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903&local_id=10012852
柳永과 周邦彦 詞의 修辭 特徵 比較 硏究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柳永과 周邦彦 詞의 修辭 特徵 比較 硏究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종진(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46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6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柳永의 사집《樂章集》과 周邦彦의 사집《片玉集》에 수록된 사를 대상으로 語音修辭, 詞語修辭, 語句修辭, 章法修辭로 구분해 그 성취를 파악하고 兩人의 수사 특징을 살펴보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語音修辭의 중요 수사 방식인 疊字에서 유영은 情에 따라 單刀直入的으로 내심을 선명히 말했는데, 진지하고도 濃密함을 드러냄으로써 직접적인 감흥을 일으킬 수 있었던 반면, 주방언은 첩자를 세심하게 안배함으로써 자연스러움 속에 함축을 구할 수 있어 진지함과 의미심장함을 드러낼 수 있었다. 또한 유영은 空際轉身하고 轉折跌宕해 지는 곳에서 去聲字 운용하여 성률의 和諧美를 증가시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意境의 예술성을 강조할 수 있었다. 이에 깊은 영향을 받은 주방언은 去聲을 더욱 精妙하게 운용하여 去上의 揚抑 격식과 上去의 抑揚격식으로 鋪陳함으로써 성률 排比에서 兩上 兩去의 非律化를 피하여 사율에서 더욱 諧婉美를 구할 수 있었다.
    詞語修辭는 動詞, 形容字, 虛字, 代字, 俗字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특히 형용사 수사에서 유영은 素秋, 清秋, 晚秋, 暮秋, 三秋, 深秋, 悲秋와 같은 방식으로 수사한데 반해 주방언은 秋宵, 横秋影, 一片秋声, 未必为秋悲와 같이 수사함으로써 意象의 폭을 넓히고 意境을 濃密하게 함축하는 효과를 거두게 한 점이 중요한 차이였다. 특히 유영은 俗字운용에서 자유자재하여 雅俗共賞의 사인으로 평가 된 반면 주방언은 詞語修辭를 통해 사의 형식과 내용을 긴밀히 결합시켜 악률과 정감이 합치하는 사 작품을 창조함으로써 집대성자라는 평을 받게 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語句修辭는 單句, 對句, 領句로 그 수사를 구분할 수 있다. 이중 慢詞 작사에서 가장 중시되는 기법인 領句의 虛字 운용에서 유영은 须, 但, 似, 况, 漸, 便, 待, 更와 같이 單詞를 즐겨 쓴 반면 주방언은 "惟有~ 猶~", "遙~, 應自~", 似, 但, 悵, "終不似~, 莫~, 恐~, 尙~", 且莫, "但~,還~", "空~,漸~", 更, 惟只, "料~, 漫~, 待總~", 怎奈向, "未~, 憑~" 등과 같이 허자를 연이어 써 의경을 起伏시킴으로써 言盡意不盡의 경계에 쉽게 이르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章法修辭로는 順向法, 逆向法, 陰向法, 陽向法등을 들 수 있는데 유영은 대체로 逆向法중 先實後虛방식과 先景後情방식을 적절히 운용해 鋪敍해 감으로써 정취가 흘러넘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주방언 역시 이 같은 수사 방식으로 慢詞를 지었으나 장법 구성에 層次를 끌어들여 시간상의 變換, 轉變, 揷入, 융합을 운용함으로써 脫換往復, 錯綜變化라는 독특한 장법을 창조할 수 있었다. 특히 주방언은 이 같은 수사법을 통해 物態 묘사에서 극도의 수완을 드러내어 景語로 情感을 함축하는 경지에 이를 수 있었다.
  • 영문
  •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rhetorical devicesused in the lyrics collected in Liu Yong’s Yuezhangji (The Musical Scores Collection) and in Zhou Bangyan’s Pianyu ji (The Jade Pieces Collection). Itaims at analyzing the rhetorical devices at four different levels: the phonetic, the word, thesentence, and the composition level.
    At the phonetic level, our analysis focuses on the uses of "double characters" and "the character in the falling tone". While Liu Yong employs "double characters" in a straightforward way to enhance the direct expression of hot feelings, Zhou Bangyan uses "double characters" in a careful and natural fashion to convey subtle emotions. In Liu Yong’s lyrics, "the character in the falling tone" is utilized to create a harmonious sound effect. In Zhou Bangyan’s lyrics, however, "the character in the falling tone" is paired with the "the character in the falling-rising tone" to achieve a more complicated and agreeable musical effect.
    At the word level, our analysis deals with the uses of verbs, adjectives, "empty words", pronouns and "vulgar words". Whereas Liu Yong’s use of adjectives is rather functional, Zhou Bangyan verbalizes adjectives to make the images lively. Liu Yong is quite at home with "vulgar words", employing them generously. In contrast, Zhou Bangyan very discreetly avoids the use of "vulgar words".
    At the sentence level, our analysis covers the uses of single sentence, paired sentences and the "leading word of the sentence". Liu Yong is inclined to use a single "leading word". Zhou Bangyan, however, prefers to employ two "leading words" in pair in order to make the two sentences they "lead" semantically resonate with each other.
    At the composition level, our analysis examines the chronological presentation method and the retrospective presentation method. In Liu Yong’s lyrics, the lyrical persona usually describes the present scene first and then uses the retrospective presentation method to evoke the experiences and feelings that he and the lyrical addressee once had. In Zhou Bangyan’s lyrics, the retrospective method is employed in a more sophisticated fashion. Several temporal sequences may be presented in one poem. In such a poem, events occurred at different times and places are evoked, intermingled with each other, and united into a whole by the retrospective presentation metho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국내는 물론 중국에서도 처음시도 되는 주제이기에 연구의 틀 구성이 용이하지 않았다. 复旦大學 수사학 전공자들의 조언과 협조를 통해 본 연구의 주된 틀을 다음과 같이 확정할 수 있었음이 다행이었다.
    1. 語音修辭 ---押韻, 平仄, 雙聲, 疊字, 去聲字와 上去字 2. 詞語修辭 ---動詞, 形容字, 虛字, 代字, 俗字 3. 語句修辭 ---單句, 對句, 領字 4. 章法修辭 --- 順向法: 先近後遠, 先小後大 , 先虛後實, 先情後景, 先收後縱, 先本後末. 逆向法: 先遠後近, 先大後小, 先實後虛, 先景後情, 先縱後收. 陰向法: 近遠近, 小大小, 虛失虛, 情景情, 收縱收, 本末本. 陽向法: 遠近遠, 大小大, 實虛實, 景情景, 縱收縱, 末本末와 같은 틀로 요약할 수 있다.
    柳永은 213 首의 詞가 전해지고 周邦彦은 181首의 사가 전해진다. 이 두 사인은 婉約詞派를 대표하는 사인으로 사의 제제나 작풍이 유사하면서도 서로 다른 풍격을 창조하였다. 두 사인이 서로 상이한 風格을 지니게 된 원인이 수사방식의 차이에서 온 것으로 판단되어 兩人의 사를 대상으로 수사형식을 분석하게 되었다. 이를 종합하는 과정에서 대략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語音修辭의 중요 수사 방식인 疊字에서 유영은 情에 따라 느낀 그대로 내심을 선명히 말했는데, 진지하고도 濃密함을 드러냄으로써 직접적인 감흥을 일으켰으며 주방언은 첩자를 세심하게 안배함으로써 자연스러움 속에 함축을 구할 수 있어 진지함과 의미심장함을 드러낼 수 있었다. 특히 유영은 특별히 雙聲字로 萧索, 憔悴를 10회 이상 제일 많이 사용함으로써 불우함을 들어낸 점과 相思, 容易, 踪迹, 鸳鸯, 明媚, 满目, 冷落, 辗转, 消息, 心性, 艳冶등과 같은 雙聲字를 5회 이상 사용해 고독, 悔恨 우수를 함축한 점에 유의할 만 하였다. 또한 유영은 허공에서 몸을 뒤척이듯 거침없어지거나, 꺾이면서 자유자재 해 지는 곳에서 去聲字 운용하여 성률의 和諧美를 증가시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意境의 예술성을 강조할 수 있었다. 이에 깊은 영향을 받은 주방언은 去聲을 더욱 精妙하게 운용하여 去上의 揚抑 격식과 上去의 抑揚격식으로 鋪陳함으로써 성률 排比에서 兩上 兩去의 非律化를 피하여 사율에서 더욱 諧婉美를 구할 수 있었다. 이는 주방언이 격률사파의 비조가 된 이유이기도 하였다.
    詞語修辭 형용사 수사에서 유영은 素秋, 清秋, 晚秋, 暮秋, 三秋, 深秋, 悲秋와 같은 방식으로 수사한데 반해 주방언은 秋宵, 横秋影, 一片秋声, 未必为秋悲, 石城风浪秋와 같이 수사함으로써 意象의 폭을 넓히고 意境을 濃密하게 함축하는 효과를 거둔 점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유영은 俗字운용에서 자유자재하여 雅俗共賞의 사인으로 평가 된 반면 주방언은 詞語修辭를 통해 사의 형식과 내용을 긴밀히 결합시켜 악률과 정감이 합치하는 사 작품을 창조함으로써 集大成者라는 평을 받게 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語句修辭 중 領句의 虛字 운용은 慢詞 수사에서 그 특성을 들어낼 수 있는 중요 방식이다. 유영은 须, 但, 似, 况, 漸, 便, 待, 更와 같이 單詞를 즐겨 쓴 반면 주방언은 "惟有~ 猶~", "遙~, 應自~", 似, 但, 悵, "終不似~, 莫~, 恐~, 尙~", 且莫, "但~,還~", "空~,漸~", 更, 惟只, "料~, 漫~, 待總~", 怎奈向, "未~, 憑~" 등과 같이 허자를 연이어 써 의경을 起伏시킴으로써 말은 다했으나 정은 다할 수 없는 경지에 쉽게 도달케 하였다.
    章法修辭에서 유영은 대체로 逆向法중 先實後虛방식과 先景後情방식을 적절히 운용해 鋪敍해 감으로써 정취가 흘러넘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주방언 역시 이 같은 수사 방식으로 慢詞를 지었으나 장법 구성에 層次를 끌어들여 시간상의 變換, 轉變, 揷入, 융합을 운용함으로써 脫換往復, 錯綜變化라는 독특한 장법을 창조할 수 있었다. 이는 陳洵이《海綃說詞》에서 "청진의 격조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으니 분리했다가 합치며 거스르다가 따랐으니 자연스러운 중에 법도가 있다.(淸眞格調天成, 離合逆順, 自然中度)"고 평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이는 유영 사가 "거의가 평의하게 펼쳐가며 곧바로 서술하는(多平鋪直敍)"작사법과는 대조되는 것이다. 특히 주방언은 이 같은 수사법을 동원해 物態를 묘사하는데서 극도의 수완을 드러냄으로써 景語로 情感을 함축하는 고도의 경지에 이를 수 있었다. 수사 방식에 따라 작가 풍격이 결정되기에 유영과 주방언이 활용한 다양한 수사 형식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심도 있게 진행시키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유영은 다양한 수사법으로 情態를 선명히 묘사해 의경을 출현시킨 반면 주방언은 物態 묘사에 수사를 동원함으로써 情感을 혼후하게 드러낸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王世貞이<弇州詞人詞評>에서 "주방언은 景語를 쓸 수 있으나 情語를 쓸 수 없으며 아름다운 자로 묘사할 수 있으나 典雅한 자로 묘사할 수 없으므로 그 가치는 유영보다 좀 못하다(美成能作景語, 不能作情語, 能入麗字, 不能入雅字, 以故價微劣於柳.)"는 극평으로도 그 풍격 차이를 지적한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柳, 周 양인의 수사방식이 서로 달라 작가 풍격을 비롯한 예술 풍격이 서로 다를 수 밖에 없었던 점을 밝힌 최초의 성과이기에 향후 詞學 연구에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이미 큰 성과를 거둔, 漢語語音史와 漢語語彙史, 漢語語法史등의 연구와도 연계를 맺을 단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유영, 주방언 두 작가 詞의 수사연구에 집중된 작업이기에, 中古漢語의 일부분으로 간주되는 詞學의 수사 연구를 비롯해 북송 시대 사람들의 수사 개황에 인식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고려조에서 詞家로 성취가 높았던 李奎報(1168-1241)와 李齊賢(1287-1367)의 작품을 유영과 주방언 사와 수사적인 측면에서 비교함으로써 그들 사의 수사적인 성취를 새롭게 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선인들의 사의 성취가 중국인들의 작품과 차별화 되는 기반을 마련하는 단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가 완성된 후에는 본고에서 채용한 방식과 이론의 틀은 진일보 발전시켜 다른 작가의 작품 분석과 풍격 조명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詩詞의 예술 성취를 변별할 수 있는 수사 기재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 방법은 또한 漢學硏究를 전면적으로 객관화 하고 심화할 수 있는 기제로 활용될 수 있기에 우리의 한학연구 열기를 加一層 촉발 시키게 될 것이다.
    詩詞 교육을 담당하는 이들 중 많은 이들은 唐詩와 宋詞가 매우 잘 쓰인 장르임을 느끼고 있으나, 어떤 곳이 뛰어난 점인지를 설명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로 이러한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였기에 중국문화의 精華인 詩詞를 교육하는데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자료로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다. 특히 詩詞를 애호하는 독자들이 운율미와 節奏의 조화미를 정확하게 감상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詞句의 운용에서 整齊美와 錯綜美, 對稱美를 출현시킨 이유를 파악하면서 어휘상의 비유, 借代 등과 같은 辭格이 드러내는 다채로운 상상을 이끌어 낼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詩詞 연구를 심화해 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인의 審美意識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柳永, 周邦彦, 修辭, 語音修辭, 詞語修辭, 語句修辭 章法修辭, 鋪敍, 景語, 情語, 領句 虛字 雙聲字, 疊韻, 疊字, 去聲字, 俗字, 虛實, 婉約, 先景後情, 情景交融, 意境 鉤勒, 雅俗, 渾厚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