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905&local_id=10009536
中國 潮汕文化의 형성과 발전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中國 潮汕文化의 형성과 발전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문지성(대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48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1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중국 潮汕文化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탐구이다. 조산문화는 중국 廣東省 북동부 해안가에 위치한 潮州市․汕頭市․揭揚市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돼 중국 내 다른 지역과 해외로 널리 전파되었다. 중국의 한 지방문화이면서 漢文化의 한 亞流文化라고 규정할 수 있다. 중국 남부지역의 유력한 문화형태 중 하나로서 해양문화 내지 상업문화적 성격이 강해 중국의 최대 갑부 李嘉誠을 비롯해 많은 재력가들을 배출하였다.
    본 연구는 조산지역의 역사․자연환경․인문환경 등을 근거로 조산문화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산문화는 신석기시대부터 전수된 토착문화와 秦漢代로부터 시작돼 宋元代에 극에 달했던 중원으로부터의 이민문화가 결합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조산문화 연구의 초석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앞으로 풍속습관․학술문예․명사명인 등에 관한 조사와 客家文化․閩南文化 등 주변문화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들의 특질과 정체성에 관한 보다 깊은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is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aoshan(潮汕) culture of China. Chaozhou(潮州) city, Shantou(汕頭) city and Jieyang(揭陽) city are the center of Chaoshan culture and it was build up around those areas which were located in the seashore of north-east part of Guangdong(廣東) province and had spread to other areas of China and beyond the seas. It can be definite one of the adherent cultures and local cultures of China. As one of the powerful cultural systems of southern area of China and with the strong character of commercial culture it has produced a large number of wealthy persons including Li-kaixing(李嘉誠) who is the most rich man in China.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formative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Chaoshan culture and based on the history,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environment of Chaoshan area. Chaoshan culture is the combination result of an aboriginal culture which had been succeed from the New Stone Age and an immigrant culture came from the center of China which was begun from the period of Chin & Han(秦漢) dynasty and be flourishing in the period of Song & Yuan(宋元) dynas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foundation stone of researching on Chaoshan culture. In further the more deeper study can be done on their distinctive feature and a quiescence through the comparison work of an investigation into the popular morals, academic literary and arts, and notables and the circumference culture including Hakkas(客家) and Minnan(閩南) cul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국 潮汕文化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탐구이다. 조산문화는 중국 廣東省 북동부 해안가 潮州市․汕頭市․揭揚市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돼 중국 내 다른 지역과 해외로 널리 전파되었다. 중국의 한 지방문화이면서 漢文化의 한 亞流文化라고 규정할 수 있다. 중국 남부지역의 유력한 문화현상 중 하나로서 해양문화 내지 상업문화적 성격이 강해 중국의 최대 재력가인 李嘉誠을 비롯해 많은 재력가들을 배출하였다.
    본 연구는 조산지역의 역사․자연환경․인문환경 등을 근거로 조산문화의 형성과정과 발전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산문화는 신석기시대부터 전수된 토착문화와 秦漢代로부터 시작돼 宋元代에 극에 달했던 중원으로부터의 이민문화가 결합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조산문화 연구의 초석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앞으로 풍속습관․학술문예․명사명인 등에 관한 조사와 客家文化․閩南文化 등 주변문화들과의 비교를 통해 그들의 특질과 정체성에 관한 보다 깊은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중국 潮汕지역에는 아주 이른 시기부터 독자적 문화권이 형성되었다. 현재 약 8000년 전의 문화유적이 조사되고, 특히 약 3400년부터 2900년 전 시기의 이른바 "浮濱文化" 유적이 많이 발굴되고 있다. 부빈문화 시기까지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자적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고, 인접한 閩南文化圈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며 큰 범위에서는 양자강 하류의 河姆渡文化圈으로 분류할 수 있는 성질을 지니고 있었다.
    그 후 秦漢시기부터 간접적으로 中原文化의 영향이 나타나고, 唐代에 들어서기까지 중원문화의 영향이 점차 확대돼 왔다. 宋元代에 들어서는 중원 漢人들의 대대적 이주로 인해 토착문화와 중원 漢文化 사이의 적극적 융합이 이뤄졌다. 내용적으로 볼 때 토착문화가 우세한 한문화에 의해 흡수되는 결과로 나타나 결국 한문화의 아류문화적 성격의 潮汕文化가 형성될 수 있었다. 조산문화는 주변의 客家文化나 閩南文化에 비해 해양문화 내지 상업문화적 성격이 특히 강하게 나타난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중국 내 주변지역 내지 해외로 전파돼 현재 중국의 최대 갑부 李嘉誠 등을 비롯한 많은 재력가들을 배출하였다.
    과거 국내에서는 조산문화에 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 해 왔다. 본 연구는 조산문화 연구의 초석을 다지는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를 기초로 풍속습관․학술문예․명사명인 등에 관한 고찰을 통해 보다 깊은 인식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산문화에 대한 인식은 중국 남부지역과 화교세계에 대한 이해, 특히 그들의 상업문화에 대한 이해에 결정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조산문화(潮汕文化), 조산인(潮汕人), 광동(廣東), 조주(潮州), 산두(汕頭), 부빈문화(浮濱文化)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