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227&local_id=10010654
북한이탈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 대구와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북한이탈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 대구와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배한동(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0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1월 0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분단이 장기화되면서 통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경향 특히, 점점 더 통일에 대한 의지가 줄어들고 있고, 그런 가운데 남한과 북한 사이의 사회문화적 이질화는 가속화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통일을 이루어가는 과정뿐만 아니라 훗날 통일이 되었을 때, 하나의 사회로 통합되는데 따른 혼란을 줄여줄 수 있는 해법의 실마리를 우리와 더불어 지역사회에서 삶의 터전을 찾아가고 있는 북한이주민들을 통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지역사회 단위의 선행 조사연구가 없는 가운데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104명의 북한이주민들의 적응 실태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각도로 분석하고 문제점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의 통일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하면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강사)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대구와 경북지역의 초⋅중등 및 대학교를 각각 1개교씩 선정하여 이들 학생들에게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수업지도안)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통일교육관련 수업에 대한 관심도 내지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효율성 또한 제고된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본 연구가 의도하였던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실성이 입증되었다는 종합적 평가를 제시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다만,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이 짧고 수업 준비과정이 다소 미흡하였다는 점 외에도 학교 당국으로부터의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했던 점도 각각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후의 평가를 토대로 향후 북한이주민의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참여 확대와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면서 이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력풀의 구축과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북한이주민들에 대한 재교육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정부차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과 함께 지역사회의 통일관련 NGO들과의 유기적인 연대의 필요성도 지적해 볼 수 있다.
  • 영문
  • This paper is an essay for applying increasing North Korean Escapees recently as resources of th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an show a solution for some adaptation problems of North Korean Escapees in local community, and also this can lessen students' indifference to unification problems and enhance unification will.
    In other words, this is to seek 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North Korean Escapees' particip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that introduce social and real condition of North Korea.
    For the purpose of the pape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nd these were applied to elementary,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chosen in Daegu and Kyungbook area. On the basis of this estimation, this paper shows some suggestions for these, together with examining North Koreans' participation extension and support pla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분단이 장기화되면서 통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경향 특히, 점점 더 통일에 대한 의지가 줄어들고 있고, 그런 가운데 남한과 북한 사이의 사회문화적 이질화는 가속화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통일을 이루어가는 과정뿐만 아니라 훗날 통일이 되었을 때, 하나의 사회로 통합되는데 따른 혼란을 줄여줄 수 있는 해법의 실마리를 우리와 더불어 지역사회에서 삶의 터전을 찾아가고 있는 북한이주민들을 통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지역사회 단위의 선행 조사연구가 없는 가운데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104명의 북한이주민들의 적응 실태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각도로 분석하고 문제점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의 통일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하면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강사)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대구와 경북지역의 초⋅중등 및 대학교를 각각 1개교씩 선정하여 이들 학생들에게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수업지도안)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통일교육관련 수업에 대한 관심도 내지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효율성 또한 제고된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본 연구가 의도하였던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실성이 입증되었다는 종합적 평가를 제시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다만,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이 짧고 수업 준비과정이 다소 미흡하였다는 점 외에도 학교 당국으로부터의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했던 점도 각각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후의 평가를 토대로 향후 북한이주민의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참여 확대와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면서 이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력풀의 구축과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북한이주민들에 대한 재교육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정부차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과 함께 지역사회의 통일관련 NGO들과의 유기적인 연대의 필요성도 지적해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남한사회의 정착에 필요한 심리적 안정과 물질적 지원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에 대해서는 일부 북한이주민들이 참여의사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자원 즉, 성, 연령, 학력, 북한에서의 직업, 취업 현황 등에 대한 통계자료를 함께 수집하여 이들 가운데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인사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혔다. 아울러 본 연구가 의도하고 있는 것처럼 이들이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 자체로도 남한 사회의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둘째, 피교육자들을 대상으로 북한 및 통일관련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우려하였던 것처럼 이들의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고 통일의지 또한 높지 않았다. 또한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겠지만 북한 사회 및 통일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인식도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나타나고 있다. 두 번째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는데 이로써 이 프로그램의 효과가 기대되었다.
    셋째,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수업을 받은 후 학생들의 해당 수업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였다. 대구와 경북지역의 초⋅중등 및 대학교를 각각 1개교씩 선정하여 이들 학생들에게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수업지도안)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통일교육관련 수업에 대한 관심도 내지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효율성 또한 제고된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본 연구가 의도하였던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실성이 입증되었다는 종합적 평가를 제시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다만,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이 짧고 수업 준비과정이 다소 미흡하였다는 점 외에도 학교 당국으로부터의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했던 점도 각각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북한이주민의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참여 확대와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면서 이에 대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력풀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북한이주민들에 대한 재교육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셋째, 정부차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과 함께 넷째, 지역사회의 통일관련 NGO들과의 유기적인 연대의 필요성도 지적해 볼 수 있다.
    앞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에 대한 체제 적응의 일환으로서 그리고 학생들에게는 추락하고 있는 북한 및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과 통일의지를 제고시켜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따른 적용이 다른 일반 학생들에게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끝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 색인어
  • 북한이주민, 탈북자, 학교 통일교육, 통일교육 프로그램, 의식조사, 대학생, 중등학생, 초등학생, 북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