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41&local_id=10010757
중국경내 소수민족 언어에 대한 한글 서사 방안 탐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국경내 소수민족 언어에 대한 한글 서사 방안 탐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전광진(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2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둘로 나누어짐. (1) 소수 민족의 서사체계(문자) 사용 실태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는 작업, (2) 문자 미사용 소수민족 가운데 중국어의 영향(통용력)이 매우 낮은 언어를 선정하여 ‘한글 자모’ 서사 방안에 대하여 탐색하는 작업. 사용실태와 관련해서는 戴慶厦등(1999:26)을 근거로 간단히 미리 점검․개괄해 보자면 다음과 같음.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모두가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님. 문자 생활을 하고 있는 소수민족은 24개 민족에 불과함. 또한 한 민족이 수종의 문자를 겸용하고 있는 예도 있기 때문에 24개 민족이 사용하고 있는 문자의 수는 총 33종에 달하며 그 특색은 다음과 같이 개괄할 수 있음.
    (1) 19개 민족이 1종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몽골족․징포족․리수족은 2종의 문자를, 다이족과 먀오족은 4종류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음.
    (2) 33종 문자 가운데, 오랜 전통을 지닌 문자(⌈老文字⌋)가 18종이고, 1949년 이후 새로 만든 문자(⌈新創文字⌋)가 15종임.
    (3) 음절 문자인 이족(彝族)문자를 제외한 32종은 모두 표음문자임.
    (4) 33종 가운데 20종은 알파벳 자모를 활용한 것인데 이들은 거의 대부분이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1949년 이후에 만들어진 것임.
    문자 활용의 오랜 전통을 지닌 소수 민족들에 있어서, 그 활용 범위가 저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즉, 일상생활․행정수단․매체수단․학교교육․종교활동․전통문헌․정보처리 등에 있어 높은 활용도를 지니고 있는 언어는 티베트문자와 위구르문자밖에 없음. 그리고 정보 처리, 즉 컴퓨터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은 몽골문자․티베트문자․위구르문자․조선문자(한글), 규범 이족(彛族)문자 이상 5개 밖에 없음.
    15종 新創문자들을 현 단계에서는 매우 성숙한 문자로 보기 어려우며, 활용 정도 등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음. 아직도 문자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는 미개 민족이 27개나 됨. 그들의 고유 언어를 기록하기 위한 문자 방안이나 표음 방안을 현재 강구 중에 있다고 함. 이들 민족의 문자 생활은 중국어(⌈漢語⌋) 통용, 즉 二重언어에 의거하고 있다. 중국어 통용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될 수 있음.
    (1) 모든 사람들이 중국어를 통용하고 있는 민족 :
    그로족․유구르족․마오난족․스족
    (2) 절대다수의 사람들이 중국어를 통용하고 있는 민족 :
    무람족․보난족․긴족․토가족․치앙족․프리미족․지노족
    (3) 일부 사람들만이 중국어를 통용하고 있는 민족 :
    동향족․다우르족․사랄족․오로첸족․허전족․브랑족․아창족․수족․누족․벙룽족․두룽족․에반키족
    (4) 극소수의 사람만이 중국어를 할 줄 아는 민족 :
    로바족․먼바족․타지크족.

    이상 4가지 유형의 문맹 민족들에 대한 처리 방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강구중이라고 함. 유형 (1)에 속하는 민족들은 절대다수의 사람들이 漢字를 사용하자고 주장하고 있으나, 소수의 사람들(특히 유구르족)이 별도의 문자 체계를 창안해야만 고유의 언어가 소멸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함. 유형 (2)와 (3)에 속하는 민족들은 문자 체계의 도입 문제를 두고 각기 다른 주장들이 난립하고 있다고 함. 유형 (4)에 속하는 민족들은 고유의 문자가 없을 뿐만 아니라, 중국어 통용력도 매우 낮기 때문에 문자 사용 자체가 곤란한 실정에 처해 있음.
    ‘한글 자모’에 의한 실험적 書寫 방안을 적용해볼 대상의 언어는 로바어․먼바어․타지크어를 우선적으로 잠정 선정하였으며, 그 이유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이 고유의 문자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중국어 사용 인구가 매우 적은 것으로 조사된 결과에 따른 것. 즉, 중국어에 의한 영향이 매우 적기 때문임. 그 방안의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음소론적 대비(phonemic contrastive)에 그치지 아니하고, 음성학적 변체(phonetic variants)까지도 최대한 면밀하게 검토하였음.
  • 영문
  • 연구 결과물 발표후 입력(현재 작성중임)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 소수 민족의 서사체계(문자) 사용 실태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는 작업, (2) 문자 미사용 소수민족 가운데 중국어의 영향(통용력)이 매우 낮은 언어를 선정하여 ‘한글 자모’ 서사 방안에 대하여 탐색하는 작업. 사용실태와 관련해서는 戴慶厦등(1999:26)을 근거로 간단히 개괄해 보자면 다음과 같음.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모두가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님. 문자 생활을 하고 있는 소수민족은 24개 민족에 불과함. 또한 한 민족이 수종의 문자를 겸용하고 있는 예도 있기 때문에 24개 민족이 사용하고 있는 문자의 수는 총 33종에 달하며 그 특색은 다음과 같이 개괄할 수 있음.
    (1) 19개 민족이 1종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몽골족․징포족․리수족은 2종의 문자를, 다이족과 먀오족은 4종류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음.
    (2) 33종 문자 가운데, 오랜 전통을 지닌 문자(⌈老文字⌋)가 18종이고, 1949년 이후 새로 만든 문자(⌈新創文字⌋)가 15종임.
    (3) 음절 문자인 이족(彝族)문자를 제외한 32종은 모두 표음문자임.
    (4) 극소수의 사람만이 중국어를 할 줄 아는 민족 :
    로바족․먼바족․타지크족.
    이상 4가지 유형의 문맹 민족들에 대한 처리 방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강구중이라고 함. 유형 (1)에 속하는 민족들은 절대다수의 사람들이 漢字를 사용하자고 주장하고 있으나, 소수의 사람들(특히 유구르족)이 별도의 문자 체계를 창안해야만 고유의 언어가 소멸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함. 유형 (2)와 (3)에 속하는 민족들은 문자 체계의 도입 문제를 두고 각기 다른 주장들이 난립하고 있다고 함. 유형 (4)에 속하는 민족들은 고유의 문자가 없을 뿐만 아니라, 중국어 통용력도 매우 낮기 때문에 문자 사용 자체가 곤란한 실정에 처해 있음.
    중국 일본 및 구미 각 국의 자료(참고 6 ⌈참고문헌⌋란)를 통하여 정리 분석할 예정이며, 가능하다면 중국 현지 조사 및 탐방을 통하여 연구의 질적인 수준을 높일 생각이며, 현지 조사를 할 경우 필자와 오랜 교분이 있는 중국 중앙민족대학의 저명 학자인 戴慶廈 교수와 협력하였음.
    ‘한글 자모’에 의한 실험적 書寫 방안을 적용해볼 대상의 언어는 로바어․먼바어․타지크어를 우선적으로 잠정 선정하였으며, 그 이유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이 고유의 문자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중국어 사용 인구가 매우 적은 것으로 조사된 결과에 따른 것. 즉, 중국어에 의한 영향이 매우 적기 때문임. 그 방안의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음소론적 대비(phonemic contrastive)에 그치지 아니하고, 음성학적 변체(phonetic variants)까지도 최대한 면밀하게 검토하였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1) 중국학 연구 영역의 확대 및 심화, (2) 소수 민족 언어의 서사법 개발을 통한 유네스코 문맹 퇴치 운동에 공헌, (3) 한글 서사법의 탈(脫) 민족화를 통한 한글 우수성 입증, 이 상 세 가지 기본 목적에 대하여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특히, 아직도 문자 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는 문맹 원시 종족에 대하여 서사법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은 유네스코의 주요 사업 가운데 하나인 지구상의 문맹 퇴치 운동의 취지에 부합될 뿐만 아니라, 그 결실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임. 세 번째 목적과 관련하여서는 ‘한글의 역사’에 있어서 발상의 전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한글의 세계화’라는 새로운 역사의 장을 열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됨.
  • 색인어
  • 중국, 소수민족, 한글, 서사방안, 문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