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174&local_id=10012375
청말민국기 호남 장사부의 농업 생산과 상품 유통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청말민국기 호남 장사부의 농업 생산과 상품 유통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전형권(창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4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淸末民國期 특히 1930년대 이전까지를 주로 대상으로 하여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을 살펴보았다. 서언에서 밝힌 대로 本考의 문제의식은 半植民地半封建社會로 규정되어 있는 이 시기의 湖南 長沙府 농촌 사회가 구체적 실제적으로 어떻게 변모하고 있었는 가이다.
    米穀생산 부분에서 보면 洋米 수입 증가로 湖南米시장이 상실됨으로써 미곡유통이 활기를 잃은 것은 아니었다. 또 인구의 중가로서 米穀은 自給에 그쳐서 수출이 중단된 것도 아니었다. 농업생산은 기후 조건의 영향을 받아 풍흉의 변동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수확량으로 만 보면 매년은 하나의 파동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長沙府는 가경시기에 비해 민국전반에 거의 인구가 400만 정도 증가하였으나 1930년대 전반까지 米穀수출지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전에 주요 미곡 수출지가 아니었던 醴陵, 攸縣, 瀏陽, 茶陵 등지 까지 米穀생산이 확대되고 있다.
    雜糧의 재배도 주요 米穀생산지대인 長沙府에서 淸末民國期에 집중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옥수수, 고구마 특히 고구마 재배가 활발하다. 관련 지방지 史料 가운데 잡량으로 半年식량을 한다거나 잡량을 전부 먹고 米穀을 상품화 한다는 기재가 빈번하다. 이 잡량재배를 ‘제2차 식량혁명’이라 할 정도로 기여한 바가 컸다. 청말민국기에 長沙府의 인구가 갑절로 증가하였는데도 늘어난 인구의 부양뿐 아니라 揚子江하류 지역으로 미곡수출이 가능하게 한 힘의 상당부분은 이 잡량재배가 원인이었다.
    농업생산성은 분명히 향상되고 있다. 畝당 産量은 湘潭縣 경우 1738년 1.68石에서 同治7년(1868)에는 畝당 5.0石으로 증가하고 있다. 瀏陽縣도 淸전기의 1.97石에서 同治년간 3~4石 단계를 거쳐 민국시기 5.5石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長沙府 11縣을 검토해 보아도 畝당 생산량은 청말민국기에 분명히 높아지고 있다. 농사기술면에서도 민국기 지방지에는 農具항목이 신설되어 자세한 기록과 관심이 표현되고 있다. 民國예릉현지에 60여종의 農具가 摘示되어 있다. 구식 농기구의 개량이 이루어지고 미미하지만 長沙府에도 신식 농기구 도입과 품종개량이 시도된다. 외국 종자의 수입도 일부 시행된다. 施肥개량과 새로운 농법인 區田法도 실행되고 있다. 民國시기의 예릉현지에는 同治刊 현지보다 稻 품종이 4배나 늘어난 것도 발전적 측면이다.
    경제작물 생산에는 면화, 차, 桐油, 烟草 등이 국제 시장의 수요증대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생산이 확대되었다. 이것이 제국주의의 시장지배와 조종의 현상으로 이해되기 보다는 농업의 상품화가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에 적응하는 과정으로 여겨진다. 국제시장 수요의 감소는 품질 경쟁의 문제이지 제국주의의 정치적 억압 때문은 아니다. 생산의 증대와 상품판매,교역량 증대는 경제성장과 시장경제 강화로 이해된다.
    洋貨의 범람은 제국주의 침략의 경제적 표현으로 이해되고 전통수공업의 몰락, 파산으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洋貨의 수입은 국산洋貨의 등장을 촉진하고 국내 수공업의 개량을 자극한 것이 사실이다. 洋貨 유통이 넓은 지역은 미곡생산이 풍부하고 구매력이 높은 지역이었다. 洋貨소비의 급증은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이었다.
    米價와 물가는 비교 가능한 정확한 통계가 부족하다. 넓은 범위에서 다룰수록 도량형, 화폐의 상이로 인해 비교자체가 곤란하다. 여기서 예릉현의 물가표를 분석해 본 결과 米價의 상승추세는 구매물가인 塩, 煤油 ,洋紗 등과 비교해서 결코 낮지 않고 오히려 높은 편이었다. 제국주의 침략기라는 청말민국기에 농민의 생활수준도 오히려 향상되고 있다. 洋貨사용의 보편화, 煤油 또는 전기사용, 시계, 안경, 약품 등 전통시대에 없던 신문명에 접촉하고 있다.
    총괄하면 淸末民國期는 湖南 長沙府의 농촌사회에서도 경제성장과 시장경제로의 발전이 진행되고 있었다. 발전 속도가 완만하고 빈곤 농민이 생활파탄에 도달한 자도 있지만 이 현상에 ‘제국주의 전부책임론’을 매기는 것은 옳지 못하고 ‘제국주의 부분책임론’은 가능할 것이다. 상당 부분은 내부적인 원인에 찾아야 할 것이다.
  • 영문
  • The research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rm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goods at Hunan Changshafu during the last period of Qingand the Republic.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the farming society of Hunan Changshafu during that period had changed.
    In terms of rice production, rice market did not lose its vigor due to the increased import of rice. Farming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weather and there must be up and down in the production of rice. It was found that until 1930, the population during the last period of Qing and the Republic had increased by 4 millions and Changshafu played as an important place for rice export. The area of rice farming extended to Liling, Youxian, Liuyang, and Chaling.
    The farming of minor grains extended in Changshafu at the end of Qing. They grew corns and sweet potatoes, in particular. Farming minor grains like corns and sweet potatoes was called "the 2nd food revolution" and it contributed greatly to the period of Qing. During the last stage of Qing, the population of Changshafu doubled. But farming those grains enabled the country to feed its people and export rice to the area of the lower Yangtse river.
    The productivity of farming increased. The amount of production per Mu increased from 1.68 Shi in 1738 to 5.0 Shi in 1868 at Xiangtanxian. Also, it increased 1.97 Shi during the former term of Qing, 3-4 Shi during Tongzhi, and 5.5 Shi during the Republic. The amount of production per Mu evidently increased at the end of Qing when compared to Changshafu 11Districts. Regarding farming techniques, the documents about farming tools in the regional documents show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ools. In the Liling Hsien Zhi are listed about 60 kinds of farming tools. The old farming tools improved and they were introduced to Changshafu. Grain seeds were part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The economic farm products such as cotton, tea, oil, were sensitive to the international markets and the amount of production naturally increased. This is understood more as a process of adapting to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than the phenomenon of imperialistic manipulation of market economy. The decrease of demand at the international markets was not due to the political pressure of imperialism; rather, it was due to the problem of quality of goods. The increase of farm products, the sale of goods, and the increase of circulation of goods are understood as the reinforcement of economic growth and market economy.
    The overflowing of foreign commodity was considered as economic invasion of imperialism and led to the collapse and bankruptcy of traditional handiwork. However, the import of foreign commodity stimulated the appearance of domestic western commodity and the improvement of domestic handiwork. The production of rice was also high in the area where foreign commodity was used extensively and purchasing power was growing up. The rapid increase of foreign commodity meant that the economy and the level of life elevated.
    The statistics about the price of rice and that of other goods lacks. The analysis of price list in Liling District shows that the price of rice was higher than that of western cotton, oil, and so on. The living standard of farmers during the last stage of Qing leveled up. They had contact with diverse goods of new period (new civilization) such as electricity, watch, glasses, medicines, in addition to foreign money.
    In sum,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ere economic growth and market economy in the rural area of Hunan Changshafu at the end of Qing periodand the Republic. The growth was slow and some farmers went bankrupt. But it would not be right to say that it was due totally to imperialism, although it was partially true. A great deal of causes should be investigated from the inside of the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淸末民國期 특히 1930년대 이전까지를 주로 대상으로 하여 湖南 長沙府의 농업생산과 상품유통을 살펴보았다. 서언에서 밝힌 대로 本考의 문제의식은 半植民地半封建社會로 규정되어 있는 이 시기의 湖南 長沙府 농촌 사회가 구체적 실제적으로 어떻게 변모하고 있었는 가이다.
    米穀생산 부분에서 보면 洋米 수입 증가로 湖南米시장이 상실됨으로써 미곡유통이 활기를 잃은 것은 아니었다. 또 인구의 중가로서 米穀은 自給에 그쳐서 수출이 중단된 것도 아니었다. 농업생산은 기후 조건의 영향을 받아 풍흉의 변동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수확량으로 만 보면 매년은 하나의 파동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長沙府는 가경시기에 비해 민국전반에 거의 인구가 400만 정도 증가하였으나 1930년대 전반까지 米穀수출지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전에 주요 미곡 수출지가 아니었던 醴陵, 攸縣, 瀏陽, 茶陵 등지 까지 米穀생산이 확대되고 있다.
    雜糧의 재배도 주요 米穀생산지대인 長沙府에서 淸末民國期에 집중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옥수수, 고구마 특히 고구마 재배가 활발하다. 관련 지방지 史料 가운데 잡량으로 半年식량을 한다거나 잡량을 전부 먹고 米穀을 상품화 한다는 기재가 빈번하다. 이 잡량재배를 ‘제2차 식량혁명’이라 할 정도로 기여한 바가 컸다. 청말민국기에 長沙府의 인구가 갑절로 증가하였는데도 늘어난 인구의 부양뿐 아니라 揚子江하류 지역으로 미곡수출이 가능하게 한 힘의 상당부분은 이 잡량재배가 원인이었다.
    농업생산성은 분명히 향상되고 있다. 畝당 産量은 湘潭縣 경우 1738년 1.68石에서 同治7년(1868)에는 畝당 5.0石으로 증가하고 있다. 瀏陽縣도 淸전기의 1.97石에서 同治년간 3~4石 단계를 거쳐 민국시기 5.5石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長沙府 11縣을 검토해 보아도 畝당 생산량은 청말민국기에 분명히 높아지고 있다. 농사기술면에서도 민국기 지방지에는 農具항목이 신설되어 자세한 기록과 관심이 표현되고 있다. 民國예릉현지에 60여종의 農具가 摘示되어 있다. 구식 농기구의 개량이 이루어지고 미미하지만 長沙府에도 신식 농기구 도입과 품종개량이 시도된다. 외국 종자의 수입도 일부 시행된다. 施肥개량과 새로운 농법인 區田法도 실행되고 있다. 民國시기의 예릉현지에는 同治刊 현지보다 稻 품종이 4배나 늘어난 것도 발전적 측면이다.
    경제작물 생산에는 면화, 차, 桐油, 烟草 등이 국제 시장의 수요증대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생산이 확대되었다. 이것이 제국주의의 시장지배와 조종의 현상으로 이해되기 보다는 농업의 상품화가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에 적응하는 과정으로 여겨진다. 국제시장 수요의 감소는 품질 경쟁의 문제이지 제국주의의 정치적 억압 때문은 아니다. 생산의 증대와 상품판매,교역량 증대는 경제성장과 시장경제 강화로 이해된다.
    洋貨의 범람은 제국주의 침략의 경제적 표현으로 이해되고 전통수공업의 몰락, 파산으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洋貨의 수입은 국산洋貨의 등장을 촉진하고 국내 수공업의 개량을 자극한 것이 사실이다. 洋貨 유통이 넓은 지역은 미곡생산이 풍부하고 구매력이 높은 지역이었다. 洋貨소비의 급증은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이었다.
    米價와 물가는 비교 가능한 정확한 통계가 부족하다. 넓은 범위에서 다룰수록 도량형, 화폐의 상이로 인해 비교자체가 곤란하다. 여기서 예릉현의 물가표를 분석해 본 결과 米價의 상승추세는 구매물가인 塩, 煤油 ,洋紗 등과 비교해서 결코 낮지 않고 오히려 높은 편이었다. 제국주의 침략기라는 청말민국기에 농민의 생활수준도 오히려 향상되고 있다. 洋貨사용의 보편화, 煤油 또는 전기사용, 시계, 안경, 약품 등 전통시대에 없던 신문명에 접촉하고 있다.
    총괄하면 淸末民國期는 湖南 長沙府의 농촌사회에서도 경제성장과 시장경제로의 발전이 진행되고 있었다. 발전 속도가 완만하고 빈곤 농민이 생활파탄에 도달한 자도 있지만 이 현상에 ‘제국주의 전부책임론’을 매기는 것은 옳지 못하고 ‘제국주의 부분책임론’은 가능할 것이다. 상당 부분은 내부적인 원인에 찾아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현재 중국은 서부 대개발이란 새로운 과제를 실행하려고 하고 있다. 주로 연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개발과 현대화의 진행은 서부 내륙 지방의 낙후와 선진 지역의 발전 사이에 현격한 격차를 발생시켰다. 백여년 전의 중국 근대화 과정에서도 광주 상해의 급속한 현대화에 비해 내륙의 낙후는 나타난 현상이었다. 호남 지역은 이런 근대화 과정에서 2단계 발전의 기수에 해당한다. 주요 곡창 지대로서 선진 지대에 대한 식량 공급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나름의 근대화 과정을 밟아 왔다.
    종전 사회주의 중국 출현의 역사적 정당성을 강조하는 나머지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적대의식의 고취 , 제국주의 책임론이 지나치게 강조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실증적 조사에 의하면 그것은 역사적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다. 중국 농촌 특히 연구 대상 지역인 호남 장사부를 검토하면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고 경제 규모의 확대 , 생활 수준의 향상 등이 주목된다. 즉 경제성장과 시장경제의 발전이 특징이다.
    '80년대 한국 사회 지배구조와 사회 구성체 논쟁이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다. 결론은 한국이 식민지 반봉건사회라는 것이었다. 반미자주가 투쟁의 구호가 되었다. 이 이론은 1930년대 중국의 반식민지반봉건사회 이론에 기초한 것이다. 현재 사회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잘못된 진단이 이후의 잘못된 노선을 낳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의 이른바 '양반론'이 사실이 아닌 연역적 도식 이론임이 분명해 지리라 생각된다. 이것은 현재 우리나라의 역사 인식과 노선 정립에 참고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동시에 중국에 대한 단선적 시각을 버리고 중국이 하나의 거대한 대륙이며 호남성과 같은 중부 내륙 지방이 풍부한 자원과 독자적인 역사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단순히 표면의 접점만을 보고 얼마간의 상품 판매를 시도할 것이 아니라 중국의 깊은 뿌리 토대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색인어
  • 반식민지반봉건사회 농업생산력 양화 곡천상농 경제성장 시장경제 생활 수준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