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902&local_id=10013645
平安時代 雅樂과 唐詩의 관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平安時代 雅樂과 唐詩의 관계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해명(연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4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0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中國의 周代 雅樂은 소리의 이상을 추구하지 않고 소리의 도덕률을 중시하면서 서서히 쇠퇴의 길로 들어섰으며, 南北朝時代에 이르러 외국음악인 胡樂이 유행하자 隋·唐代의 아악은 새로이 정비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日本에서는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내는 전통음악과, 한반도로부터 도래한 三韓樂 등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지만, 中國 唐代 궁정의 향연에 사용된 국제적 성격의 燕樂을 唐樂이라는 이름 하에 수입하면서, 日本의 雅樂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게 되었다. 그들은 大寶令 이후 雅樂寮를 설치하여, 음악의 명분과 실질에 대한 엄격한 구분을 거치고, 이들 양자 간의 조화로운 통일을 도모하면서, 문화적으로 성숙한 시기인 平安時代를 맞이할 수 있었다.
    平安시대 궁정에서는 아악풍의 음악인 神樂歌와 催馬樂 등이 유행하다가, 唐詩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궁정성악 ‘朗詠’이 귀족들 간의 교유와 유흥에 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역시 일본의 가곡을 외래음악의 양식으로 착색시킨 음악의 일본화라고 하는 연장선상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平安시대 중기에 이르러 藤原公任이 和漢朗詠集을 편찬하면서 ‘朗詠’의 발전은 그 정점에 이르게 되고, 비록 본질적인 시정신은 왜곡되기는 하였지만, 唐代 白居易의 시구가 가장 많이 朗詠되었음은, 당시 일본 지식계층의 미의식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었다. 이로써 일본의 漢詩와 和歌는 서서히 접근현상을 갖게 되었고, 이는 후대 일본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되었다.
  • 영문
  • As the ritual music in the Zhou Dynasty of China did not persue the ideal of the sound and laid stress on the morality of the sound, it became on the decline. In the era of Northern & Southern Dynasties, Music of Hu, foreign music, was popular. This made the ritual music in the Sui & Tang Dynasties readjusted. In Japan, there already existed traditional Japanese music which was performed for a religious service to the Heaven and the Earth, the Music of Three Hans which origin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so on. As the Music of Yan which was performed at the court banquet was introduced in the name of the Music of Tang, the Japanese ritual music entered a new phase. By the Imperial order, ritual music institutes were established. The moral obligation and the essence of music were strictly divided. With the harmonious unification of the two, the Heian Age came, which was culturally mature.
    During the Heian Age, 'kagurauta' and 'Saibara' in the style of ritual music won widespread popularity, especially at Court. New vocal music, Roei, began to be performed at Court among the powerful nobility and upper classes, which were songs based on Chinese poems. Japanese songs were colored with the style of foreign music. It should be understood the Japanization of music. In the middle of the Heian Age, Huziwarano Kinto compiled 'Wakanroeishu'. This marked the climax of the development of 'Roei'. Although the essential spirit of the poetry was distorted, the fact that the verses of Baijuyi in the Tang Dynasty were extremely much chanted reflects an esthetic sense of the Japanese intellectuals. As a result, the Chinese Poetry and the Waka gradually approached each other in Japan, which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Japanese literature in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雅樂은 좁은 뜻으로는 文廟祭禮樂만을 가리키지만, 넓은 뜻으로는 궁정 밖의 民俗樂에 대하여 궁정 안의 의식에 쓰던 음악을 총칭하는 말로 사용된다. 이는 시기적 선후가 있을 뿐, 발생지인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과 일본 모두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 가운데, 일본의 문헌에 대대로 아악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어 온 점을 보면, 이에 ‘雅正한 음악’이라는 禮歌로서의 의미를 그대로 부여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의 아악이 고대 禮樂사상에 의거하여 天地人을 모시는 의식음악이었던 반면, 일본의 아악은, 중국 고유의 음악인 俗樂과 서역 등에서 들어온 외래악인 胡樂에 근간하여 제정된, 唐代의 燕樂을 그대로 받아들여 이루어진 것이라는 차이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궁정음악인 아악에 중국의 唐詩가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서 당시가 갖는 좀더 강한 의미의 樂歌的 성격을 진단하고, 더 나아가서는 平安時代(794-1192) 아악에 사용되어진 여러 악가를 통해 음악과 문학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일본 아악의 형성에 있어 당시는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일본아악의 일본화는 일본의 문학사와 음악사에 있어 어떠한 의미를 지녔는가, 平安時代 아악풍의 朗詠은 당시의 리듬, 그 중에서도 특히 白居易(772-846) 시와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룰 수 있었는가, 그리고 그러한 朗詠의 최대 저본인 和漢朗詠集이 등장하게 된 문화적·사회적 배경과 그 의의 등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周代 雅樂에서 唐代 燕樂까지의 시간적 거리, 그리고 唐樂을 아악으로 받아들인 일본에서 唐詩를 吟詠의 가사로 삼기까지의 공간적 거리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詩와 樂은 다른 예술장르나 문화요소보다도 좀더 강한 의미에서의 친연성을 지니면서 서로 삼투 조화되어 왔다. 이는 韓 中 日의 전통 악제와 악가를 분석 비교하면서 과거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새로운 연결고리를 찾아내게 할 뿐만 아니라, 인류의 무수한 음악문학적 현상을 심층적으로 진단함에 있어 견실한 근거로 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색인어
  • 雅樂, 唐樂, 大寶令, 神樂歌, 催馬樂, 朗詠, 藤原公任, 和漢朗詠集, 唐詩, 白居易, 平安時代, 雅樂寮, 和歌, 韓中日, 樂制, 樂歌, 音樂文學, 東아시아, 文化交流, 禮樂, 東大寺, 正倉院, 四天王寺, 聖德太子, 日本書紀, 續日本紀, 遣唐使, 日本音樂史, 淸少納言, 枕草子, 宮廷聲樂, 源雅信, 紫式部, 源氏物語,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