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856&local_id=10012193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바이지의 역할 갈등 및 만족간의 관계: 문화간 차이 비교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바이지의 역할 갈등 및 만족간의 관계: 문화간 차이 비교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손은정(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1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3월 2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작업 동맹(상담자를 교육하는 수퍼바이저와 교육을 받는 수퍼바이지간의 관계), 역할 어려움(수퍼바이저의 기대에 대해 수퍼바이지가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에 대한 어려움), 그리고 수퍼비전 만족도(수퍼비전이 얼마나 만족스러웠는지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한국 수퍼바이지와 미국 수퍼바이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별히, 수퍼비전 작업 동맹의 세 가지 요인(정서적인 유대, 목표에 대한 동의, 과제에 대한 동의)과 역할 어려움 및 수퍼비전 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149명의 미국 수퍼바이지와 168명의 한국 수퍼바이지들을 대상으로 비교가 이루어졌으며, 두 집단간의 상관관계의 정도의 차이를 T-test를 통해 비교해 본 결과, 수퍼비전 작업 동맹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미국이 한국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 만족도를 측정하는 척도가 정서적인 만족감을 측정하는 도구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결과는 한국 수퍼바이지와의 수퍼비전에서는 정서적인 유대보다는 목표에 대한 동의나 과제에 대한 동의와 같은 행동적 성취에 초점을 두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두 나라 모두에서 수퍼비전 작업 동맹의 세 가지 요인들은 역할 어려움과 작업 동맹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미국 모두 수퍼비전 관계가 수퍼비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혀주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상담자 교육 장면에서도 서구 문화와 마찬가지로 수퍼비전의 관계를 잘 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에서도 상담자를 교육하는 장면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간에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수퍼비전 결과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좋은 수퍼비전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정서적인 측면보다는 행동적인 성취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US and Korea supervisees in the perceptions of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and supervisees), role difficulties (supervisees’ difficulties in the reaction to supervisors’ expectations), and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supervisees’ evaluation of supervision). Specifically, the relations among the three elements of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emotional bond, agreement on goals, and agreement on tasks) with role difficulties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were examined. We compared 149 US and 168 South Korea supervisees’ perceptions of the clinical supervision relationship. Only a few differences in clinical supervision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hre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elements and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were stronger for US than South Korea supervisees. The measure of supervision satisfaction had a tendency to assess the emotional satisfaction than behavioral achievement. Hence, these results mean that supervisors may need to more pay attention to behavioral achievement than emo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ole difficulties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in both countries. Thus,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was important in clinical supervision irrespective of cul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작업 동맹, 역할 어려움, 그리고 수퍼비전 만족도에 있어서 한국 수퍼바이지와 미국 수퍼바이지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별히, 수퍼비전 작업 동맹의 세 가지 요인(정서적인 유대, 목표에 대한 동의, 과제에 대한 동의)과 역할 어려움 및 수퍼비전 만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149명의 미국 수퍼바이지와 168명의 한국 수퍼바이지들을 대상으로 비교가 이루어졌으며, 두 집단간의 상관관계의 정도의 차이를 T-test를 통해 비교해 본 결과, 수퍼비전 작업 동맹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미국이 한국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나라 모두에서 수퍼비전 작업 동맹의 세 가지 요인은 역할 어려움과 작업 동맹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으며, 이것은 수퍼비전 작업 동맹이 문화와 상관없이 수퍼비전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에서 서구 문화와 다른 한국 문화에서의 수퍼비전 요인들을 발견하기 위해 미국과 한국의 문화적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퍼비전 작업 동맹의 세 가지 요인과 수퍼비전 만족도간의 상관 관계에 있어서 미국이 한국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퍼비전 만족도를 측정하는 척도가 정서적인 만족감을 측정하는 도구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결과는 한국 수퍼바이지들과 수퍼비전을 할 때에는 미국 수퍼바이지들에 비해 정서적인 만족보다는 행동적인 성취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수퍼비전 관계 형성 시에도 정서적인 유대보다는 목표에 대한 동의나 과제에 대한 동의와 같은 행동적 성취에 초점을 두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두 나라 모두에서 수퍼비전 작업 동맹의 세 가지 요인들은 역할 어려움과 작업 동맹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미국 모두 수퍼비전 관계가 수퍼비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혀주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상담자 교육 장면에서도 서구 문화와 마찬가지로 수퍼비전의 관계를 잘 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에 적합한 수퍼비전 요인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한국에서도 상담자를 교육하는 장면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간에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수퍼비전 결과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좋은 수퍼비전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정서적인 측면보다는 행동적인 성취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색인어
  • 수퍼비전 작업 동맹, 역할 어려움, 수퍼비전 만족도, 문화적인 차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