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245&local_id=10012642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에 관한 비교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에 관한 비교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광수(건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4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경쟁정보에 관한 국내외의 기존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이 사회적, 문화적, 법률적 차이로 인해 국가별로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경쟁정보 활동에 관한 이론이 지나치게 미국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Teo & Prescott, 2000). 둘째, 미국 위주의 경쟁정보 이론이 가질 수 있는 잠재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글로벌 경쟁정보 활동의 연구를 위해서는 경쟁정보 활동에 관한 국제적 비교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으나, 불행하게도 이러한 국제적 비교연구가 현재로서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Dishman, Fleisher, & Knip, 2003). 이러한 경쟁정보에 관한 기존문헌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거시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계획 하에서 2년간의 다년과제로 제안되었다. 1차년도의 연구는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을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문헌조사 및 인터뷰조사를 통하여 이 기업들 각각의 경쟁정보 활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와 이 기업들 간의 탐색적 조사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이번 결과보고서의 중심인 2차년도의 연구에서는 1차년도의 탐색적 사례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에 대한 실증적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의 유사점 및 차이점에 대한 실증적 검증, 미국 중심의 경쟁정보 이론의 일반화 검증, 글로벌 경쟁정보 활동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도출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활동에 관한 비교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기업과 미국기업 모두가 경쟁정보 사용자 니즈파악, 정보수집, 정보분석정보전달, 정보사용자 피드백 등을 포함한 경쟁정보활동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각 단계별 활용정도는 양국기업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말해, 양국기업 간에 니즈파악, 정보수집, 정보전달, 피드백 과정은 별 차이가 없으나, 경쟁정보 분석과정은 한국기업보다 미국기업이 보다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기업과 미국기업 간에 경쟁정보활동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보수집을 위한 각종매체 활용정도, 아웃소싱 활용정도, 정성적 분석 활용정도, 사내데이터베이스 활용정도, 정보전달 방법에 있어서는 양국 기업이 비슷하나, 정보수집을 위한 인맥 활용정도와 계량적 분석 활용정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한국기업이 미국기업보다 인맥 활용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미국기업이 한국기업보다 계량적 분석 활용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히 경쟁정보활동 기반 측면에서 한국기업과 미국기업 간에 상당히 많은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경쟁정보활동 목적에서 볼 때 양국 기업간의 차이가 보이지 않으나, 그 외의 모든 기반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한국기업에 비해 미국기업이 보다 많은 경쟁정보 독립부서, 보다 큰 경쟁정보활동 규모, 보다 높은 경쟁정보 윤리성, 보다 높은 경쟁정보 공개성, 보다 높은 관심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활동에 있어 여러 가지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경쟁정보활동에 있어 양국 기업 간의 차이점은 기업특성에 의해서 일부 설명될 수 있겠으나, 그 보다도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문화적, 제도적 환경에 의해서 더 잘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한 제도적 환경 내에 존재하는 기업들 사이에는 경쟁정보활동 모습이 서로 다를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제도적 환경 하에 있는 기업들 사이에는 경쟁정보활동 모습이 더 크게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쟁정보활동에 관한 이론개발을 위해 각 국가의 사회문화적, 제도적 환경을 반드시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현재 미국 중심의 경쟁정보활동에 관한 이론의 국제적 일반화 가능성에 분명히 한계가 있어 보인다.
  • 영문
  • Literature reviews on competitive intelligence (CI) reveal the following shortcomings. First, despite that CI practices can vary across countries due to their socio-cultural and legal differences, existing theories on CI center around US companies' CI practices (Teo & Prescott, 2000). Second, although evaluating the potential problems of US-based CI theories requires comparative studies on CI practices across countries, there exist no such studies in the literature (Dishman, Fleisher, & Knip, 2003). To address this weakness in the CI literature, this research has empirically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n CI practices between Korean and US firms, thereby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of CI practices between them, evaluating the generalizability of US-based CI theories, and deriving the implications for global CI practices.
    This research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both Korean and US firms go through the same CI process, including indentifying CI needs, collecting information, analyzing information, disseminating information, and getting feedback, but they are somewhat different in the extent to which they utilize each of these stages. Specifically, US firms tend to utilize the stage of analysis more than Korean firms, and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other stages of CI process between them. Second,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the methods of CI practices between Korean and US firms. Korean firms tend to rely more on personal networks than US fimrs, and US firms tend to utilize quantitative analysis of CI more than Korean firms. Third, there seem to b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I infrastructure between Korean and US firms. US firms tend to have more independent CI units, larger CI units, higher ethical standards, greater openness of CI, a greater attention to CI than Korean firms.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I practices between Korean and US firms. We assume that these differences stem primarily from socio-cultural and institution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and we argue that socio-cultur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developing CI theories. In this regard, the generalizability of US-based CI theories seems to be limi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경쟁정보에 관한 국내외의 기존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이 사회적, 문화적, 법률적 차이로 인해 국가별로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경쟁정보 활동에 관한 이론이 지나치게 미국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Teo & Prescott, 2000). 둘째, 미국 위주의 경쟁정보 이론이 가질 수 있는 잠재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글로벌 경쟁정보 활동의 연구를 위해서는 경쟁정보 활동에 관한 국제적 비교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으나, 불행하게도 이러한 국제적 비교연구가 현재로서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Dishman, Fleisher, & Knip, 2003). 이러한 경쟁정보에 관한 기존문헌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거시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계획 하에서 2년간의 다년과제로 제안되었다. 1차년도의 연구는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을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문헌조사 및 인터뷰조사를 통하여 이 기업들 각각의 경쟁정보 활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와 이 기업들 간의 탐색적 조사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이번 결과보고서의 중심인 2차년도의 연구에서는 1차년도의 탐색적 사례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에 대한 실증적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 활동의 유사점 및 차이점에 대한 실증적 검증, 미국 중심의 경쟁정보 이론의 일반화 검증, 글로벌 경쟁정보 활동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도출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활동에 관한 비교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기업과 미국기업 모두가 경쟁정보 사용자 니즈파악, 정보수집, 정보분석정보전달, 정보사용자 피드백 등을 포함한 경쟁정보활동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각 단계별 활용정도는 양국기업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말해, 양국기업 간에 니즈파악, 정보수집, 정보전달, 피드백 과정은 별 차이가 없으나, 경쟁정보 분석과정은 한국기업보다 미국기업이 보다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기업과 미국기업 간에 경쟁정보활동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보수집을 위한 각종매체 활용정도, 아웃소싱 활용정도, 정성적 분석 활용정도, 사내데이터베이스 활용정도, 정보전달 방법에 있어서는 양국 기업이 비슷하나, 정보수집을 위한 인맥 활용정도와 계량적 분석 활용정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한국기업이 미국기업보다 인맥 활용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미국기업이 한국기업보다 계량적 분석 활용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히 경쟁정보활동 기반 측면에서 한국기업과 미국기업 간에 상당히 많은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경쟁정보활동 목적에서 볼 때 양국 기업간의 차이가 보이지 않으나, 그 외의 모든 기반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한국기업에 비해 미국기업이 보다 많은 경쟁정보 독립부서, 보다 큰 경쟁정보활동 규모, 보다 높은 경쟁정보 윤리성, 보다 높은 경쟁정보 공개성, 보다 높은 관심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활동에 있어 여러 가지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경쟁정보활동에 있어 양국 기업 간의 차이점은 기업특성에 의해서 일부 설명될 수 있겠으나, 그 보다도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문화적, 제도적 환경에 의해서 더 잘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한 제도적 환경 내에 존재하는 기업들 사이에는 경쟁정보활동 모습이 서로 다를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제도적 환경 하에 있는 기업들 사이에는 경쟁정보활동 모습이 더 크게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쟁정보활동에 관한 이론개발을 위해 각 국가의 사회문화적, 제도적 환경을 반드시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현재 미국 중심의 경쟁정보활동에 관한 이론의 국제적 일반화 가능성에 분명히 한계가 있어 보인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학문적인 기여를 살펴보면, 본 연구는 거의 첫 번째로 국가간 기업 경쟁정보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는데 큰 학문적 의미가 있다고 본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국 중심의 경쟁정보 이론이 여러 면에서의 국가별 차이 때문에 국제적으로 일반화되는 것이 어려워, 경쟁정보 이론을 개발함에 있어 국가별 차이를 감안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또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자들의 관심을 크게 끌지 못했던 글로벌 경쟁정보 이론 구축을 위한 중요한 연구결과를 제공한다. 실무적 기여를 살펴보면, 먼저 본 연구는 국내 경쟁정보 연구를 활성화시켜 기업으로 하여금 경쟁정보 활동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하고,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프로세스를 구축함으로써, 더 높은 수준의 국제경쟁력을 가지게 하는데 공헌한다. 또한 국내의 기업 경쟁정보 모형과 미국의 선진 기업 경쟁정보 모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선진 경쟁정보 활동에 관해 벤치마킹이 가능한 부분을 한국기업에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글로벌 경쟁정보 활동에 대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결과를 국내외 유명 연구중심의 학술지에 게재하여 글로벌 경쟁정보 활동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또한 경쟁정보의 국가간 비교연구를 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이론적, 방법론적 접근에 대한 지식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국내외 유명 실무중심의 학술지에 게재하여 미국 선진기업의 경쟁정보 활동과 비교해 국내 전문가들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실무자들에게 글로벌 경쟁정보 활동에 관해 국가별로 서로 다른 면을 부각시킴으로서 그들이 보다 효과적인 글로벌 경쟁정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생 및 교육자에게 한국기업뿐만 아니라 미국기업의 경쟁정보 활동 및 그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서도 학습할 수 있게 한다.
  • 색인어
  • 경쟁정보활동, 비교연구, 한국기업, 미국기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