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908&local_id=10012021
생태학적 담론과 그 역사적 전망: 밀턴의 실낙원 읽기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생태학적 담론과 그 역사적 전망: 밀턴의 실낙원 읽기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종우(홍익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5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7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생태학적 담론의 관점에서 밀턴의 『실낙원』을 분석한다. 밀턴의 생태학적 비전이 의미를 갖는 것은 역사적, 철학적 지점이 지닌 중요성에 기인한다. 밀턴이 당면했던 당시의 지적 배경은 과학혁명, 종교개혁, 지식추구 방식의 변화, 근대적 주체의 등장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환경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다시 바라보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자연은"자연의 죽음"이란 제목에서 보듯이 생명력이 없는 존재로 전락했다. 여기서 핵심적인 사안은 이렇게 급격하게 변화된 지적 분위기에서 밀턴이 어떻게 자연에 반응하고 그것을 이해하느냐 하는 것이다. 밀턴은 유용성의 관점에서 자연을 바라보는, 그래서 자연 파괴에 일조하는 베이컨식의 견해를 거부함으로써 생태학적 사유를 복원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그는 인간과 자연의 일치성을 강조했는데 실제로 이러한 일치성은 데카르트의 주체철학에 의해 깨진 상태였다. 데카르트는 자연은 인간의 자아를 통해서만 의미를 지닐 수 있다는 이론적 틀을 제공했다. 하지만 밀턴은『실낙원』에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뿐만이 아니라 단일적 요소를 보여줌으로써 자연 안에 있는 생명력을 발견하고자 했다. 더 나아가 밀턴은 자연 세계는 오로지 인간의 영혼을 위해서만 존재한다는 칼뱅주의적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칼뱅주의자들은 부도덕한 자연과 영원한 영혼을 분리시킴으로써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정당화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밀턴은 모든 물질은 영혼과 자연을 동시에 소유하고 있는 제일원인으로부터 나왔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런 모든 점을 고려하면 밀턴은 베이컨과 데카르트식의 자연이해에 반기를 드는데 그 내용인즉 자연은 살아있는 것이며 인간의 착취를 위해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특별히 밀턴은 인간과 자연의 생태학적 관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정제화란 단어를 사용했다. 밀턴은 끊임없이 생태학적 전망 하에서 인간과 자연에게 알맞은 형식을 주었고 각 존재에 원천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결국 밀턴의 입장에서 보면 정제화의 작업은 지배와 분열의 이데올로기를 극복하는 최상의 방법일 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 자아와 타자가 하나 되고 공존할 수 있다는 전일적 사고를 형성하는 최적의 방식이었다. 이러한 인식에 밀턴의 생태학적 담론의 역사적 중요성이 있다 하겠다.
  • 영문
  • This study analyzes Milton's Paradise Lost in terms of ecological discourse. Milton's ecological vision can find its greatest importance in a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 The intellectual background that surrounded him was dominated by the influence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Reformation, paradigm shifts in the search for knowledge, and the appearance of modern subjectivity. These circumstances played a great role of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Nature was degraded to the status of inanimate material as shown in the title "Death of Nature". Here the key point is the way in which Milton responded to and understood nature in a radically changed intellectual context. Milton tried to restore ecological thinking by rejecting Bacon's position of viewing nature in the light of usefulness and consequently contributing to its destruction. Milton also emphasized the unity of man and nature, which was broken by Descartes' philosophy of subjectivity. Descartes provided a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nature can be significant only through man's subjectivity. However Milton attempted to discover the living force in nature by showing the monistic aspect and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in Paradise Lost. In addition, Milton did not agree with the Calvinist's idea that the natural world exists only for the immortal soul. They justified man's domination over nature by separating immoral nature and immortal souls. In response, Milton presented all matter as emerging from the First Cause which shares both soul and nature. Considering all these, Milton reacted to a strong Baconian and Cartesian thinking current by portraying the natural world as animate and refuted the opinion that the natural world can exist exclusively for human exploitation. Especially in the course of explaining ec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Milton employed refinement. Milton continuously refined man and nature based on an ecological vision and thus gave an orignal and substantial meaning to each existence. In Milton's position, the work of refining is the best way of overcoming the human ideology of domination and separation and of forming the holistic vision through which man and nature, one and the other can exist harmoniously and be meant as a cooperative entity. Herein li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ilton's ecological discour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생태학적 담론의 관점에서 밀턴의『실낙원』을 읽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밀턴의 생태학적 관심을 점검해 봐야 하는 이유는 밀턴이 서 있는 시대적, 철학적 지점의 독특성 때문이다. 밀턴이 물려받은 시대상황의 흐름을 따라가 보면 과학 혁명, 지식 추구 패러다임의 변화, 이성적 주체에 대한 자각 등 물적, 지성적 질서의 변화를 발견하게 되는데 이는 17세기 당시 인간과 자연 간의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는 결정적인 배경으로 작용한다. 핵심은 밀턴이 이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느냐 하는 것이다. 베이컨과 함께 중세 스콜라 철학의 추상적 사유를 비판하며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고자 했던 그의 이념적 체계에서 생각해 본다면 밀턴은 자연을 보다 경험적, 실제적으로 접근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또한 창세기의 창조 신화를 빌려오는 과정에서도 밀턴이 인간중심적인 사고방식을 강조하거나 데카르트식의 주체적 자아가 지닌 중요성을 드러냈을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 이와 같이 복잡하게 얽힌 쟁점 속에 밀턴의『실낙원』이 자리잡고 있다. 기존의 논의와는 달리 이 논문은 밀턴이 자연과의 관계를 존재의 근본적 이유를 해석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이 논문은 자연 즉 창조물(creation)을 창조성(creativity)과 연결시킴으로써 신의 창조 이후에 이루어지는 인간의 재창조 과정과 자연을 포함한 모든 존재에 새로운 형식을 부여하는 정제화(refinement)의 작업에 매진하는 밀턴의 해석적 입장을 점검한다. 영어로 refinement인 정제화라는 단어는"다시 틀지운다" 혹은 "다시 경계지운다"는 어원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어떤 존재에 대해 올바른 형식을 새롭게 부여하는 일이 바로 정제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제화의 작업은 생태학적 관점에서 존재의 이유를 설명해 줄 뿐 아니라 전체를 하나로 보는 통합된 전일(全一)주의적 사고와 맞닿아 있다. 이것은 오늘날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는, 그래서 인간과 자연 사이의 생태학적 유대성을 깨는, 분리와 지배라는 단일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생태학적 전일주의는 지배 요구를 거부함으로써 주변화 되어 타자로서 존재하는 자연을 복권시키고 주체로서의 인간을 객체화시킴으로써 결속과 공유를 키워드로 하는 관계적 존재방식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밀턴의 생태학적 전망이 자리잡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밀턴이 지녔던 생태학적 전망의 역사적 중요성을 알 수 있다. 근래에 이르러서 환경문제가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가 대두된 소위 근대라고 일컬어지는 시점에서의 생태학적 전망을 따져보고 이 과정에서 그 해답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생태학적 문제의 발생학적 시점에서 이루어진 생태학적 논의들을 되짚어 봄으로써 환경문제의 원형적 해결 방식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간과 자연을 분리시킨 이분법적 사유가 자리를 잡기 시작한 시점에서 이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생태학적 전망을 제시한 작품을 발견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부터 많은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밀턴의『실낙원』이 바로 이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실낙원』과 『복락원』이란 제목자체가 암시하듯이 밀턴은 낙원의 상실과 회복에 대해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를 통해 인류가 생태학적 위기를 맞는 원인에서부터 그 위기를 극복하고 원시적 에덴을 회복하는 과정까지를 제시했다. 이 논문은 밀턴의 작품에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원적 방법을 얻었다. 그것은 생태학적 존재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인간의 존재 이해는 환경을 떠나서는 불가능하다는, 어찌 보면 너무나 당연한 것 같지만, 오늘날 우리가 되새겨야 할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는 말이다. 이런 점을 고려해 볼 때 현실적 혹은 기능적 차원에서 이 논문의 활용방안을 생각한다면 이 논문은 오늘날 우리가 안고 있는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밀턴의『실낙원』, 생태학적 담론, 가치 이원론, 상호 연관성 및 존중, 다양성 속의 조화, 낙원의 상실과 회복의 여정, 근대, 지식 추구 패러다임의 변화, 데카르트와 이성적 주체에 대한 자각, 베이컨의 과학적 사유와 유용성에 기초한 자연 이해, 칼뱅이즘, 창조성(creativity), 정제화(refinement)의 작업, 전일주의적 사고, 생태학적 존재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