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232&local_id=10011966
정보화시대의 제국: 21세기 미국의 지식/네트워크 세계전략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보화시대의 제국: 21세기 미국의 지식/네트워크 세계전략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상배(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1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제국으로 개념화되는 21세기 세계정치의 구조와 작동방식 및 변화의 동인(動因)을 미국의 21세기 세계전략에 대한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추진하였다. 이전의 제국들과는 달리 미국이 군사, 외교, 경제, 문화 등의 전 영역에 걸쳐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지구적 제국’이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은, 2차 대전이래 미국이 첨단 지식을 생산․활용․전파하는 ‘지식 제국(knowledge empire)'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제1장 "정보화시대 제국의 분석틀"에서는 21세기 제국의 개념이 최근 미국이 주도하여 새롭게 구성하고 있는 ‘집중의 세계질서’를 이해하는 데는 도움을 주지만, 21세기 세계정치 변화의 다른 측면, 즉 글로벌 거버넌스로 개념화되는 ‘탈집중의 세계질서’에 대한 논의를 충분하게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1장은 제국과 글로벌 거버넌스의 부상으로 대변되는 21세기 세계질서의 변화를 분석적으로 밝히기 위한 이론적 시도로서 지식/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시각을 제안하였다. 제2장 "정보화시대의 군사제국: 미 군사변환전략과 한미동맹에 대한 함의"에서는 미국의 군사전략을 통해 정보화 시대 제국의 군사적 특성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펼쳤다. 특히 제2장은 미국의 네트워크 중심의 군사안보전략이 작동되는 방식을 통해 제국적 특성을 집중 분석하였다. 세계화와 정보혁명, 탈냉전, 9.11 이후 국제안보환경의 변화 등 제반 여건은 미국이 압도적인 힘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미국 혼자 힘으로 모든 것을 완수하기는 갈수록 어려워지는 추세를 지적하였다. 제3장 "정보화시대의 제국적 지식외교: 미국 부시행정부의 변환외교의 사례"에서는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등장한 미국이 외교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제3장은 21세기 들어 새롭게 변모해가고 있는 미국의 외교를 정보화기술, 제국화, 지식외교의 특성에 집중하여 분석함으로써, 미국외교의 특성을 밝히는 한편, 이를 미국의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과정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비단 미국 뿐 아니라 모든 국가들이 일면 공유하고 있고, 앞으로 하나의 표준으로 공유하게 될 수도 있는 외교의 변화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4장 "정보혁명과 경제제국: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관점"에서는 현재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는 미국제국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과거의 패권쇠퇴론이나 현재의 미국제국론 등 미국의 세계 정치적 위상과 관련된 논란이 단순한 수사를 넘어 보다 공고한 학문적 논의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세계정치에서 미국이 행사하는 권력의 토대와 작동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제4장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에서 미국 기업의 위상을 컴퓨터, 신발, 항공산업의 사례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제5장 "정보화시대의 문화제국: 실리우드를 중심으로"에서는 실리우드(Siliwood)의 사례를 통해서 IT변수를 매개로 하여 집중과 탈집중의 네트워크 모델이 국가의 안과 밖에서 만들어가고 있는 21세기 문화세계정치의 동학을 살펴보았다. 실리우드는 지난 한 세기 동안 글로벌 영화산업의 종주로 군림해왔던 할리우드(Hollywood)의 스튜디오들이,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첨단 IT분야 실리콘밸리(Silicon Valley)의 기업들과 제휴하는 현상을 지칭한다. 실리우드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확대 재생산되고 있는 미국 세계패권의 문화적 측면을 반영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권력 개념을 바탕으로 부상하는 21세기 문화제국의 정치질서를 극명하게 대변한다.
  • 영문
  •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knowledge factors in the rise of U.S. global power in the 21st century recently conceptualized as "empire" from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Chapter 1, "A Framework for Empire in the Information Age," argues that the concept of "empire,"" which gains a lot of attention in recent years, is helpful in analytically understanding a centralizing aspect of world order transformation which the United States has been newly reorganizing in the 21st-century. The concept, however, has explanatory limitations in that it misses another decentralizing aspect of world order transformation, usually conceptualized as "global governance." In this context, chapter 1 proposes a perspective of the global politics of knowledge/network as a theoretical attempt to explain these two aspects of world order transformation, which are seeming contradictory, but are closely interconnected. Chapter 2, "military empire in the information age: U.S. Strategies for Military Transform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U.S-Korean Alliance," attempts to elaborate the militaristic nature of the empire in the information ag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imperialistic tendency of U.S. foreign policy by analyzing network-centric nature of military-security strategy. Ironically, since the 9/11 terrorist attacks, despite overwhelming U.S. power,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for the U.S. to manage everything by itself. As a result, the necessity to create amicable network for the United States is expected to increase. Chapter 3, "Imperial Knowledge Diplomacy in the Information Age: The Case of Transformational Diplomacy of the Bush Administration in the U.S." argues that Great changes in the 21th century in international relations have had transformative effects on diplomacy. The US as the only superpower longing for international legitimacy is eager to acquire international endorsement in every foreign policy, especially in counter-terrorist war, pays special attention to international public diplomacy. Chapter 3 traces the diplomatic transformation in the 21th century and tries to find out if this change will be followed by more comprehensive, post-modern change in international affairs. Chapter 4, "Information Revolution and Economic Empire: The Perspective of Global Production Network," analyzes the bases and working of power that USA has had on global political economy, in order to estimate properly the various arguments about 'American empire.' This study, in particular, tries to examine the role of US firms in global production network to see where US firms are located, based upon the three cases of computer, footwear, and aerospace industries which represent the different types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Chapter 5, "Cultural Empire in the Information Age: The Case of Siliwood," examines the case of Siliwood--a term derived from Silicon Valley and Hollywood--in the global entertainment industries. Siliwood is the strategic alliance between Hollywood studios that have dominated the global movie market for the last century and IT companies located in Silicon Valley that are rising as the engine of industrial growth for the next century. In a broader sense, however, Siliwood should be understood as one of the most remarkable examples of U.S. global hegemony that are reproduced in the information age, and it also means global political order reorganized by the 21st-century cultural empire armed with a new form of soft pow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2차 대전 이후 국제정치학의 역사를 면밀히 살펴보면, 당시 세계정치의 변화를 응축해서 반영하는 다양한 개념들의 출몰이 관찰된다. 최근 십여 년간의 세계정치 변화를 담아내려는 시도들만을 보더라도 다양한 개념들이 학계에 등장하여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지난 수년간 서구 국제정치학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제국(empire)’도 냉전이 종식된 이후 변화하는 세계정치의 본질을 파악하려는 대표적인 개념적 시도 중의 하나이다. 21세기를 맞이하는 한국의 상황을 고려할 때, 제국에 대한 논의를 단순한 수입담론의 형태를 빈 학문적 유행으로 치부하기보다는 좀 더 진지한 태도를 가지고 사회과학적으로 엄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제국으로 개념화되는 21세기 세계정치의 구조와 작동방식 및 변화의 동인(動因)을 미국의 21세기 세계전략에 대한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이러한 작업에 있어서 본 연구가 특별히 주목한 것은 정보화로 인해 새로이 등장한 기술․정보․지식이라는 변수가 21세기 제국의 형성과 작동에서 담당하는 세계정치적 역할이다. 실제로 최근의 제국 개념은 이전의 개념들이 상정하였던 것과는 다른 세계정치의 현실을 담아내고 있으며, 9.11 테러 이후 미국이 주도하여 새롭게 짜고 있는 21세기 세계질서의 모습을 부분적으로나마 매우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미국이라는 제국이 이끄는 새로운 세계질서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세계정치의 각 하위영역에서 제국의 작동방식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했었다. 제국의 연구는 이론적으로 그 논지를 정교화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경험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서 보완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가 탐구한 주요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21세기의 제국은 내적으로 어떠한 아키텍처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어떠한 논리에 의거하여 어떠한 수단을 통해서 작동하는가 21세기의 제국은 근대적인 의미의 ‘제국주의’와는 어떻게 다르며, 어떠한 내적 논리를 가지고 성장하여 어떠한 조건에서 외적으로 발현되었는가 21세기의 제국이 종전의 ‘제국적 질서’와 다른 측면이 있다면 이를 가능하게 만든 동인(動因)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의 연속선상에서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의 지식패권을 바탕으로 부상한 미국의 제국 네트워크의 경험적 사례를 군사․외교․경제․문화의 영역에서 간략히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파악한 21세기 미 제국의 모습은 군사변환(military transformation), 변환외교(transformational diplomacy), 글로벌 생산네트워크(global production network), 실리우드(Siliwood) 등으로 요약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오늘날 벌어지고 있는 세계정치의 변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그에 대한 국가적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1세기 제국과 지식/네트워크화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체계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그에 합당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밑바탕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적어도 대외적인 문제를 올바로 이해하고 특히 오랫동안 한국의 동맹국이었던 21세기 제국으로서 미국의 새로운 변화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전통적인 국제정치이론으로는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었던 탈국가적, 탈집중/집중적 현상들을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이론틀을 시도하는데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21세기 미국의 세계전략의 군사적, 외교적, 이념적, 경제적, 문화적 기초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정보기술이 21세기 군사, 외교, 산업, 문화를 전반적으로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요컨대 정보화시대 미국 제국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함으로써, 정보와 지식의 수집 및 생산, 지식에 기반을 둔 해결의 틀 마련, 더 나아가 한국 중심의 해결책과 이념, 지식을 정보화기술을 통해 적극적으로 전파시키는 전략을 마련해 갈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정보혁명, 제국, 지식, 네트워크, 군사변환, 변환외교,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실리우드, 군사제국, 제국외교, 경제제국, 문화제국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