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200&local_id=10012134
정부조직의 권위주의 문화와 조직생산성 관계에 관한 한․미간 비교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부조직의 권위주의 문화와 조직생산성 관계에 관한 한․미간 비교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광국(가톨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9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를 통해 몇 가지의 의미 있는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가 미국에 비해 인지도 측면에서 권위주의 문화수준에 대한 인지도가 전반적으로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결과는 통상적으로 우리나라가 미국에 비해 권위주의 문화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인식과 정반대의 결과이다. 이러한 이유로는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인식하는 권위주의 문화에 대한 기본적 속성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데에서도 유추할 수 있겠지만, 미국 공무원의 경우 우리나라에 비해 더욱 전문적인 영역의 업무만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권위주의 문화수준이 더욱 높을 수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권위주의 문화요인 중에서 환경요인이 변화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즉 외부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직내부의 변화가 곧 권위주의 문화수준을 약화시키고, 이로 인해 조직성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우리나라 관료조직에 아직도 상당한 정도의 권위주의 문화가 상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동안 권위주의 문화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지만 거의 전부 규범적 차원에서 머물러 실제 행정부처의 조직관리자에게 유용한 지침을 제공해 주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권위주의 문화 측면을 이해하기 위하여 권위주의를 개념적으로 세분화하고, 이를 다시 구조적, 행태적, 환경적 차원으로 나누어 권위주의 문화실체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려고 하였다. 권위주의 문화는 조직 구조적 측면, 행태적 측면, 환경적 측면에서 파악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권위주의 문화 해소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중앙정부 부처의 권위주의 문화수준을 진단하기 위하여 평가영역을 조직구성원 행태, 조직구조, 조직환경으로 분류한 후, 이들 평가영역을 개인, 집단, 조직수준에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권위주의 문화를 청산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 중앙정부 부처 내에는 상당한 정도의 권위주의 문화가 상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국내외 문헌을 검토한 결과, 권위주의 문화는 단일차원이 아닌 다차원적 개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단위 분석에서는 조직구성원 행태영역의 압력행사, 연고주의, 행정편의주의, 조직구조 영역의 의사결정의 참여 제한, 계급중심의 업무분장, 상급자의 정보독점 그리고 조직환경 영역의 명령복종 중시, 서열위주 사무실 환경, 고객의견 미반영이 권위주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집단단위 분석에서는 조직구성원 행태영역의 압력행사, 상관의 부당한 지시, 행정편의주의, 조직구조 영역의 상급자의 정보독점, 의사결정의 참여 제한, 승진중시 그리고 조직환경 영역의 특권의식, 위계질서 중시, 환경변화에 대한 저항성이 권위주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단위 분석에서는 조직구성원 행태영역의 압력행사, 행정편의주의, 남녀간 차별의식, 조직구조 영역의 승진중시, 보고체계의 복잡성, 의사결정의 참여 제한 그리고 조직환경 영역의 특권의식, 환경변화에 대한 저항성, 조직비전 공유 저조가 권위주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 영문
  • 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itarian culture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authoritarian culture' definition and to empirical study the influence of the authoritarian cultur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 of public service personnel of government(Korea and U.S.A.) The results show that it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implies that organizational environment factor was influenced the chang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mong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member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on the authoritarian culture. This article is to empirical study of the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level on the government agencies(National Police Agency,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Ministry of Labor and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 government agencies.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mong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member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on the job position.
    Therefore, to withdraw the authoritarian culture at the government agencies is to find a strategy through the problems of the origin, analytical, coordination though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에서 조직 내 권위주의 문화와 조직성과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연구의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권위주의 문화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하고, 권위주의 문화 형성 및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한국과 미국에서 권위주의 문화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비교한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권위주의 문화를 해소하기 위해 어떤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지를 모색해본다.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권위주의 문화, 특히 환경 요인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이에 기초해 조직 내 권위주의 문화를 청산하기 위한 대책이 종합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행정조직 내 권위주의 문화에 대한 연구는 행정혁신뿐만 아니라, 정부조직의 생산성 개선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면밀하고도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권위주의 행정문화 형성 및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구조적, 행태적, 환경적 측면 중에서 주로 어디에 근원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또한 중앙정부 4개 부처(경찰청, 문화관광부, 노동부, 행정자치부)를 대상으로 권위주의 문화수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조직구성원 행태와 조직구조에서 4개 부처간 권위주의 문화수준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조직환경에 있어서 4개 부처간 권위주의 문화수준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급에 있어서는 평가영역별로 권위주의 문화수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앙정부 부처의 권위주의 문화를 청산하기 위해서는 권위주의 문화의 발생원인에 대한 순환적 인과관계[조직구성원 행태↔조직구조↔조직환경, 개인↔집단(부서)↔조직(부처)]에 초점을 둔 사고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에 고정된 사고를 탈피하고, 문제가 어떻게 야기되는 가를 설명할 수 있는 근원적 사고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정부조직에서 권위주의 문화를 완화하고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조적 측면에서는 부하들에게 권한위임을 통한 재량권 확대와 또한 의사결정 참여의 확대를 통한 상향식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업무방식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경영기법들의 과감한 도입을 통해 기존의 관행적인 업무 프로세스(process)에서 과감히 탈피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무원 행태적 측면에서는 계급과 서열위주의 일방향적인 명령방식에서 탈피해 부하들의 재량권을 확대하는 상관들의 행태변화가 우선적으로 있어야 할 것이다. 즉 구조적 변화로 실제 피부로 느껴질 수 있도록, 일방적 상하관계가 아니라 계층질서 내에서도 전문적으로 분화된 업무를 수행하는 동료라는 의식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직에서 승진, 보수, 인사평가에서 실적을 더욱 중시하는 성과관리에 대한 인식전환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공무원 행태적 측면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신념, 가치관, 행태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조직발전기법인 OD 프로그램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즉 서베이 환류(survey feedback), QC, 과정상담, 팀 빌딩(team building) 등과 같은 기법이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환경적 측면에서는 비공식적 활동의 활성화를 통한 조직문화의 변화전략이 있어야 할 것이다. 즉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학습동아리 등과 같은 자발적 실행공동체(Cop)의 강화가 더욱 필요할 것이며, 이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인센티브 제도가 일시적인 이벤트가 아니라 제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원 상호간에 관심과 배려를 촉진하기 위한 행태나 다양한 문화활동의 장려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권위주의 문화, 특히 환경 요인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이에 기초해 조직 내 권위주의 문화를 청산하기 위한 대책이 종합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즉, 기존의 조직구조 설계 일변도나 조직구성원의 행태 변화 전략에서 탈피하여 구조, 행태, 환경 모두를 아우르는 통합적 측면에서의 권위주의 문화에 대한 완화 또는 청산 전략이 필요하며, 이는 부처의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규범적 측면에서 보다는 경험적 자료에 근거한 세부 전략이 도출될 필요가 있다.
  • 색인어
  • 권위, 권위주의, 조직문화, 조직생산성, 조직성과, 한미간 비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