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31&local_id=10009611
청소년의 조기유학 결정과정과 적응, 초국가적 가족관계 형성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청소년의 조기유학 결정과정과 적응, 초국가적 가족관계 형성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혜영(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5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1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근래에 부각되고 있는 조기유학생 이슈 및 그와 관련되어 파생되는 사회현상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언론매체의 보도나 수집된 통계 자료를 통해 조기유학생 수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그와 관련하여 기러기 아빠나 기러기 엄마 등 독특한 가족 관계가 파생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조기유학생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대책이나 비전을 마련하여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등장하고 있다.
    부정적, 긍정적 해석들이 난무하는 가운데 조기유학은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기유학을 떠난 학생들이나 그 가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언론의 단발성 보도가 주를 이루는 상황이며,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른 전망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이 연구는 조기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조기유학의 결정과정 및 조기유학생의 현지 적응 방식, 조기유학 후 파생되는 가족 관계의 성격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기유학 언론 담론 분석
    언론담론 분석에서는 1997년-2005년 동안 동아일보의 조기유학관련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에서 제도화된 언론을 통해 조기유학 급증현상이 어떤 시선으로 조명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2) 청소년 조기유학 결정과정
    조기유학 청소년 면담자료를 통해 청소년의 조기유학 결정과정을 배출요인과 유인요인, 지구화 요소, 부모의 사회문화적 자본 동원과 관련시켜 살펴보았다.

    3) 조기유학 청소년의 적응
    조기유학 청소년들의 유학 생활 적응 면 중 학업적응, 교사, 친구, 생활 면에서의 적응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4) 초국가적 가족관계
    조기유학 청소년들의 거주 방식을 살펴보면 엄마와 체류하거나, 친척집에 거주, 홈스테이를 하거나, 형제와 거주하는 경우, 지인가족과 거주하는 경우 등이 있었다. 이들의 거주 방식에 따라 조기유학 청소년들의 국경을 가로질러 체류하고 있는 가족 구성원과의 상호작용방식과 관계도 다양해진다.
  • 영문
  • This study departs from the social issue and related phenomenon called "jo-gi-yu-hak"(early study abroad). We have notice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aborad keeps rapidly increasing and they brought about unique styles of family relations across the national boundaries. Despite the continuous increase of public concerns over the early study abroad and related social issue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vestigating such phenomenon. Thus, people had to rely on the reports of public media and/or personal episodes introduced in the magazin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and pay-offs of early study abroad.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process of early study abroad, mainly focusing on decision-making process, adjustment, and family relations of youths staying in the U.S. for their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such process, this study employed in-depth interviews with youth themselves who currently studying abroad and some of their parents. Also, we scrutinized media discourse in order to find out the changes of policy and public image of early study aborad. This study consists of mainly four parts: first it illuminates the discourse change of newspaper reports on study abroad between 1997 to 2005; second, it investigate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early study abroad; third, it looks into the adjustment process of youth studying abroad; and fourth it finds out how family members relate with each other while staying across the national boundar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근래에 부각되고 있는 조기유학생 이슈 및 그와 관련되어 파생되는 사회현상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언론매체의 보도나 수집된 통계 자료를 통해 조기유학생 수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그와 관련하여 기러기 아빠나 기러기 엄마 등 독특한 가족 관계가 파생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조기유학생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대책이나 비전을 마련하여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등장하고 있다.
    부정적, 긍정적 해석들이 난무하는 가운데 조기유학은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기유학을 떠난 학생들이나 그 가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언론의 단발성 보도가 주를 이루는 상황이며,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섣부른 전망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이 연구는 조기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조기유학의 결정과정 및 조기유학생의 현지 적응 방식, 조기유학 후 파생되는 가족 관계의 성격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기유학 언론 담론 분석
    언론담론 분석에서는 1997년-2005년 동안 동아일보의 조기유학관련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에서 제도화된 언론을 통해 조기유학 급증현상이 어떤 시선으로 조명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2) 청소년 조기유학 결정과정
    조기유학 청소년 면담자료를 통해 청소년의 조기유학 결정과정을 배출요인과 유인요인, 지구화 요소, 부모의 사회문화적 자본 동원과 관련시켜 살펴보았다.

    3) 조기유학 청소년의 적응
    조기유학 청소년들의 유학 생활 적응 면 중 학업적응, 교사, 친구, 생활 면에서의 적응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4) 초국가적 가족관계
    조기유학 청소년들의 거주 방식을 살펴보면 엄마와 체류하거나, 친척집에 거주, 홈스테이를 하거나, 형제와 거주하는 경우, 지인가족과 거주하는 경우 등이 있었다. 이들의 거주 방식에 따라 조기유학 청소년들의 국경을 가로질러 체류하고 있는 가족 구성원과의 상호작용방식과 관계도 다양해진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유학국가별, 지역별 유학생 현황 및 실태 파악, 정보제공
    2) 획일적인 유학규제보다는 유학 관련 다원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임
    3) 조기유학 인력 풀 활용 방안 모색
    4) 조기유학 배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공교육의 여러 측면에 대한 제고 및 삶의 질 함양 교육 필요
  • 색인어
  • 청소년, 조기유학, 적응, 가족관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