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226&local_id=10011992
제한적 합리성과 적응적 사고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제한적 합리성과 적응적 사고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윤석주(경상국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2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인지과학에서 인간 이성과 행위에서 논리규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보고되어 합리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기거렌쩌와 그의 동료들은 제한적 합리성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전통적 합리성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합리성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또는 모형을 찾아내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의 추론과 행위는 적응적 사고의 결과이다. 또한 실제 세계에서의 합리성은 생태적이고, 제한적이며, 사회적, 발견법적이라는 것이다.
    우리의 연구에서는 제한적 합리성이라는 개념을 검토하고 이것의 잠재력과 한계를 진단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하였다. 첫째로, 우리는 제한적 합리성의 의미와 역사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 판단과 생태구조가 분리될 수 없으므로 판단과 정보 표상에서의 유기적 관계모형에 대해 조사한다. 여기서 인지 모형은 유기적 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주어진다. 세 번째로, 판단과 정보표상에 대한 유기관계모형을 과학교육에 응용하여 오개념 문제를 다룬다. 네 번째로, 실제 문제를 푸는 데 있어 법률, 규칙, 규정의 역할을 제한적 합리성과 관련하여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과학적 합리성과 제한적 합리성을 비교하여 보고, 제한적 합리성의 한계를 지적한다.
  • 영문
  • The study of cognitive science raised questions about the rationality of human reasoning and actions, by reporting many reasoning errors that failed to follow the logical rules. In these situations, G. Gigerenzer and his colleagues suggest the bounded rationality model. It is an effort to question the very idea of traditional rationality itself, and to figure out a new paradigm or model for rationality. They pay attention to the adaptive nature that is possessed by our huma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ir study, human reasoning and actions are the result of adaptive thinking. Also, the rationality in the real world is ecological, bounded, social, and heuristic.
    Our study examines the idea of bounded rationality, and to diagnose its potentials and limitations. For this purpose,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develops as follows. First, we define the idea and history of bounded rationality. Second, we investigate the organistic relational model of judgment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that the inseparability of judgment and ecological structure implies in bounded rationality. Here, a recognition model is given based on the organistic relational model. Third, we discover the clue to solve the problem of misconception by applying the organistic relational model of judgment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to scientific education. Fourth, we discuss the role of law, rule and norm that are applied to practical problem solving in coherence to bounded rationality. Finally, we compare the traditional arguments of scientific rationality and the idea of bounded rationality, and indicate the limitations of bounded rationa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계몽시기 이후, 판단, 정보의 표현과 행위는 보편적 규칙이나 원리를 따라 수행되는 합리적인 것으로 믿어졌다. 인간의 판단, 논리, 의사결정을 뒷받침하는 표준규칙들이 연역논리나 알고리즘, 확률법칙의 원리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고전적 합리주의의 근거는 개인주의 관점에서 파악된 ‘이성의 자율성’(autonomy of rationality)이였다. 고전 합리주의는 대부분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원인을 무시한다. 그렇지만, 1970년대 이후, 추론, 의사결정, 판단에서 규칙들이 일관성이 없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별히, 인지과학에서는 인간 이성과 행위에서 논리규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에 대해 보고되어 합리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기거렌쩌와 그의 동료들은 제한적 합리성을 제한하였다.
    이것은 전통적 합리성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합리성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또는 모형을 찾아내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첫째로 그들은 여러 가지 이분법을 -즉, 논리와 심리학, 형식과 내용, 이론적인 것과 실천적인 것,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 생물학적인 것과 문화적인 것- 거부한다. 이러한 이분법을 제거한 후, 그들은 인간 인지에 포함된 적응적 특성에 주의를 기울인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의 추론과 행위는 적응적 사고의 결과이다. 또한 실제 세계에서의 합리성은 생태적이고, 제한적이며, 사회적, 발견법적이라는 것이다. 현재, 제한적 합리성은 전통적 합리성의 반성에 성립된 학제간 연구의 주요 연구 대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한적 합리성이라는 생각을 검토하고 이것의 잠재력과 한계를 진단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될 것이다. 첫째로, 우리는 제한적 합리성의 의미과 역사를 알아본다. 두 번째로, 판단과 생태구조가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판단과 정보 표상에서의 유기적 관계모형에 대해 조사한다. 여기서 인지 모형은 유기적 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주어질 것이다. 세 번째로, 판단과 정보표상에 대한 유기관계모형을 과학교육에 응용하여 오개념 문제를 다룬다. 네 번째로, 실제 문제를 푸는 데 있어 법률, 규칙, 규정의 역할을 제한적 합리성과 관련하여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과학적 합리성과 제한적 합리성을 비교하여 보고, 제한적 합리성의 한계를 지적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로, 실제 세계에서는 전통적 합리성보다는 제한적 합리성이 문제해결에 쓰일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제한적 합리성은 새롭다기보다는 인간의 적응적 사고의 결과로 이미 주어져 있는 것이다. 제한적 합리성은 생태적이고, 제한적이며, 사회적, 발견법적이다. 이러한 인식은 과학과 철학에서 인간의 합리성을 이해하는 하나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제한적 합리성에서는 판단과 생태구조가 생태적이며 분리될 수 없는데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문제풀이에 있어서 유기적 관계모형을 제안하였다. 문제풀이의 새로운 인지모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판단과 정보표상에 대한 유기관계모형을 과학교육에 응용하여 오개념 문제를 다루었다.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이 갖는 오개념은 잘못된 개념이 아니고 과학적인 것과 일상적인 것을 맥락에 따라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오개념 문제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였다.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오개념을 다루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로, 실제 문제를 푸는 데 있어 법률, 규칙, 규정의 역할을 제한적 합리성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실생활의 문제해결에서는 보편적인 원리를 추구하기보다 규범의 영역 특수성과 형성과정에 작용하는 사회 문화적 압력을 고려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면 실제적인 갈등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한적 합리성의 한계를 조사하였는데, 문제 해결에 개입하는 인지 전략의 적응도를 따지는 맥락의 범위를 벗어나, 생태적, 사회적, 그리고 역사적 측면에서 실제 우리의 사고와 행위를 제한하는 여러 방식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색인어
  • 규범, 오개념, 제한적 합리성, 적응적 사고, 현실세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