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42&local_id=10012234
李白詩에 나타난 婦女形象 硏究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李白詩에 나타난 婦女形象 硏究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창구(세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2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本稿는 李白 詩 가운데 부녀형상이 직접 드러나거나 여성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情調가 나타난 詩를 선별하였다. 李白의 詩는 모두 1049首이며, 편수로는 858篇이다. 이 중에 부녀형상에 관련된 詩는 130여수이다. 이를 각 제재별로 분류하여 부녀형상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고, 부녀형상에 반영된 주제의식이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를 파악해보았다.
    李白은 그의 詩 속에 다양한 부녀형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특히 이에 자신의 진솔한 정감을 내포시키고 있으며, 여성을 어떤 성적 추구가 아닌 인간 자체로 보고 있다. 그가 長安에서의 翰林時期에 被訴되어 放逐되면서 怨의 情懷가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 때에는 주로 宮女의 형상을 통해 이를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宮女를 묘사한 詩는 李白 자신의 處地의 반영이라 할 수 있으며, 통치집단에 대한 반항정신을 묘사한 인물에 부여하여 자신의 불합리한 현상에 대한 질책과 이상의 추구라 할 수 있다.
    征婦를 묘사한 詩의 주제는 대부분 이별의 원망을 나타내고있는데, 남편을 전쟁터에 보낸 여인들의 고통 속에 살아가는 모습이나, 이러한 고통을 안겨준 전쟁을 원망하는 여인들의 형상이 나타나고 있다. 商婦의 형상으로는 상인 부인들의 외로움과 고통을 묘사했는데, 李白이 평소 가지고 있던 鬱憤과 懷才不遇의 怨望이 行商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여인들의 怨望속에 스며들어 더욱 현실적이고 간절하게 표현되었다.
    女妓의 형상은 吳姬나 胡姬처럼 남성들의 酒興이나 風流를 돋구는 존재로 나타나기도 하고, 東山妓처럼 前人의 행적을 추종하고 싶은 욕망을 나타내기도 했다. 內子를 묘사한 詩는 아내와 떨어져 있는 자신의 처지를 슬퍼하는 심정과 아내가 멀리 있는 남편에 대한 사랑을 견지하고 있는 진정한 인간상을 내포하고 있다. 民間女의 형상은 이백이 만유과정에서 이들을 직접 목도하고, 그녀들의 소박하고 순박함을 묘사하고 있다. 이백은 여인의 그리움이나 고통 혹은 원망을 나타내는 여성형상 뿐만아니라 용감한 행위를 한 여성형상을 창조하였는데, 正義를 실현시킨 義俠女 묘사에서는 전설속의 주인공을 詩化하기도 하고, 현실속의 貞義女나 勇婦를 찬양하기도 한다. 道家的 여성형상은 이백의 求仙的, 神仙的 취향을 나타내고있다. 실존인물인 玉眞公主에게 신선적 착색을 입혀 자신이 희구하는 세상의 일면을 표명하고, 弄玉과 神女, 仙女, 玉女의 형상속에 천상세계로의 마음을 투영하고 있으며, 女道士 의 형상을 통해서 구선적 희구를 표출杉쨉 이러한 것들은 모두 현실세계에서 이루고 싶은 욕망이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李白은 怨의 情懷를 주로 남녀관계를 차용해서 나타내고 있는데, 버림받은 여인을 형상화 한 詩를 통해서 그의 정치적 좌절에 대한 怨望의 情을 표출했다. 이 주제를 怨情意識으로 설정했다. 또 李白은 임금을 보필하며 세상을 구제해 보겠다는 공명심을 일생동안 떨쳐버리지 못했는데, 부녀를 제재로 한 詩에서도 濟世의 意志와 功名에 대한 希願을 나타냈다. 현실사회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주제를 憂患意識으로 규정해본다.
    李白은 버림받은 부녀를 형상화한 詩를 통해서 怨望의 情을 표출했는데, 주로 상대에 대해서 여전히 집착을 나타내기도 하고, 자신과 타인과를 구별하여 묘사하기도 하여 어찌할 수 없는 현실을 인식하기도 한다. 憂患意識은 濟世의 意志와 연관되어 있다. 李白은 현실의 모순을 발견하고 이를 여성에 투영하여 그의 憂患意識을 나타내고 있다.
    李白은 부녀형상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사상을 전달하고, 또 사회상을 반영함과 동시에 사회현실의 모순을 비판했으며, 객관적인 입장에서 여성을 바라보려고 했다 할 수 있다.
  • 영문
  • 李白詩共有1049首, 其中反映婦女形象的詩有130餘首. 經過對資料的分析幷對題材進行分類整理, 可以把李白詩歌中的婦女形象分爲征婦, 商婦, 宮女, 女妓, 內子, 民間女, 義俠女, 道家的女性. 通過這種婦女形象, 李白表明了自己的怨情意識, 憂患意識.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李白은 武則天 長安 元年(701)에 태어나서 玄宗과 肅宗代에 걸쳐 활동했으며, 代宗 寶應 元年(762)에 세상을 떠났다. 그가 활동했던 시기는 唐朝가 최고조로 발전하다가 쇠락했던 전환기에 속하고 있어서 작품 속에는 당시의 시대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李白은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詩를 창작을 했는데, 부녀에 관한 작품 또한 적지 않다. 따라서 이는 宋代 王安石을 비롯한 후대 평론가에 의해서 좋지 않는 평가와 비판을 받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그런데 이러한 창작경향은 李白이 다양한 제재를 통해 자신의 인생관과 세계관을 나타내려는 의도가 있고, 특히 부녀시에 나타난 여성은 성적 범주에서 접근한 것이 아니라 인간 자체로 간주하고, 자기 자신의 처지와 사고를 여기에 투영했다고 볼 수 있다.
    本稿는 李白 詩 가운데 부녀형상이 직접 드러나거나 여성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情調가 나타난 詩만을 선별하여 살펴보았다. 李白의 詩는 모두 1049首이며, 편수로는 858篇이다. 이 중에 부녀형상에 관련된 詩는 130여수이다. 이를 각 제재별로 분류하여 부녀형상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또 부녀형상에 반영된 주제의식이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를 파악해보았다. 현재 李白選集에 전하거나 혹은 人口에 膾炙되는 작품의 대다수가 바로 부녀형상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부녀형상의 고찰은 李白 詩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되리라고 본다.
    李白이 창조한 부녀형상은 여성이란 명목 하에 자신의 처지와 생각을 이에 투영시켰다고 볼 수 있다. 李白은 그의 詩 속에 다양한 부녀형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특히 그가 長安에서의 翰林時期에 被訴되어 放逐되면서 怨의 情懷가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 때에는 주로 宮女의 형상을 통해 이를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宮女를 묘사한 詩는 李白 자신의 處地의 반영이라 할 수 있으며, 통치집단에 대한 반항정신을 묘사한 인물에 부여하여 자신의 불합리한 현상에 대한 질책과 이상의 추구라 할 수 있다.
    征婦를 묘사한 詩에서는 현실사회를 반영하고 있는데, 남편을 전쟁터에 보낸 여인들의 고통 속에 살아가는 모습이나, 이러한 고통을 안겨준 전쟁을 원망하는 여인들의 형상이 나타나고 있다. 商婦의 형상으로는 상인 부인들의 외로움과 고통을 묘사했는데, 李白이 평소 가지고 있던 鬱憤과 懷才不遇의 怨望이 行商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여인들의 怨望속에 스며들어 더욱 현실적이고 간절하게 표현되었다.
    女妓의 형상은 吳姬나 胡姬처럼 남성들의 酒興이나 風流를 돋구는 존재로 나타나기도 하고, 東山妓처럼 前人의 행적을 추종하고 싶은 욕망을 나타내기도 했다. 內子를 묘사한 詩는 아내와 떨어져 있는 자신의 처지를 슬퍼하는 심정과 아내가 멀리 있는 남편에 대한 사랑을 견지하고 있는 진정한 인간상을 내포하고 있다. 民間女의 형상은 그녀들의 소박하고 순박함을 묘사하고 있으며, 正義를 실현시킨 義俠女 묘사에서는 전설속의 주인공을 詩化하기도 하고, 현실속의 貞義女나 勇婦를 찬양하기도 한다. 道家的 여성형상은 玉眞公主, 弄玉, 神女, 仙女, 玉女, 女道士 등이 등장하며, 李白이 長安에서 翰林時期를 마치고 난 뒤 본격적인 求仙의 행적이 시작되는데, 그의 求仙的, 神仙的 취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백은 이와같은 부녀형상을 통해 자신의 怨情意識과 憂患意識을 반영하고 있다. 그는 버림받은 부녀를 형상화한 詩를 통해서 그의 정치적 좌절에 대한 怨望의 情을 표출했다. 주로 상대에 대해서 여전히 집착을 나타내기도 하고, 자신과 타인과를 구별하여 묘사하기도 하여 어찌할 수 없는 현실을 인식하기도 한다. 憂患意識은 자신의 개인적인 측면에서 표출되기도 하고, 또 사회적 측면에서 표출되기도 했는데, 이는 濟世의 意志와 연관되어 있다. 李白은 현실의 모순을 발견하고 이를 여성에 투영하여 그의 憂患意識을 나타내고 있다.
    李白은 부녀형상을 통해 자신이 체험한 감정과 사상을 전달하고, 또 우회적인 방법으로 사회현실을 표현하고, 현실의 모순을 비판했으며, 여성을 객관적으로 보려는 입장을 지니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李白이 창조한 부녀형상은 여성을 성적도구가 아닌 한 인간으로 여기고, 李白 자신의 처지와 생각을 이에 투영시켰다고 볼 수 있다. 李白은 그의 詩 속에 다양한 부녀형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남편을 전쟁터에 보낸 여인들의 고통 속에 살아가는 모습이나, 이러한 고통을 안겨준 전쟁을 원망하는 征婦의 형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 商婦의 형상으로는 상인 부인들의 외로움과 고통을 묘사했다. 宮女의 형상으로는 버림받은 여인의 비애를 나타내고 있고, 女妓의 형상은 吳姬나 胡姬처럼 남성들의 酒興이나 風流를 돋구는 존재로 나타나기도 하고, 東山妓처럼 前人의 행적을 추종하고 싶은 욕망을 나타내기도 했다. 內子를 묘사한 詩는 아내와 떨어져 있는 자신의 처지를 슬퍼하는 심정과 아내가 멀리 있는 남편에 대한 사랑을 견지하고 있는 진정한 인간상을 내포하고 있다. 民間女의 형상은 그녀들의 소박하고 순박함을 묘사하고 있으며, 義俠女 묘사에서는 정의를 실현시킨 勇婦를 찬양하기도 한다. 道家的 여성형상은 玉眞公主, 弄玉, 神女, 仙女, 玉女, 女道士 등이 등장하며, 李白의 求仙的, 神仙的 취향을 나타내고 있다.
    李白은 이와같은 부녀형상을 통해 자신의 怨情意識과 憂患意識을 반영하고 있다. 그는 버림받은 부녀를 형상화한 詩를 통해서 그의 정치적 좌절에 대한 怨望의 情을 표출했다. 憂患意識은 자신의 개인적인 측면에서 표출되기도 하고, 또 사회적 측면에서 표출되기도 했는데, 이는 濟世의 意志와 연관되어 있다. 李白은 현실의 모순을 발견하고 이를 여성에 투영하여 그의 憂患意識을 나타내고 있다.
    李白은 부녀형상을 통해 자신이 체험한 감정과 사상을 전달하고, 또 우회적인 방법으로 사회현실을 표현하고, 현실의 모순을 비판했으며, 여성을 객관적으로 보려는 입장을 지니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李白 詩 뿐만 아니라 唐詩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이며, 中國詩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성과물로서 많은 활용가치가 예상된다. 특히 唐代 부녀시에 나타난 여성들의 형상, 즉 정부, 상부, 궁녀, 기녀, 민간녀, 여도사, 의협녀의 삶 등 중국인의 의식을 이해할 수 있고, 또 여성들의 형상을 통해 唐代 사회 현실을 목도할 수 있다. 그리고 李白詩에 반영된 표현수법, 즉 대비수법, 과장수법, 악부제의 다용, 전고의 광범위한 활용 등 중국 시가의 예술기교를 습득할 수 있어서 唐詩를 학습하는데 보다 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唐詩를 공부하고 연구하는 중문학과 학생과 대학원생을 비롯한 일반인들에게 유익한 텍스트로서도 활용될 것이다.
  • 색인어
  • 婦女, 形象, 征婦, 商婦, 宮女, 女妓, 內子, 民間女, 義俠女, 女道士, 怨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