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34&local_id=10012771
晴窓軟談의 批評樣相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晴窓軟談의 批評樣相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수천(동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05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3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晴窓軟談』은 조선 중기 象村 申欽이 저작한 시화집이다. 그 내용을 보면 『晴窓軟談』은 단시간에 저작된 것이 아니라 상당한 시일을 두고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전체적 구성과 대부분의 기사가 신흠의 放逐 및 유배의 시기에 저술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 시기가 신흠의 나이 48세에서 57세까지이므로 이 시기에 저작된 『晴窓軟談』은 그의 성숙한 문학의식이 응축된 성과라 할 수 있다.
    『晴窓軟談』에서 거론한 작가들은 거의 대부분이 唐風과 관련성을 지닌 인물들이다. 신흠은 중국 시문의 경우 唐詩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이후의 시들도 唐詩와의 연관성을 염두에 두고 기사를 선별했던 것이다. 또 한국 시문의 경우에도 唐風을 고려해 조선의 명가들을 비평하고 있다. 이런 점들은 신흠이 『晴窓軟談』을 일정한 구도 아래 체계적으로 저술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하겠다.
    신흠이 『晴窓軟談』의 기사 대상으로 삼은 인물들에게서도 나름의 독자적인 특이성이 엿보인다. 卷上의 경우 唐詩에 주안점을 두면서 일부 대가들의 작품에 치우치기보다 당대 전시기에 걸쳐 다양한 시인들의 작품을 평가하고 있음이 지적된다. 이는 卷上으로 만든 기사의 분량이 많지 않아 특정 대가의 작품에 치우치기보다 간과하기 쉬운 여러 인물들의 시세계를 두루 보여주고자 한 신흠의 의도가 개입된 것이다.
    신흠의 문학적 관점도 唐詩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는 唐詩에 대한 깊고 올바른 이해를 갖지 않고 단지 唐詩의 모방만 일삼는 당대의 문인들을 경계하고, 宋詩라고 하여 무조건 배척할 것이 아니라 蘇軾과 같이 높은 경지의 문학성은 충분히 수용하고 배워야 함을 말하였다. 세인들은 唐詩를 존숭하면 宋詩를 무조건 배척하고, 宋詩를 따르는 사람들은 唐詩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데 이들은 모두 한쪽으로 치우친 편벽된 견해라 비판을 했다. 唐詩가 쇠퇴하자 그 시적 경지가 떨어졌고, 宋詩가 흥성하자 그 시적 경지가 높이 올라갔음을 신흠은 명확히 인식했다. 신흠이 宋代 최고의 시인인 蘇軾을 높이 평가한 것은 이런 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唐詩를 추숭하면서도 宋詩의 긍정적 가치를 함께 인정했던 것이다.
  • 영문
  • ‘Cheongchangyeondam(晴窓軟談)’ is a book of Sihwa(詩話) written by Sangchon Shinheum(象村 申欽) who was a famous poet during the middle period of Chosun(朝鮮) dynasty. It was made for a long time not short days. The whole formation and a lot of articles prove that it was written during his banishment and exile.
    The most poets who are made a subject of discussion on the ‘Cheongchangyeondam(晴窓軟談) have relation with the inclination of T'ang(唐風) almost. Shinheum(申欽) had selected some articles centering around the poems of T'ang(唐詩) and some articles thinking with the inclination of T'ang(唐風). On the case of Korean poems, he had critiques on the Korye(高麗) and Chosun(朝鮮) dynasty's famous poems considering the inclination of T'ang(唐風). These are some evidences that Shinheum(申欽) had made the ‘Cheongchangyeondam(晴窓軟談)' by his intended constitution.
    His point of view of literature is on the inclination of T'ang(唐風). But he warned the simple imitation of the inclination of T'ang(唐風), and he had insisted learning of the inclination of Song(宋風) such as Soshik(蘇軾) who made his high literariness.
    Shinheum(申欽) wanted to find the highest state of poems. He recognized that were the Clearness(淸) of literariness and natural writing which looks like come from the heaven. He had his point to the natural Clearness(淸) of literariness. He established his literary theory with the natural Clearness(淸) of literariness not the imitation of the form and rhyth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晴窓軟談』은 조선 중기 象村 申欽이 저작한 시화집이다. 그 내용을 보면 『晴窓軟談』은 단시간에 저작된 것이 아니라 상당한 시일을 두고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전체적 구성과 대부분의 기사가 신흠의 放逐 및 유배의 시기에 저술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 시기가 신흠의 나이 48세에서 57세까지이므로 이 시기에 저작된 『晴窓軟談』은 그의 성숙한 문학의식이 응축된 성과라 할 수 있다.
    『晴窓軟談』에서 거론한 작가들은 거의 대부분이 唐風과 관련성을 지닌 인물들이다. 신흠은 중국 시문의 경우 唐詩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이후의 시들도 唐詩와의 연관성을 염두에 두고 기사를 선별했던 것이다. 또 한국 시문의 경우에도 唐風을 고려해 조선의 명가들을 비평하고 있다. 이런 점들은 신흠이 『晴窓軟談』을 일정한 구도 아래 체계적으로 저술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 하겠다.
    신흠이 『晴窓軟談』의 기사 대상으로 삼은 인물들에게서도 나름의 독자적인 특이성이 엿보인다. 卷上의 경우 唐詩에 주안점을 두면서 일부 대가들의 작품에 치우치기보다 당대 전시기에 걸쳐 다양한 시인들의 작품을 평가하고 있음이 지적된다. 이는 卷上으로 만든 기사의 분량이 많지 않아 특정 대가의 작품에 치우치기보다 간과하기 쉬운 여러 인물들의 시세계를 두루 보여주고자 한 신흠의 의도가 개입된 것이다.
    신흠의 문학적 관점도 唐詩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는 唐詩에 대한 깊고 올바른 이해를 갖지 않고 단지 唐詩의 모방만 일삼는 당대의 문인들을 경계하고, 宋詩라고 하여 무조건 배척할 것이 아니라 蘇軾과 같이 높은 경지의 문학성은 충분히 수용하고 배워야 함을 말하였다. 세인들은 唐詩를 존숭하면 宋詩를 무조건 배척하고, 宋詩를 따르는 사람들은 唐詩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데 이들은 모두 한쪽으로 치우친 편벽된 견해라 비판을 했다. 唐詩가 쇠퇴하자 그 시적 경지가 떨어졌고, 宋詩가 흥성하자 그 시적 경지가 높이 올라갔음을 신흠은 명확히 인식했다. 신흠이 宋代 최고의 시인인 蘇軾을 높이 평가한 것은 이런 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唐詩를 추숭하면서도 宋詩의 긍정적 가치를 함께 인정했던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조선중기 문학비평의 한 측면을 규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문학사에 있어서 한문학이 가장 흥성했던 시기의 하나의 핵심적인 문학비평 시각을 점검함으로써 이 시기의 문학전개 양상의 면모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에 일조가 되리라 생각된다.
  • 색인어
  • 申欽, 晴窓軟談, 詩話批評, 唐風, 淸의 문학성, 得之自然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