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101&local_id=10012181
위구르 카를륵 카간(747-759)의 계절적 이동과 그 성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위구르 카를륵 카간& #40;747-759& #41;의 계절적 이동과 그 성격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재훈(경상국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6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3월 1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위구르 카를륵 카간의 계절 이동은 冬營地인 외튀켄에서 하누이 강 유역의 초원으로 북상하여 춘영을 하고 그 다음에 여름을 나기 위해 서북 내지는 북방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런 계절 이동은 유목적 습속에 따른 것이었으나 그 양상은 초기부터 규칙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는 747년 부왕 사후 몽골 초원의 유목 부족들을 통합하기 위한 원정에 골몰하고 있어 상황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753년 체제 정비가 이루어졌다고 할 때까지 카를륵 카간의 계절적 이동 양상은 여름이면 서북방 내지는 북방으로 갔다가 겨울이 되면 다시 본거지인 몽골 초원의 중심인 외튀켄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보였다.
    그 이후 唐朝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체제 정비에 보다 박차를 가하던 카를륵 카간은 安祿山의 난을 군사적으로 지원하게 된 이후 758년 寧國公主가 시집오게 되자 그를 위해 도시 건설을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주의 거처로서 여름에는 셀렝게 강 북안에 바이 발릭이, 겨울에는 카라 발가순이 건설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카간이 비록 유목적인 습속에 따라 계절적인 이동을 한다고 하더라도 중국에서 온 공주와 자신을 돕는 소그드 상인들의 편의를 위한 시설의 확대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 이후 당조와의 정치․경제적인 관계가 강화된 뵈귀 카간시대 이후에는 현재 카라 발가순에 남아 있는 엄청난 크기의 도시 유적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동영지와 하영지 인근에 있는 도시 유적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런 도시의 발전과 함께 이후 위구르 카간들의 계절적 이동 양상은 그에 영향을 받아 칭겔테이 봉우리를 중심으로 한 삼각형 모양의 산지초원인 외튀켄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위치한 이 두 개의 고정적인 도시를 중심으로 왕래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왜냐하면 이것은 유목 군주가 공주만이 아니라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唐朝와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소그드 상인들의 활용이 늘어난 것과 무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국가의 변화 양상은 단순하게 국가의 발전만을 가져온 것이 아니라 정주적인 요소인 도시의 발전을 가져왔고 나아가 카간들의 계절적인 이동 양상에도 일정 정도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 영문
  • Uyghur Qarlïq Qaghan(747~759) left the winter camp at the holy Ötüken mountains, mountain steppe located at the southern part of triangle shape of area around Chingeltei Mountain, for northern area, the steppe of Hanui basin, to spend the spring season, and then moved to more northern area, the steppe of Selenge basin, and set his summer camp and stayed there during the summer season. Coming the winter season, he returned to his base located at the Ötüken area again. This is his regular course and pattern of seasonal migration followed the nomadic customs and habits. But it was not formulated a system at the first time of his reign. It was changeable because he, succeeded to his father's title in 747, had to campaign against the nomadic tribes and integrate them after his father, Qutlugh Bilge Kül Qaghan(744~747), had died. Until he reoccupied many nomad tribes of the Mongol steppe in 753, as he wrote in his memorial (Inscription of Tariyat), he couldn't show the regular seasonal migration as pointed out above. He just irregularly moved to north and northwest for pursuing and suppressing the nomadic tribes in the summer season. At then, he, needless to say, normally had to turn back to his base camp at the Ötüken area in the winter season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campaign.
    After 753, he focused on making a good relation with China, Tang court, for making marriage and getting much economical profit because it was good for his power concentration and stabilization of nation. It was not easy to come true his own way and denied by Chinese emperor, Xuan-Zong(玄宗), who had no idea to negotiate with Uyghur. Therefore, it took several year to accomplish his desire. Giving the military support to the Chinese court for suppressing the rebellion of An-Lu-Shan in 756, he, after all, could marry to Chinese princess, Ning-Guo-Gong-Zhu(寧國公主) in 758. The marriage of forced by political expediency was a good chance for him to be a super power in the nomadic world. He tried to offer convenience to Princess and Merchants of Soghdiana at the near of his summer camp. The first residence of princess was constructed at the steppe of Selege basin, as it called Bay Baliq, and also constructed the residences at the capital of Uyghur by the Orkhon basin, Qara Balghasun, for the winter season. He made the residences and attached facilities near his seasonal camp and they became the seasonal capitals of Uyghur. It showed that he was keeping the habit of nomadic seasonal migration and also gave attention to the convenience of the Chinese princess and the merchants of Soghdiana help him as an official.
    Increasing the economical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Uyghur and Chinese court in the era of Bögü Qaghan(759~780) who personally gave military assistance to China, the residences for sedentary peoples near the seasonal camps were more fully equipped, as showed the huge scale of Qara Balghasun and Bay Baliq site. Since then, as the result of Uyghur Qaghans continuously accepting of the sedentary factors and peoples helpful to them, their pattern of seasonal migration was to be regular and course was to be fixed. Owing to the permanent establishments and many peoples from the sedentary world, they had to move to summer capital, Bay Baliq and return to main capital, Qara Balghsun, in the winter season, in spite of they had set the base camp at the holy Ötüken a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위구르 카를륵 카간의 계절 이동은 冬營地인 외튀켄에서 하누이 강 유역의 초원으로 북상하여 춘영을 하고 그 다음에 여름을 나기 위해 서북 내지는 북방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런 계절 이동은 유목적 습속에 따른 것이었으나 그 양상은 초기부터 규칙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는 747년 부왕 사후 몽골 초원의 유목 부족들을 통합하기 위한 원정에 골몰하고 있어 상황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753년 체제 정비가 이루어졌다고 할 때까지 카를륵 카간의 계절적 이동 양상은 여름이면 서북방 내지는 북방으로 갔다가 겨울이 되면 다시 본거지인 몽골 초원의 중심인 외튀켄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보였다.
    그 이후 唐朝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체제 정비에 보다 박차를 가하던 카를륵 카간은 安祿山의 난을 군사적으로 지원하게 된 이후 758년 寧國公主가 시집오게 되자 그를 위해 도시 건설을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주의 거처로서 여름에는 셀렝게 강 북안에 바이 발릭이, 겨울에는 카라 발가순이 건설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카간이 비록 유목적인 습속에 따라 계절적인 이동을 한다고 하더라도 중국에서 온 공주와 자신을 돕는 소그드 상인들의 편의를 위한 시설의 확대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 이후 당조와의 정치․경제적인 관계가 강화된 뵈귀 카간시대 이후에는 현재 카라 발가순에 남아 있는 엄청난 크기의 도시 유적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동영지와 하영지 인근에 있는 도시 유적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런 도시의 발전과 함께 이후 위구르 카간들의 계절적 이동 양상은 그에 영향을 받아 칭겔테이 봉우리를 중심으로 한 삼각형 모양의 산지초원인 외튀켄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위치한 이 두 개의 고정적인 도시를 중심으로 왕래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왜냐하면 이것은 유목 군주가 공주만이 아니라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唐朝와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소그드 상인들의 활용이 늘어난 것과 무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국가의 변화 양상은 단순하게 국가의 발전만을 가져온 것이 아니라 정주적인 요소인 도시의 발전을 가져왔고 나아가 카간들의 계절적인 이동 양상에도 일정 정도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상의 연구 주제에 대한 연구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① 연구사적인 측면에서 이제까지 막연한 중국측의 기록이나 개설적인 측면에서 유목민들의 존재 양태를 설명하는 정도로 다루어졌을 뿐 실체적 접근이 전혀 없었던 위구르 유목제국시기 군주의 계절적 이동 양상에 대한 구체적 접근 시도를 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실제적으로 이제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위구르 시대 군주의 계절적 이동을 연구 주제로 설정하고 그 내용을 구체화해냄으로써 연구사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이다.
    ②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거란과 몽골제국의 경우를 다루었던 것을 한층 발전시켜 유목적 습속이 위구르시대에 어떻게 나타났는가 하는 점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를 발전시켰다. 기존에 적극적으로 도입된 유목 자체 기록 내용과 주변 정주지역의 기록을 연결시켜 유목사회 내부의 상황을 복원하려는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현지 답사를 통한 생생한 지리 및 환경 상황 정보를 문헌 정보와 연결시키려는 시도는 유목사 연구의 새로운 방법의 도입이다. 이것은 자료의 양적인 한계로 인해 밝혀내기 어려운 부분을 새롭게 접근하고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연구에 도입할 필요가 있고, 향후 연구에도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③ 본 연구는 국내 학계에서 아주 미미하게 전개되고 있는 희귀 학문 분야인 유목사에 대한 관심을 환기할 수 있다. 역사 분야 중에서 여타 분야와 달리 소외된 측면이 강한 유목사는 우리와는 동떨어져 있는 것과 같은 인식을 갖기 쉬우나 고대, 중세시기 몽골 초원의 동향이 바로 한반도의 역사 전개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그 자체에 대한 이해가 접근은 필수적이다. 물론 단순하게 우리 역사와 관련해 유목사의 전개가 필요한 측면도 있으나 그 보다 세계사의 전반적인 전개 과정에 대한 폭넓고 새로운 이해를 위해 유목사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④ 아주 현실적인 측면에서 현재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소위 "노매디즘"이나 환경 오염 등의 문제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해 "리사이클" 등과 같은 문제에 대해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것에 일정 정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것과 즉자적으로 연결되는 문제인 유목적 습속을 주제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遊牧’적인 요소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단순히 새로운 연구 가능성의 제시 등과 같은 측면에서만 활용이 한정된 것이 아니다. 교육 현장 일선에서 다양한 강의를 통해 학생들에게 유목사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및 그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비교적 여타 학문 분야에 비해 소외된 측면이 강한 유목사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강의는 동양사와 서양사로 구분되어 이해되면 세계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위구르 유목제국, 카를륵 카간, 계절적 이동, 유목, 유목적 습속, 정주적 요소, 외튀켄, 시네 우수, 카라 발가순, 바이 발릭, 夏營地, 冬營地, 春營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