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36&local_id=10012806
현대한어 NP1{NP2+...(NPn+VP)} 구문에서 ‘NP1’과 술어의 관계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현대한어 NP1{NP2+...& #40;NPn+VP& #41;} 구문에서 ‘NP1’과 술어의 관계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종호(성신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1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현대 중국어에서 자주 출현하는 화제구문 NP1{NP2+...(NPn+VP)}에서 소위 화제어로 말해지는 ‘NP1’의 내원에 대하여 고찰한 후 ‘NP1’과 술어구의 관계에 대하여, 특히 술어의 형태 및 의미특성 등에 대하여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고의 목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서론
    2. ‘NP1’에 대한 견해
    3. ‘NP1’에 따른 술어구조의 복잡성
    4. ‘NP1’과 술어의 의미선택 관계
    5. 결론
    본고의 2장에서는 ‘NP1’의 내원에 대하여 기존의 관점을 종합하여 고찰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화제구문에 대하여 ‘NP1{NP2+...(NPn+VP)}’ 혹은 ‘NP1+NP2+VP’ 구조라는 모식을 제시한다. 3-4장에서는 ‘NP1’과 술어구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여기서는 주로 ‘NP1’과 연계되는 술어구의 형태 및 ‘NP1’과 술어의 의미적인 특성을 살펴본다.
    본고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NP1{NP2+...(NPn+VP)}’ 구문에서 화제어로 쓰이는 ‘NP1’의 내원에 대하여 전통문법학에 기반을 둔 견해는 ‘목적어 전치설’이며, 구조주의에 기반을 둔 학자들은 ‘주어설’, 기능문법적인 견해를 가진 학자들은 ‘화제설’을 각각 주장한다. 결국, 이는 각각 의미, 통사 및 화용적 관점에서의 견해로 귀결시킬 수 있다. 본고에서는 화제설을 중시한다.
    2. 현대중국어에서 많이 출현하는 화제문에 대한 이해와 중국어 습득을 위하여서는 이 구조 자체를 문형의 한 가지로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본고는 ‘NP1{NP2+...(NPn+VP)}(간략형: ‘NP1+NP2+VP’)’의 문형으로 제시한다.
    3. ‘NP1{NP2+...(NPn+VP)}’ 구문을 이루는 술어의 형태(/구조)적 특징은 비교적 복잡하다는 점이다. 즉 술어는 보어를 대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동태조사의 부착이나 조동사나 부사의 수식을 수반한다. 한편, 복문을 이루는 경우는 단순한 술어성분을 중복적으로 사용하며, 이때 두 절 사이의 명사구 간에는 대조의 의미가 더욱 명백해진다. 결국, ‘NP1{NP2+...(NPn+VP)}’ 구조에서 술어는 구정보이자 한정적인 정보 ‘NP1’에 대하여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단초이므로 정보적으로나 時相적으로 분명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띠게 된다고 하겠다.
    4. ‘NP1{NP2+...(NPn+VP)}’ 구문에서 NP1과 술어 사이의 의미관계는 비교적 다양하나 본고는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진술대상-진술’의 기능적, 화용적 특성을 고려하여 NP1을 ‘대상’ 개념으로 보아, 각각 ‘묘사, 장소, 시간, 관여, 도구, 재료, 교류, 협동, 사역, 인지, 受事’ 등의 대상과 ‘施事者’의 12 가지로 분류한다.
  • 영문
  • This study attempts to look into the NP1{NP2+...(NPn+VP)}’ structure of topicalized word order in Modern Chinese. Chinese summary as follow:
    本文旨在考察現代漢語裏頻繁出現的‘NP1{NP2+...(NPn+VP)}’裏‘NP1’的來源問題, 然後對‘NP1’與述語之間的關係, 特別對述語結構的形態及其與‘NP1’之間的語義選擇性問題加以探討。 其內容可以槪述如下:
    1. 歷來對‘NP1{NP2+...(NPn+VP)}’裏的‘NP1’有以下三種來源說明: 基於傳統語法學的"提賓說"; 基於結構主義的"主語說"; 基於語用或功能主義的"話題說"。 這樣的看法分別是重視語義、句法及語用的觀點。本文重視語用平面上的話題說。
    2. 本文把現代漢語裏頻繁出現而結構化的‘NP1{NP2+...(NPn+VP)}(簡單型: ‘NP1+NP2+VP’)’看作一種語用句型, 把它叫作典型話題句。
    3. ‘NP1{NP2+...(NPn+VP)}’句型裏的述語, 其結構形態比較複雜, 卽述語一般帶補語或動態助詞、助動詞及副詞等附加成分。不然一般組成複句, 重複不帶附加成分的單純動詞或形容詞述語。這時兩個從句中的‘NP’之間有更加明顯的對比性。總之, 在‘NP1{NP2+...(NPn+VP)}’句型裏, 述語是對有定而舊的信息(‘NP1)賦予新信息的成分, 爲此述語要有比較具體的陳述內容, 因而其結構的形態也比較複雜。
    4. 本文重視‘NP1’與述語之間的"陳述對象-陳述"的共性, 但也重視兩者之間所示的語義選擇的個別性。本文按照這樣的觀點把‘NP1’分爲描寫、地點、時間、關涉、工具、材料、交際(/流)、協同、使令、認知、受事對象及施事者的共12個類。

    關鍵詞: ‘NP1{NP2+...(NPn+VP)}’句型, 語用, 話題, 語義選擇性,
    陳述對象, 陳述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현대 중국어에서 자주 출현하는 화제구문 NP1{NP2+...(NPn+VP)}에서 소위 화제어로 말해지는 ‘NP1’의 내원에 대하여 고찰한 후 ‘NP1’과 술어구의 관계에 대하여, 특히 술어의 형태 및 의미특성 등에 대하여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중문초록은 다음과 같다.
    本文旨在考察現代漢語裏頻繁出現的‘NP1{NP2+...(NPn+VP)}’裏‘NP1’的來源問題, 然後對‘NP1’與述語之間的關係, 特別對述語結構的形態及其與‘NP1’之間的語義選擇性問題加以探討。 其內容可以槪述如下:
    1. 歷來對‘NP1{NP2+...(NPn+VP)}’裏的‘NP1’有以下三種來源說明: 基於傳統語法學的"提賓說"; 基於結構主義的"主語說"; 基於語用或功能主義的"話題說"。 這樣的看法分別是重視語義、句法及語用的觀點。本文重視語用平面上的話題說。
    2. 本文把現代漢語裏頻繁出現而結構化的‘NP1{NP2+...(NPn+VP)}(簡單型: ‘NP1+NP2+VP’)’看作一種語用句型, 把它叫作典型話題句。
    3. ‘NP1{NP2+...(NPn+VP)}’句型裏的述語, 其結構形態比較複雜, 卽述語一般帶補語或動態助詞、助動詞及副詞等附加成分。不然一般組成複句, 重複不帶附加成分的單純動詞或形容詞述語。這時兩個從句中的‘NP’之間有更加明顯的對比性。總之, 在‘NP1{NP2+...(NPn+VP)}’句型裏, 述語是對有定而舊的信息(‘NP1)賦予新信息的成分, 爲此述語要有比較具體的陳述內容, 因而其結構的形態也比較複雜。
    4. 本文重視‘NP1’與述語之間的"陳述對象-陳述"的共性, 但也重視兩者之間所示的語義選擇的個別性。本文按照這樣的觀點把‘NP1’分爲描寫、地點、時間、關涉、工具、材料、交際(/流)、協同、使令、認知、受事對象及施事者的共12個類。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현대 중국어에서 자주 출현하는 화제구문 NP1{NP2+...(NPn+VP)}에서 소위 화제어로 말해지는 ‘NP1’의 내원에 대하여 고찰한 후 ‘NP1’과 술어구의 관계에 대하여, 특히 술어의 형태 및 의미특성 등에 대하여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고에서 살펴본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NP1{NP2+...(NPn+VP)}’ 구문에서 화제어로 쓰이는 ‘NP1’의 내원에 대하여 전통문법학에 기반을 둔 견해는 ‘목적어 전치설’이며, 구조주의에 기반을 둔 학자들은 ‘주어설’, 기능문법적인 견해를 가진 학자들은 ‘화제설’을 각각 주장한다. 결국, 이는 각각 의미, 통사 및 화용적 관점에서의 견해로 귀결시킬 수 있다. 본고에서는 화제설을 중시한다.
    2. 현대중국어에서 많이 출현하는 화제문에 대한 이해와 중국어 습득을 위하여서는 이 구조 자체를 문형의 한 가지로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본고는 ‘NP1{NP2+...(NPn+VP)}(간략형: ‘NP1+NP2+VP’)’의 문형으로 제시한다.
    3. ‘NP1{NP2+...(NPn+VP)}’ 구문을 이루는 술어의 형태(/구조)적 특징은 비교적 복잡하다는 점이다. 즉 술어는 보어를 대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동태조사의 부착이나 조동사나 부사의 수식을 수반한다. 한편, 복문을 이루는 경우는 단순한 술어성분을 중복적으로 사용하며, 이때 두 절 사이의 명사구 간에는 대조의 의미가 더욱 명백해진다. 결국, ‘NP1{NP2+...(NPn+VP)}’ 구조에서 술어는 구정보이자 한정적인 정보 ‘NP1’에 대하여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단초이므로 정보적으로나 時相적으로 분명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띠게 된다고 하겠다.
    4. ‘NP1{NP2+...(NPn+VP)}’ 구문에서 NP1과 술어 사이의 의미관계는 비교적 다양하나 본고는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진술대상-진술’의 기능적, 화용적 특성을 고려하여 NP1을 ‘대상’ 개념으로 보아, 각각 ‘묘사, 장소, 시간, 관여, 도구, 재료, 교류, 협동, 사역, 인지, 受事’ 등의 대상과 ‘施事者’의 12 가지로 분류한다.

    [활용방안]
    화제화구문은 화용적인 상황하에서 전개되는 어순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언어환경 속에서 어순배열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할 수 있는 이해력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중국인들이 담화상에서 왜 이러한 어순구조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이해 위에서 교육이 진행되어야 그 의미를 배가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화제어순의 구조적인 분류와 연습 부분은 구체적인 연습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다. 여기에는 ‘명사1+명사2+동사’의 화제 어순구조를 구체적으로 재분석하여 그에 해당하는 기본 예문들을 10개 정도 설정하여 교육하는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100-200개 정도의 화제어순 구조의 문을 선정하여 간단한 교재로써 엮어 실제 어순교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NP1{NP2+...(NPn+VP)}’문형, 화용, 화제, 의미선택, 진술대상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