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878&local_id=10012590
미성취 영재를 위한 교수적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미성취 영재를 위한 교수적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병연(Purdue Univ.)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8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미성취 영재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지적 능력이나 성취도 검사 혹은 관찰 자료 등을 통하여 탁월한 수행을 보여 전문가에 의해 지적 영재로 판명된 학습자 중에서, 학업과 관련된 과제에 대한 실제 수행수준이 기대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학습자라고 정의하였다. 미성취 영재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나 교사와 학부모의 관찰 등에 의해 판별된다. 영재의 미성취를 유발시키는 개인적 요인은 부정적인 학업적 자아개념, 학습동기 부족, 학습기술 혹은 학습전략 부족이며, 가정 요인은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 형태, 가정에서의 부적절한 역할 모델, 지나친 부모의 기대나 압력이다. 또한 미성취와 관련된 학교 요인은 학급풍토, 부정적 기대, 또래들의 압력, 교육과정 등이다. 미성취 영재를 위한 중재 전략은 아동의 성공적인 성취에 방해가 되는 개인의 심리적 문제나 가정과 학교에서 직면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여 아동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의 수행을 개선하려는 상담을 통한 중재 전략과 교수-학습 상황에서 미성취의 원인이 되는 아동의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고 교육과정이나 교육방법에 변화를 주어 정상적인 학업 수행을 유도하려고 하는 교수적 중재 전략이 있다.
    지적 영재의 미성취를 치료할 목적으로 계획되는 프로그램을 안내해 줄 수 있는 원리에는 미성취의 원인을 파악하여 개별화된 중재 전략 수립, 아동의 재능 및 흥미 초점, 학습기술이나 학습전략과 관련된 결함 교정, 학습동기 유발 전략, 자아개념 증진 전략, 개개인에 대한 사회적, 정서적 지원 구조 구축, 교사와 학부모간의 긴밀한 협력 등이 있다. 모든 영재는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 어느 정도 미성취 형상을 보인다. 중요한 것은 영재의 미성취가 지속되거나 누적되어 영재의 우수한 능력이 발현되지 못함으로써 나타나는 개인적 불행과 국가적 손실을 어떻게 하면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미성취 영재에 대한 연구가 지금처럼 지적 혹은 학문적 영역에만 한정되어 수행될 것이 아니라, 리더십이나 창의성과 같은 비인지적 영역에서의 미성취에 대한 연구에까지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미성취 영재를 판별하는 과정에서 표준화 검사 도구에 대한 지나친 의존에서 벗어나 미성취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역동적 평가나 비차별적 평가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미성취 영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전략을 탐색하기 위하여 영재의 미성취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수업환경에 대한 양적, 질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과정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영재들의 미성취 현상을 감소시키고 그들의 자아실현을 돕기 위해서는 물질적, 행정적 지원은 물론 교사와 학부모의 인내와 헌신이 요구된다.
  • 영문
  • While it is true that underachievement among gifted students has become a popular topic for research, it is still a major concern of educators, researchers, and teachers. As with giftedness, there was no consensus in defining the gifted underachiever. But the underachieving giftedness is generally defined as a discrepancy between the potential of an individual and their performance level. Gifted students underachieve for many different reasons. For example, personal, school, and family factors might affect levels of underachievement. Recent research in this area calls for not only the recognition of special talents and abilities of these students but also for appropriate programming. Several studies highlighted the need for counseling and instructional intervention for gifted underachiever. The main objective of any intervention is to reduce the disturbing symptoms and to foster the child's capacity to be control of his own life in ways that will serve his best interests. But the factors identified as causal in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are varied and numerous, the interventions designed to address these factors have met with limited success. That is to say, underachievement and its reversal are complex and unique to each child. No prescription or formula can be written that is appropriate for all gifted underachievers.
    The following guidelines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studies.
    1. Individually designed to address the unique situation of the underachiever.
    2. Focus on developing the strengths and interests of the child.
    3. Teach and remedy study skills and learning strategies.
    4. Specify the strategies for motivating the gifted underachievers.
    5. Focus on improving the students' self-concept.
    6. Construct the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s for the gifted underachievers.
    7. Cooperat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Key Words: underachievement, gifted underachiever, gifted students, educational intervention strategy, gifted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미성취 영재 혹은 학습부진 영재는 표준화된 지적 능력이나 성취도 검사 혹은 관찰 자료 등을 통하여 탁월한 수행을 보여 전문가에 의해 지적 영재로 판명된 학습자 중에서, 학업과 관련된 과제에 대한 실제 수행수준이 기대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학습자라고 정의할 수 있다. 미성취 영재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나 교사와 학부모의 관찰 등에 의해 판별된다.
    영재의 미성취를 유발시키는 개인적 요인은 부정적인 학업적 자아개념, 학습동기 부족, 학습기술 혹은 학습전략 부족이며, 가정 요인은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 형태, 가정에서의 부적절한 역할 모델, 지나친 부모의 기대나 압력이다. 또한 미성취와 관련된 학교 요인은 학급풍토, 부정적 기대, 또래들의 압력, 교육과정 등이다.
    미성취 영재를 위한 중재 전략은 아동의 성공적인 성취에 방해가 되는 개인의 심리적 문제나 가정과 학교에서 직면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여 아동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의 수행을 개선하려는 상담을 통한 중재 전략과 교수-학습 상황에서 미성취의 원인이 되는 아동의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고 교육과정이나 교육방법에 변화를 주어 정상적인 학업 수행을 유도하려고 하는 교수적 중재 전략이 있다.
    지적 영재의 미성취를 치료할 목적으로 계획되는 프로그램을 안내해 줄 수 있는 원리에는 미성취의 원인을 파악하여 개별화된 중재 전략 수립, 아동의 재능 및 흥미 초점, 학습기술이나 학습전략과 관련된 결함 교정, 학습동기 유발 전략, 자아개념 증진 전략, 개개인에 대한 사회적, 정서적 지원 구조 구축, 교사와 학부모간의 긴밀한 협력 등이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미성취 영재를 위한 중재 전략은 상담을 통한 중재와 교수적 중재와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두 접근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상담을 통한 중재 전략은 아동의 성공적인 성취에 방해가 되는 개인의 심리적 문제나 가정과 학교에서 직면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여 아동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의 수행을 개선하려는 시도이다. 반면에 교수적 접근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미성취의 원인이 되는 아동의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고 교육과정이나 교육방법에 변화를 주어 정상적인 학업 수행을 유도하려고 한다.
    그러나 미성취 영재를 위한 실제 중재 프로그램에서는 한 가지 접근을 택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두 가지를 혼합한 형태이다. 이것은 비록 연구의 편의상 상담적 접근과 교수적 접근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실제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두 접근이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설계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일반적인 원리를 고려해야 한다. 즉 미성취의 원인을 파악하여 개별화된 중재 전략을 수립해야 하고, 아동의 재능과 흥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학습기술이나 학습전략과 관련된 결함을 교정해 주어야 하고, 학습동기 유발이나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전략이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성취 영재 개개인에 대한 사회적, 정서적 지원 구조가 구축되어야 하고, 교사와 학부모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또한 미성취 영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영재의 특성과 교육방법에 정통한 교사가 프로그램을 담당해야 한다. 교사는 학교에서 영재의 미성취를 조장할 수도 있고, 미성취를 극복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미성취 영재를 담당하는 교사는 영재의 학업적 미성취를 극복시킬 수 있는 수업 환경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 색인어
  • 미성취 영재, 학습부진 영재, 교육적 중재, 교수적 중재, 영재 프로그램, 영재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