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earch by Achievements Type > Reports View
Reports Detailed Information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919&local_id=10011722
부양 이전의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치매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Researcher who has been awarded a research grant by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Support Program of NRF has to submit an end product within 6 months(* depend on the form of business)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Project Number |
C00039 |
Year(selected) |
2004 Year
|
the present condition of Project |
종료 |
State of proposition |
재단승인 |
Completion Date |
2006년 04월 26일 |
Year type |
결과보고 |
Year(final report) |
2006년 |

Research Summary
-
Korean
-
부양 이전의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치매 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88명의 배우자 부양자를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기간은 치매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을 예측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가 ...
부양 이전의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치매 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88명의 배우자 부양자를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기간은 치매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을 예측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양 이전의 부부관계의 질은 치매노인 부양자의 역할부담감을 예측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즉, 부양 이전의 부부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부양자의 역할부담감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성인자녀 부양자에 비해 배우자 부양자를 위한 사회적 지원망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English
-
In a sample of 88 spouses who provide caregiving for their demented spou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duration of marriag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pousal caregivers. In con ...
In a sample of 88 spouses who provide caregiving for their demented spou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duration of marriag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pousal caregivers. In contrast,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prior to the onset of dementia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for feelings of role captivity. Spousal caregivers who had a higher level of prior relationship quality felt a greater feelings of role captivity. This might be the fact that social support was not available for spousal caregivers as much as adult child caregivers.

Research result report
-
Abstract
-
부양 이전의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치매 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88명의 배우자 부양자를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기간은 치매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을 예측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가 ...
부양 이전의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치매 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88명의 배우자 부양자를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기간은 치매노인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을 예측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양 이전의 부부관계의 질은 치매노인 부양자의 역할부담감을 예측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즉, 부양 이전의 부부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부양자의 역할부담감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성인자녀 부양자에 비해 배우자 부양자를 위한 사회적 지원망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Research result and Utilization method
-
최근 한국의 치매노인의 증가와 이러한 노인들의 부양 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노인부양이 부양자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들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
최근 한국의 치매노인의 증가와 이러한 노인들의 부양 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노인부양이 부양자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들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부양자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 분석에 부부관계의 질과 특성이라는 변수를 덧붙여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부양자들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리라고 기대해 본다.
-
Index terms
-
배우자 부양자, 치매노인 부양자, 부부관계의 질, 결혼기간, 심리적 복지감
-
Examination field of requesting this research issues( The ranking of possible field is up to 3rd place)
-
1Ranking :
자연과학
>
생활과학
>
가족학
>
성인및노년학
-
List of digital content of this reports
-
This document,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original author and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use copyrighted material for-profit
-
In addition , it does not allow the change or secondary writings of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