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176&local_id=10012606
한국과 일본 유치원, 보육시설에서의 전통 유아 놀이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과 일본 유치원, 보육시설에서의 전통 유아 놀이 비교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기숙(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5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0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과 보육시설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통 유아 놀이 현황 및 유아 교사들의 인식을 전국적으로 조사하여 두 나라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은 전국 16개 시․도별로, 일본은 전국 47개현별로 무선 표집하여 각 나라의 유아 교사 1200명씩(유치원 교사 600명, 보육시설 교사 600명) 총 2400명에게 전통 놀이 관련 연구를 참고로 연구자들이 개발한 설문지(한국용, 일본용)를 배포하고 회수한 결과, 1018명의 한국 교사, 634명의 일본 교사가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한국과 일본 간에 공통된 전통 유아 놀이가 존재하지만 놀이의 종류에 따라 교사들이 알고 있고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유치원과 보육시설에서 전통 유아 놀이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현황과 교사들의 인식 역시 한․일간에 유사점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 영문
  • A Comparative Study on Children's Traditional Play
    in Kore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ir traditional play status and kindergarten teachers' knowled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18 Korean teachers and 634 Japanese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From the survey results, Korea and Japan both have traditional play; however, depending on play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play and the degree in which those traditional plays were actually perform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과 보육시설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통 유아 놀이 현황 및 유아 교사들의 인식을 전국적으로 조사하여 두 나라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은 전국 16개 시․도별로, 일본은 전국 47개현별로 무선 표집하여 각 나라의 유아 교사 1200명씩(유치원 교사 600명, 보육시설 교사 600명) 총 2400명에게 전통 놀이 관련 연구를 참고로 연구자들이 개발한 설문지(한국용, 일본용)를 배포하고 회수한 결과, 1018명의 한국 교사, 634명의 일본 교사가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한국과 일본 간에 공통된 전통 유아 놀이가 존재하지만 놀이의 종류에 따라 교사들이 알고 있고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유치원과 보육시설에서 전통 유아 놀이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현황과 교사들의 인식 역시 한․일간에 유사점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한국과 일본 간에는 공통된 놀이가 존재하지만 놀이에 따라 교사들이 알고 있고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도는 한․일간에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과 보육시설에서 전통 유아 놀이를 적용하는 현황 역시 한․일간에 유사점과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앞으로 좀 더 전통 놀이가 문화적인 맥락에서 고려되어져야 한다는 Huizinga(1993)의 견해를 뒷받침해준다.
    둘째, 한․일 유치원과 보육시설 교사들의 전통 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본 결과, 양국 교사들은 모두 전통 유아 놀이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 대부분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이유에 있어서는 양국 교사들의 인식 간에 차이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볼 때 실제로 한국과 일본 교사들은 모두 전통 유아 놀이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전통 놀이에 대한 사전지식이 부족하여 유아들에게 지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전통놀이를 비교 문화적 입장에서 재조명해봄으로써 놀이를 발달적 차원에서 연구하던 편협성에서 벗어나 놀이와 문화의 진정한 의미와 본질을 기초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문화적 다양성이 놀이의 기회와 형태에 영향을 주고 또한 다양한 문화적 조건들을 만들어 간다고 볼 때, 놀이와 문화의 관련성을 찾고 의미를 규정하는 일은 무엇보다 필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놀이는 문화의 원인인 동시에 결과로 비추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놀이가 갖는 문화 내, 문화 간의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은 전통 유아 놀이가 어떻게 유치원과 보육시설 교육과정의 중심부분으로 통합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학문적 담론과 후속연구의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유치원(kindergarten) 보육시설(child care center) 전통 유아 놀이(Children's traditional play) 비교연구(comparative study)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