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188&local_id=10012124
상생화용(相生話用)교육을 위한 한국 사회 언어 소통 기초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상생화용& #40;相生話用& #41;교육을 위한 한국 사회 언어 소통 기초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현섭(경인교육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7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기초 연구로서 이 연구가 조명하고자 하는 연구 내용의 핵심은 ‘한국사회의 언어소통 현상’이다. 이 현상 속에는 통시적 현상으로서의 전통도 있고, 공시적 현상으로서의 구조나 문화의 양상 등도 있다. 또 이를 바탕으로 현상을 진단하고 그 교육적 대응을 기획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세 가지 국면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는 언어 소통과 관련한 한국의 문화적 사상적 전통이 오늘날의 언어 소통 현상에 어떤 토양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을 살펴보았다. ‘상생화용’이 우리의 철학과 사상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그 인식론적 의미망을 형성해 왔는지를 연구하였다.
    둘째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언어 소통 현상이 어떤 중층적(重層的)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것을 알아보았다. 소통 현상의 중층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현대 사회에서 소통의 상호 교섭적 특성과 미디어 생태, 그리고 인간 발달의 측면에서 주로 살펴보았다.
    셋째는 앞의 논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 소통의 문제적 현상들과 그 원인 요소들을 진단하고, 언어교육의 영역과 기획 안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한국사회 언어소통의 문제들에 대한 검토와 진단을 시도함으로써, 상생화용의 교육적 필요성을 일정 부분 원리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해결하는 과정은 상생화용교육의 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다지고 방법론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도록 하였다. 인간 소통의 본질에 관한 다양한 인식론적 명제들에 대해 오늘의 소통현상을 중심으로 조명한 것은 ‘상생화용’이라는 개념을 발전적 국어교육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영문
  • The point of study details this research would like to enlighten as a basic study is 'the verbal communication phenomenon of Korean society'. In this phenomenon, there is a tradition as diachronic phenomenon and also the structure as public phenomenon or the cultural aspect. Also, there can be diagnosis of phenomenon based on this and planning its educational countermeasure. For this, the research of three situations has been in progress.

    First, an examination for what type of grounds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tradition of Korea related to verbal communication provide on today's verbal communication phenomenon has been performed. A research on how the 'Sang-Saeng' Communication Education' was dealt with in our philosophy or ideology and forming its epistemological semantic network.

    Second, the information on what type of multi-layered structure the verbal communication of today's Korean society possesses has been found out. Because there's limitation in recognizing the multi-layered nature of communication as a whole, the examination was done in the aspects of mutual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conditions of media and human development for the most part.

    Third, based on results of previous discussions, the problems of communication in Korean society and their source factors have been diagnosed and a way to overcome them within the realm of language education and planning has been presented. By attempting review and diagnosis on problems of verbal communication in Korean society, a potential to theorize the academic necessity of Sang-Saeng' Communication Education for certain parts has been discovered.

    we have made it so that the process of solving above research details would have close link with consolidating the theoretic foundation and ensuring methodical justification for practicing the Sang-Saeng' Communication Education. The reason for enlightening various epistemological propositions on the essence of human communication centered on today's communication phenomenon was to reconceptualize the concept called 'Sang-Saeng' Communication Education' at the standpoint of developmental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상생화용교육이라는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의 영역을 뚜렷하게 설정·부각하고 있는 연구이다.‘상생의 화용’은 실천의 영역이면서 동시에 이론과 문화의 두터운 토양을 모색함으로써 얻어낼 수 있는 테마이다. 요컨대 이 연구는 상생의 가치를 지향하는 ‘언어사용의 실천적 교육론(practical pedagogy of language)’을 수립해 보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 연구의 기초연구다운 성격은 ‘상생화용’이라는 실천의 경지를 체계화하고 실천의 원리를 모색하기 위한 기반을 살펴보겠다는 기획에서 찾을 수 있다.
    기초 연구로서 이 연구가 조명하고자 하는 연구 내용의 핵심은 ‘한국사회의 언어소통 현상’이다. 이 현상 속에는 통시적 현상으로서의 전통도 있고, 공시적 현상으로서의 구조나 문화의 양상 등도 있다. 또 이를 바탕으로 현상을 진단하고 그 교육적 대응을 기획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세 가지 국면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는 언어 소통과 관련한 한국의 문화적 사상적 전통이 오늘날의 언어 소통 현상에 어떤 토양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을 살펴보았다. ‘상생화용’이 우리의 철학과 사상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그 인식론적 의미망을 형성해 왔는지를 연구하였다.
    둘째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언어 소통 현상이 어떤 중층적(重層的)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것을 알아보았다. 소통 현상의 중층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현대 사회에서 소통의 상호 교섭적 특성과 미디어 생태, 그리고 인간 발달의 측면에서 주로 살펴보았다.
    셋째는 앞의 논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 소통의 문제적 현상들과 그 원인 요소들을 진단하고, 언어교육의 영역과 기획 안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한국사회 언어소통의 문제들에 대한 검토와 진단을 시도함으로써, 상생화용의 교육적 필요성을 일정 부분 원리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해결하는 과정은 상생화용교육의 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다지고 방법론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도록 하였다. 인간 소통의 본질에 관한 다양한 인식론적 명제들에 대해 오늘의 소통현상을 중심으로 조명한 것은 ‘상생화용’이라는 개념을 발전적 국어교육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통하여 개인적・집단적 가치와 지향 및 이해관계의 차이가 자칫 큰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현대 사회에는 ‘타자성(otherness)’의 인식에 바탕을 둔 상생적 소통의 철학과 실천이 교육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중요하게 요청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금까지의 언어사용 교육이 소통의 기능적・도구적 측면에 초점을 두어왔기 때문에 언어교육의 윤리성과 사회적 책무성이 대폭 확장되어야 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것은 언어사용의 개인적(심리적) 가치에서 비롯하여 사회 윤리적 가치에 이르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점에서 이 연구는 국어교육이 인문교육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좀 더 내적 합리성을 갖출 수 있는 이론의 토대를 요청받고 있음을 확인해 주고 있다. 언어사용의 윤리성을 담보하는 교육은 선언적 구호나 추상적 원리의 암기로 이루러질 일은 아니다. 구체적 현상과 구체적 문제와 구체적 실천 전략을 수반하는 교육 내용을 가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상생 화용’은 그러한 요청의 한 전형으로서 인정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연구는 우리가 살아가야 할 새로운 사회 생태와 미디어 소통 환경에 부응하는 언어 사용의 철학적 인식론적 기반을 어떻게 마련하고 대응해야 할 것인지를 드러내어 보이는 연구로서 일정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대중매체와 인터넷 등의 새로운 매체의 활발한 이용으로 생기게 되는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현상들의 특성과 문제들을 전향적 관점으로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일어날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에서 일어날 문제에 미래 사회의 구성원들이 새롭게 구성해야 할 소통 문화의 형질이 어떠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사례와 시사점을 제공하였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젊은 세대들은 분명 기성세대와는 전혀 다른 생각과 가치관을 가지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소통 매체와 방식을 가지고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데 이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고 있다. 이에 우리사회 개인 구성원이나 기관이나 단체 등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바람직한 소통문화를 형성하도록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새로운 소통 문화는 새로운 문제를 낳을 것이고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고 바람직한 새 소통문화를 창조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역시 상생화용의 내용 기획에 좋은 참조 준거를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 각 소통 공간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실천적 문제와 해결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다. 또 그런 방향의 사회적 의제가 마련되고 교육 및 문화 정책들이 수립되는 데도 일정한 기여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우리의 소통 문화의 통시적 맥락은 온고지신(溫故知新)의 관점에서 새롭게 재개념화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또 현재의 문제 소통 현상들은 그 원인과 대처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을 촉발함으로써 각 영역의 교육에 직접적으로 전이되거나 원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현재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맺고 있는 인간관계 형성과 갈등 구조 해결 방식에 새로운 해결법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교육 실천의 내용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본질적으로는 문화 교육 내지는 소통 문화의 변화라는 데에 이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요컨대 이 연구는 향후 우리 사회의 소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론을 마련하기 위한 후속 연구들로 이어져서 그 연구 성과들이 우리 사회 전반의 소통 문화를 형질 면에서 바꾸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상생 화용의 원리가 새로운 정치 문화, 새로운 가족 문화, 새로운 직장 문화, 새로운 노사 문화, 새로운 학교 문화 등으로 개별화되고 그 독자성을 형성하는 것이 곧 상생 화용의 일반화라 할 수 있다. 개인이나 국가 모두 지나친 경쟁으로 투쟁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21세기에 현대문명과 생태계의 조화, 개인과 집단의 조화, 경쟁하면서도 상대를 배려하고 서로 발전해 가는 상생화용의 소통문화가 정착된다면 이는 세계 각국의 공존과 상호 번영과 행복 달성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것을 지나치게 무시하거나 지나치게 중시함으로써 이루지 못했던 시행착오를 줄이고, 우리의 것(과거와 현재)을 알고 다른 나라와 민족과 상호 소통함으로써 발전을 모색하는 새 출발이 될 것이다. 기초 연구로서 이 연구는 선언적인 양상을 띠는 부분이 많겠지만 각 영역의 구체적 연구 업적들이 쌓이고 현실적인 적용을 해감으로써 향후에는 다양하고도 구체적인 성과들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상생, 상생화용교육, 언어소통, 언어소통 현상, 중층적 구조, 상호 교섭, 한국 사회의 전통적 사유 방식, 화쟁, 유가의 언어관, 기독교적 언어관, 기호, 가족 소통, 학교 소통, 대중매체 소통, 인터넷 소통, 미디어 리터러시, 멀티리터러시, 국어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