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43&local_id=10012634
中國 初期 唱和詩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中國 初期 唱和詩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필임(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2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중국 唱和詩의 발생배경, 발생시기 및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和韻詩로 창작되기 이전인 東晉南北朝 시기의 唱和詩 작품을 대상으로, 창화시의 내용상의 특징 창화형식 및 창화시에 대한 문인들의 인식 등을 분석했다.
    唱和란, 한쪽에서 시를 짓고 다른 한 쪽에서 그에 대해 시로써 酬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창작활동인데, 특정한 시인의 작품에 대해 다른 문인이 수창한 시가를 和詩라 하고, 원래의 작품을 唱詩라 한다. 이처럼 창화시는 최소한 2인 이상의 문인들간의 집체적 창작활동이며, 선후의 시간차를 두고 시를 지어 기증하고 그에 대해 화답하므로, 화시는 창시라는 특정한 작품을 염두에 두고 창작하게 되어 주제나 내용면에서 서로 유사한 점을 지닌다.
    창화시의 발생은 전통적 ‘함께 무리지어 교류할 수 있게 한다(可以群)’는 공용적 집체적 시가 관념을 바탕으로, 시로써 화답하는 贈答詩의 전통, 同題詩나 擬古詩와 같이 같은 주제로 상대 작품을 염두에 두고 짓던 문학 풍조를 바탕으로 형성된 체제라 할 수 있다.
    창화시는 동진시대 도연명을 중심으로 처음 지어지기 시작한다. 이 때는 문인들의 교류에 주로 사용하던 贈答詩가 풍격의 典雅化, 形式化 儀式化로 인해 지나치게 格式化 되면서, 창화시가 그 역할을 대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증답시가 쇠락하던 晉宋시대가 바로 도연명 등이 처음으로 창화시를 창작한 시기와 일치한다.
    초기의 화시는 창시의 내용에 대해서 의미상으로 화답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唐 중기 이후의 화시가 창시의 韻만을 취해 화답하던 것과 다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상의 화답도 일정한 발전과정을 거쳐서 형성된 특징이다. 동진의 창화시는 내용에 대한 화답보다는 시가를 주고 받는다는 형식에 더 치중했다. 내용은 自然의 철학적 이치를 탐구하던 일반 玄言詩의 특징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송대의 창화시 역시 증답시적 성격이 강하여, 창화시의 형식을 완성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齊 永明시기에 와서 沈約, 謝朓 등을 중심으로 한 문인들이 증답시 대신 창화시를 즐겨 사용하면서, 창작시를 창작하는 문인의 범위가 확대되고, 내용도 창시의 내용에 대해 제한적으로 화답하는 화시가 창작된다. 뿐만 아니라 화시의 句數도 점차 창시의 구수에 맞추어 짐으로써 형식면에서도 창시와 일치되어 간다. 梁代에 이르러 창화시는 君臣간의 창화와 文人간의 창화로 나뉘어 발전한다. 군신간의 창화는 주로 宮庭의 儀式이나 宴會에서 지어져, 진실한 감정을 표현하기 보다는 儀禮的이고 형식적인 내용의 작품인 奉和詩가 지어진다. 봉화시는 이후 初唐시기까지 宮庭詩의 대표적인 체제로 자리잡는다. 문인간의 창화는 봉화시의 발전으로 수량이 그다지 많지는 않지만, 화시의 내용이 철저하게 창시의 내용에 대한 화답으로 제한되고, 문인간의 진실한 감정이 표현되고 교류된다. 이 시기의 창화시에도 몇몇 작품에 和韻詩가 등장하기는 하나 본격적으로 창작된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 다만, 화시는 창시의 주제나 표현수법, 修辭 등의 방면에서 창시의 표현예술을 반영함으로써 창시의 예술성도 반영해 낸다.
    이처럼 초기의 창화시는 화시 작가가 창시에 대한 화답을 통해 정서적 동질감을 표현할 수 있고, 상대 작품에 대한 경모, 학습, 경쟁 등을 통해 문학적 재능을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뜻을 같이 하는 문인들간의 결속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唐 중기이후 점차 唱詩의 韻을 중시하는 和韻詩가 성행하기 시작했고, 元白에 이르러 후대 문인들이 애용했던 次韻詩가 발생, 발전하게 된다.
  • 영문
  • This study is about the background, the time that Changhe-Shi(唱和詩) was made and how it was developed. And also I analyzed various features of Changhe-Shi, what some literary men thought about the arts and literature of Changhe-Shi at that time based on the works of Dongjin Nabeichao(東晉南北朝) era.
    Changhe(唱和) is one of creative works, that is, if one makes a verse then another follows the rhyme in responses to it. He-Shi(和詩) is the rhyme which is followed by another specific work of a poem and Chang-Shi(唱詩) is the original work of the poem. Changhe-Shi is a creative work made by at least two literary men. They give and take rhymes each other. Because He-Shi is totally based on the original work of Chang-Shi, their topics and contents are really similar.
    Changhe-Shi had been developed with the concept of collective poems which could be harmonized together. This type of poem was based on the literary trend which chooses a topic as considering another following poem such as Zengda-Shi(贈答詩), Tongti-Shi(同題詩) or Euigo-Shi(擬古詩).
    Changhe-Shi was first made by Tao-Yuanming(陶淵明) of Dongjin Dynasty(東晉). When it comes to the trend, Zengda-Shi(贈答詩) was the main stream which most literary men had used. But it became so much formalized that the type of Changhe-Shi took the place of the main role. At the period of Jin and Song Dynasty(晉宋) when Zengda-Shi(贈答詩) had been declined, it was the very period of Changhe-Shi developed by Tao-Yuanming and others.
    He-Shi at the beginning was considered to answer to the Chang-Shi. But after the middle of Tang(唐), not only it was followed by Chang-Shi but also it had some content of meaning as it was developed. Changhe-Shi of Dongjin Dynasty was mainly focused on the form of the poem rather than the response to the content of Chang-Shi. It had the main concept of Xuanyan-Shi(玄言詩) which emphasized the study of nature in philosophy. At the period of Song Dynasty(宋代), Changhe-Shi was also focused on the response so it was not considered as a perfect form of Changhe-Shi. Shen Yue(沈約), Xie Tiao(謝朓) and other poets liked making Changhe-Shi instead of Zengda-Shi(贈答詩) at the period of Qi Dynasty(齊代) Yongming(永明). They enlarged the range of using creation and made He-Shi which responded to the specific content of Chang-Shi. Furthermore, the number of clauses of He-Shi was followed by the ones of Chang-Shi and it meant both types had a similar form of writing. At the period of Liang Dynasty(梁代), Changhe-Shi had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is Changhe between a king and a follower and the other was the one between two literary men. Because the first one was usually made at ceremonies or meetings in a palace, it was somewhat formal and typical like Fenghe-Shi(奉和詩) rather than using some natural and truthful expression. Fenghe-Shi was the main form of Gongting-Shi(宮庭詩) until the early period of Tang. And the latter one was a progress of Fenghe-Shi so there were not many works but the content of He-Shi was extremely limited to the response to Chang-Shi. And also it showed real thought of literary men. Though there are some works of Changhe-Shi which had responses, it is hard to consider this was the main period of Heyun-Shi(和韻詩). Nevertheless, He-Shi had a variety of creative expression to Chang-Shi when it comes to topics, expressions or writing types so it gives us some artistry about Chang-Shi.
    As we looked through, Changhe-Shi at the beginning was a factor that the writer could express some emotional similarity through the response to Chang-Shi. Also it helped other writers have their own literary ability as learning, admiring or competing with other works and it was one of means to strengthen the unification among writers who were on the same position. After the middle of Dang, Heyun -Shi which emphasized on rhyme of Chang-Shi was develop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중국 唱和詩의 발생배경, 발생시기 및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和韻詩로 창작되기 이전인 東晉南北朝 시기의 唱和詩 작품을 대상으로, 창화시의 내용상의 특징 창화형식 및 창화시에 대한 문인들의 인식 등을 분석했다.
    唱和란, 한쪽에서 시를 짓고 다른 한 쪽에서 그에 대해 시로써 酬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창작활동인데, 특정한 시인의 작품에 대해 다른 문인이 수창한 시가를 和詩라 하고, 원래의 작품을 唱詩라 한다. 이처럼 창화시는 최소한 2인 이상의 문인들간의 집체적 창작활동이며, 선후의 시간차를 두고 시를 지어 기증하고 그에 대해 화답하므로, 화시는 창시라는 특정한 작품을 염두에 두고 창작하게 되어 주제나 내용면에서 서로 유사한 점을 지닌다.
    창화시의 발생은 전통적 ‘함께 무리지어 교류할 수 있게 한다(可以群)’는 공용적 집체적 시가 관념을 바탕으로, 시로써 화답하는 贈答詩의 전통, 同題詩나 擬古詩와 같이 같은 주제로 상대 작품을 염두에 두고 짓던 문학 풍조를 바탕으로 형성된 체제라 할 수 있다.
    창화시는 동진시대 도연명을 중심으로 처음 지어지기 시작한다. 이 때는 문인들의 교류에 주로 사용하던 贈答詩가 풍격의 典雅化, 形式化 儀式化로 인해 지나치게 格式化 되면서, 창화시가 그 역할을 대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증답시가 쇠락하던 晉宋시대가 바로 도연명 등이 처음으로 창화시를 창작한 시기와 일치한다.
    초기의 화시는 창시의 내용에 대해서 의미상으로 화답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唐 중기 이후의 화시가 창시의 韻만을 취해 화답하던 것과 다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상의 화답도 일정한 발전과정을 거쳐서 형성된 특징이다. 동진의 창화시는 내용에 대한 화답보다는 시가를 주고 받는다는 형식에 더 치중했다. 내용은 自然의 철학적 이치를 탐구하던 일반 玄言詩의 특징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송대의 창화시 역시 증답시적 성격이 강하여, 창화시의 형식을 완성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齊 永明시기에 와서 沈約, 謝朓 등을 중심으로 한 문인들이 증답시 대신 창화시를 즐겨 사용하면서, 창작시를 창작하는 문인의 범위가 확대되고, 내용도 창시의 내용에 대해 제한적으로 화답하는 화시가 창작된다. 뿐만 아니라 화시의 句數도 점차 창시의 구수에 맞추어 짐으로써 형식면에서도 창시와 일치되어 간다. 梁代에 이르러 창화시는 君臣간의 창화와 文人간의 창화로 나뉘어 발전한다. 군신간의 창화는 주로 宮庭의 儀式이나 宴會에서 지어져, 진실한 감정을 표현하기 보다는 儀禮的이고 형식적인 내용의 작품인 奉和詩가 지어진다. 봉화시는 이후 初唐시기까지 宮庭詩의 대표적인 체제로 자리잡는다. 문인간의 창화는 봉화시의 발전으로 수량이 그다지 많지는 않지만, 화시의 내용이 철저하게 창시의 내용에 대한 화답으로 제한되고, 문인간의 진실한 감정이 표현되고 교류된다. 이 시기의 창화시에도 몇몇 작품에 和韻詩가 등장하기는 하나 본격적으로 창작된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 다만, 화시는 창시의 주제나 표현수법, 修辭 등의 방면에서 창시의 표현예술을 반영함으로써 창시의 예술성도 반영해 낸다.
    이처럼 초기의 창화시는 화시 작가가 창시에 대한 화답을 통해 정서적 동질감을 표현할 수 있고, 상대 작품에 대한 경모, 학습, 경쟁 등을 통해 문학적 재능을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뜻을 같이 하는 문인들간의 결속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唐 중기이후 점차 唱詩의 韻을 중시하는 和韻詩가 성행하기 시작했고, 元白에 이르러 후대 문인들이 애용했던 次韻詩가 발생, 발전하게 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창화시는 ‘詩可以群’적 시가 관념을 바탕으로, 시로써 화답하는 贈答詩의 전통, 同題詩나 擬古詩와 같이 같은 주제로 상대 작품을 염두에 두고 짓던 문학 풍조를 바탕으로 형성된 체제라 할 수 있다. 漢代 이후 몇몇 '和-'題의 작품이 전해지기는 하지만 동진시대 도연명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창작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는 문인들의 교류에 주로 사용하던 贈答詩가 풍격의 典雅化, 形式化 儀式化로 인해 점점 쇠락하던 시기였으므로, 창화시가 그 역할을 대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唱和란, 한쪽에서 시를 짓고 다른 한 쪽에서 그에 대해 시로써 酬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창작활동이므로,선후의 시간차를 두고 시로써 화답하게 된다. 따라서 화시는 창시라는 특정한 작품을 염두에 두고 창작하게 되어 주제나 내용면에서 서로 유사한 점을 지닌다. 특히 초기의 화시는 和韻詩가 아닌, 창시의 내용에 대해서 의미상으로 화답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러나 의미상의 화답도 일정한 발전과정을 거쳐서 형성된다. 동진의 창화시는 自然의 철학적 이치를 탐구하는 玄言詩의 특징을 지녀서 서정성은 떨어진다. 송대의 창화시 역시 증답시적 성격이 강하여, 창화시의 형식을 완성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즉 진송시기의 창화시는 '주고받는' 의례에 충실했다고 할 수 있다. 齊 永明시기에 와서 沈約, 謝朓 등을 중심으로 한 문인들이 증답시 대신 창화시를 즐겨 사용하면서, 창작시를 창작하는 문인의 범위가 확대되고, 내용도 창시의 내용에 대해 제한적으로 화답하는 화시가 창작된다. 형식면에서도, 화시의 句數가 점차 창시의 구수에 맞추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梁代에 이르러 창화시는 君臣간의 창화와 文人간의 창화로 나뉘어 발전한다. 군신간의 창화는 주로 應制詩의 형식과 결합한 奉和詩여서, 진실한 감정을 표현하기 보다는 儀禮的이고 형식적인 내용의 작품이 많다. 봉화시는 이후 初唐시기까지 宮庭詩의 대표적인 체제로 자리잡는다. 문인간의 창화는 봉화시의 발전으로 수량이 그다지 많지는 않지만, 화시의 내용이 철저하게 창시의 내용에 대한 화답으로 제한되고, 문인간의 진실한 감정이 표현되고 교류된다. 이 시기의 창화시에도 몇몇 작품에 和韻詩가 등장하기는 하나 본격적으로 창작된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 다만, 화시는 창시의 주제나 표현수법, 修辭 등의 방면에서 창시의 표현예술을 반영함으로써 창시의 예술성도 반영해 낸다.
    활용방안: 1. 본 연구를 통해 唱和詩의 발생배경과 발생시기, 발전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초기 창화시의 개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국 특히 위진남북조 시기 문인들의 시가관념이나 문인 교류, 시가창작 환경 등을 이해하고 심화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2. 위진남북조에서 당대 초기까지 지어진 和詩는 창시에 대한 ‘和意’의 작품이기 때문에 시가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이러한 내용상의 상호보완성을 이용하면, 原唱詩가 전해지지 않는 여타 和詩를 이해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3. 새로운 문학해석의 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작가론이나 작품론은 문학해석에 있어 가장 기초가 되고 그런 의미에서 여전히 중요한 작업이지만 通時性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唱和詩에 대한 연구는 바로 그러한 단점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 색인어
  • 창화시. 창시. 화시. 봉화시. 응제시. 증답시. 의고시. 동제시. 창화. 응수창화. 화운시. 화운. 차운시. 도연명. 심약. 사조.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