of Education. Training College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moral character of teacher candidates and therefore lacked seriously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eaching.
    Training Colleges had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ies and became university departments or schools of education. Accordingly, the aim of teacher training at the level of university was to teacher the teacher candidates academic theories related to education. However, the theories universities taught were notoriously discorded with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later half of 20the century English teacher education innovated its from and reestablished a new system of teacher education, which is known as 'school-based teacher education'. School-based teacher education changed the concept of education theory are not of the academic or theoretical ones; they are rather conceived as the theories or believes which are developed from education practices. Action research, inthis regard, is recommended as the most proper way of education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연구 주제가 제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이 연구는 교사양성기관에서 가르쳐야 할 교육이론이 어떤 성격의 것이어야 하는가를 밝히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우선 영국에서 지금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양성체제와 교사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들에게 가르치는 교육학이 어떤 것인가를 확인하고, 왜 그와 같은 정책을 취하는지를 통사적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영국의 교사교육은 정부의 교사교육정책에 의해서 시작된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종교적 자선활동의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벨(Bell)과 랑카스터(Langcaster)에 의해서 시작된 영국 교사교육은 모니터제도와 도제교육방식을 따라 구빈원(workhouse)에 설치된 초등학교에서 시작되었다. 교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은 학교에 다니는 동안 동료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교사가 되는 훈련을 받았다. 이른바 학생교사들이었다. 학생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기관이 출현하였다. ‘Training College’, 우리말로 교원교육원이었다.
    트레이닝 콜레지에서 기르고자 한 교원의 전문성은 도덕적, 인격적인 것에 모아졌다. 지적인 것보다 교사들의 소유해야 될 품격에 관한 것이었다. 트레이닝 콜레지의 교육은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교사의 교과내용에 관한 지식도 교직을 수행하는 능력도 제대로 길러주지 못하였다. 트레이닝 콜레지의 교육은 유니버시티에서 담당하게 되었다.
    유니버시티의 교사교육은 예비교사들에게 이론적 지식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른바 ‘교양인으로서 교사’를 양성하는 것이 유니버시티에서 이루어지는 교사교육이었다. 그러나 이론적 지식이 교사들의 전문지식이 될 수 있느냐에 대한 회의가 일기 시작했다. 대학에서 가르치는 교육이론은 교육학의 모학문인 철학, 역사, 심리학, 사회학의 이론을 교육의 실제에 적용하는 것이었다. 일반 학문에서 이끌어낸 이론은 교육의 실제와 괴리관계에 있었다.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의 차이가 있었다.
    영국의 교사교육은 1970년대에 학교 현장중심 교육으로 바뀌었다. 유니버시티의 교사교육은 교육전문지식을 가르치는데 부적합했기 때문이다. 학교 현장중심 교육은 교사들의 전문지식을 실천적 지식으로 규정한다. 교육의 실제를 이끌고, 개선할 수 있는 지식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교육의 실제에 관한 실천연구(action research)를 중요한 교육연구방법으로 여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교육이론의 본질 문제는 교육전문지식에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교육이론의 본질을 우리가 얼마나 합당하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교사들이 소유해야 할 지식의 성격과 교직의 전문성에 관한 개념이 달라진다. 영국 교사교육은 궁극적으로 교육이론의 본질을 찾는 역사였다. 영국 교사교육은 200년의 역사를 이어오면서 교육전문지식의 본질을 이론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적인 것으로 확인하여 왔다. 그 결과 오늘날 영국의 교사교육은 대학과 콘소시엄을 맺고 있는 현장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실천적 지식의 추구를 위해서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로 이 연구 결과는 교사교육에서 교육학 교육의 올바른 모습을 찾는데 기여할 것이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사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학 교육은 그 적합성을 상실했다는 비판이 많다. 교과를 전공하는 예비교사들은 교과를 가르치고 학교에서 교육 활동을 하는데 교육학이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불만을 토로한다. 교육학은 예비교사들의 관심 밖에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실제로 교사양성기관이 가르친 교육학 이론은 학교 현장에 직접 적용될 수 없다는 주장이 많다.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교육학에 대한 불신은 교육이론이 순순 이론이거나 기술공학적 이론에 그치고 있는 데에서 기인한다. 여기에 비추어 이 연구는 교육이론을 이론적인 것으로가 아니라, 실천적인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지금까지 교사교육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둘째로 이 연구 결과는 한국 교육학 연구의 변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교육학 또는 교육이론 연구는 주로 이론적인 차원에 머물러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교육연구는 그동안 합리주의와 과학주의에 편승하여 왔다는 뜻이다. 이 연구는 영국의 교사교육이 추구하여온 교육전문지식의 본질에 관한 역사적 탐구와 현재 영국 교사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실천연구(action research)를 바탕으로 교육이론의 성격을 새롭게 규정하였다. 새롭게 규정된 교육이론은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학 연구가 지금까지 의존하여 왔던 바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계기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로 이 연구 결과는 교사교육에서 예비교사들에게 교육의 실제에 부합하는 전문성을 갖추도록 하는데 공헌할 것이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교사의 질을 제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교사의 질은 교사의 사회 경제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교사교육에 한정하여 말한다면 교사의 질은 교육의 실제에 부합하는 교육이론을 얼마나 올바르게 가르치느냐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 연구가 제안하고 있는 실천적 지혜로서의 교육이론은 아마도 ‘교직적성’이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뜻을 가장 포괄적으로 함축하는 개념일 것이다. 이 연구는 교육이론의 성격을 재규정함으로써, 현재와 같은 의미의 교육이론 교육을 통해서는 불가능한, 예비교사들의 교직적성을 함양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로 이 연구 결과는 교육이론의 성격을 재규정함으로써 교사양성기관이 어떤 모습으로 존재해야 하는지를 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이 연구는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그리고 교사양성기관에서 고민하고 있는 교사양성기관의 체제 개편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모니터제도, 도제제도, 학생교사제도, 트레이닝 콜레지, 교육대학, 학교현장중심교육, 인턴제교육, 실천연구, 교육전문지식, 이론중심교육, 실천중심교육, 교원대학원, PGCE과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