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895&local_id=10012839
관용의 윤리: 철학적 기초와 적용 영역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A00006 |
선정년도 |
2005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06년 06월 22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06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관용은 전 지구적인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관용의 윤리가 어떤 철학적 기초 위에 확립되어 있는가를 규명하고, 관용의 윤리를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들을 다루고, 그 적용 영역들에 대해 검토하려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관용은 베푸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명령이 ...
관용은 전 지구적인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관용의 윤리가 어떤 철학적 기초 위에 확립되어 있는가를 규명하고, 관용의 윤리를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들을 다루고, 그 적용 영역들에 대해 검토하려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관용은 베푸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명령이며, 태도 또는 정도의 문제라는 것이 이 논문의 2장에서 다루고 있는 관용의 두 가지 도덕적 성격이다.
제 3장에서는 자유주의, 실용주의 그리고 완화된 계몽주의를 관용 윤리의 철학적 기초로 설정하고 그 정당성을 증명하였다.
제 4장에서는 불관용의 네 가지 근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5장은 관용의 윤리가 한국 사회의 어떤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관용의 가치는 세계화 시대에 바른 국제 이해 교육을 위해서, 인권 교육의 현장에서, 그리고 양성 평등 교육의 도덕적 토대를 위해서 필요하다.
결론에서 이 논문은 불 관용적인 행동과 태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
영문
-
The Ethics of Tolerance: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Applicable Aspects of Tolerance
chapter 1: Why the ethics of tolerance is becoming a philosophical matter again
chapter 2: TWo moral characters of tolerance
chapter 3: philosophical foundati ...
The Ethics of Tolerance: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Applicable Aspects of Tolerance
chapter 1: Why the ethics of tolerance is becoming a philosophical matter again
chapter 2: TWo moral characters of tolerance
chapter 3: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olerance; l) liberalism, 2) pragmatism, 3) mitigated enlightenment
chapter 4: four basis of intolerance
chapter 5: applicable aspects of tolerance
chaper 6: conclusion
Tolerance is now accepted as a world-wide value. This paper thus searches the philosophical ideas upon which the ethics of tolerance is founded, deals with the matters that surround the ethics, and finally examines the areas that these ethics could be applied. Chapter 2 defines tolerance as a moral imperative, rather than a benevolent action, and explains that what matters is the attitude.
Chapter 3 suggest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ethics of tolerance as liberalism, pragmatism, and mitigated enlightenment, and attempts to prove the logicality.
After presenting four reasons of intolerance in chapter 4, the paper explores Korean society in chapter 5 to discover the area where the ethics of tolerance can be applied. Upholding the value of tolerance is necessary today in various fields; the international education of understanding appropriate for globalization era, the education of human right, and the education of sexual equality and its moral basis. As a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e measures to overcome intolerant actions and attitud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관용은 다원주의 사회의 기초 개념이며, 자유주의의 도덕적 가치이다. 관용의 윤리가 자유주의를 뿌리로 하고 있으며, 다원주의 사회의 작동 원리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관용의 윤리가 어떤 철학적 기초 위에 세워져 있는가를 규명하는 동시에 관용의 가치가 현실적으로 ...
관용은 다원주의 사회의 기초 개념이며, 자유주의의 도덕적 가치이다. 관용의 윤리가 자유주의를 뿌리로 하고 있으며, 다원주의 사회의 작동 원리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관용의 윤리가 어떤 철학적 기초 위에 세워져 있는가를 규명하는 동시에 관용의 가치가 현실적으로 어떤 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자유주의, 실용주의 그리고 계몽주의를 철학적 기초로 파악하고 그 정당성의 근거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관용의 윤리가 세계화 시대에 국제 이해 교육, 인권 교육 그리고 양성평등 교육의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불관용의 태도와 행동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에 대해서도 모색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관용은 실천이 요구되는 덕목이다. 관용의 철학적 기초 연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점은 현실적인 실천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은 다음 세대들을 위한 관용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는 데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학교 뿐만 아니라 가정과 ...
관용은 실천이 요구되는 덕목이다. 관용의 철학적 기초 연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점은 현실적인 실천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은 다음 세대들을 위한 관용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는 데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학교 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에서도 관용의 실천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관용 교육은 광범위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관용 문제에 대한 윤리학계와 일반인들에게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후속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를 유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색인어
-
관용, 가치, 자유주의, 계몽주의, 불관용
-
이 연구과제의 신청시 심사신청분야(최대 3순위까지 신청 가능)
-
1순위 :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윤리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