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51&local_id=10011522
지구화 시대 중국의 문화 담론과 문화 발전 전략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구화 시대 중국의 문화 담론과 문화 발전 전략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욱연(서강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4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아 연구는 지구화와 시장화의 과정에서 적어도 1990년대 이전까지 문화 생산의 양대 주체였던 중국 정부(중국 공산을 포함하여)와 지인이 문화의 역할과 기능과 관련하여 어떻게 조정 작업을 진행하고, 그것이 문화 담론과 문화 정책과 문화 발전 전략으로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검토하였다. 특히 문화의 역할과 기능과 관련한 조정 작업이 중국 민족주의와 관계 맺는 양상이 과거와 어떻게 차이를 지니고 있고, 문화 체제의 개편이 어떤 목적과 구도 속에서 진행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신문화운동 이후 문학과 예술은 물론 지식과 사상, 도덕, 가치관을 망라한 포괄적인 개념으로 문화가 이해되는 가운데, 정치, 경제, 사회를 변혁하기 위해서는 문화의 변혁이 먼저 전제되어야 한다는 ‘문화혁명’의 개념이 현대 중국에서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왔다. 현대 중국에서 문화혁명이라는 개념은 정치, 경제, 사회의 변혁을 위해서는 문화를 가장 우선적으로 변혁해야 한다고 여기는 것으로, 정치적 사회적 변혁을 위한 전제는 인민의 가치관과 정신의 전면적 변혁이라는 문화적, 사상적 접근법이다. 문화혁명 방식은 현대 중국의 개성적인 혁명론이자 혁명 실천의 방법이었다. 현대 중국에서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역사의 전화기마다 ‘문화’를 중심에 두고 논의가 진행되었던 것은 이 때문이다. 이러한 문화혁명의 핵심은 반전통주의와 민족주의의 결합이었다.
    그런데 1990년대 이후 이러한 문화혁명 방식의 문화적 급진주의는 사라진다. 1990년대 중국 지식인 사회는 문화 보수주의가 등장하여 주류 문화담론의 위치를 차지한다. 이 문화 보수주의는 1990년 이후 대두된 중국 민족주의의 문화적 표현이었다. 이 문화 보수주의는 문화혁명이 견지하였던 반 전통주의를 비판하면서 전통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한다. 문화 보수주의 담론은 세 가지 차원에서 중요한 문화적 전환을 가져왔다. 첫째, '문화혁명'과는 달리 전통과 민족주의를 결합한 점, 둘째, 지식인의 문화적 역할과 정체성과 관련하여 지식인이 본토문화, 민족문화의 계승자이자 수호자로서 정체성을 세우게 된다는 점, 셋째, 문화의 역할과 기능에서 문화가 민족 신분의 상징으로 여겨지면서 중화 민족 구성원을 하나로 응집시키는 민족 통합 기제로서 기능과 역할을 정립한다는 점이 그렇다.
    이러한 문화 보수주의는 2000년대 이후 변화를 보인다. 문화 보수주의가 지식인들의 담론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고 국가 문화 정책과 문화 발전에 관한 제안과 건의의 형태를 띠게 되고, 중국 정부와 중공당은 문화 문제에 대해 큰 정책적 관심을 보이면서 이를 국가의 문화 정책으로 구현해 나가게 된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는 '문화안보'론을 내세운다. 중국 정부와 중공당의 문화 발전 전략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나는 전통문화의 재건과 유교 부활 전략이며, 다른 하나는 문화체제 개혁을 통해 문화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 발전 전략은 기본적으로 민족주의 성격을 지니고, 한류에 미치는 영향은 위기와 기회의 요소를 동시에 지닌다고 하겠다. 중국 문화 시장이 정비되고 외국 자본이 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기회이지만, 중국이 한층 외래 문화의 중국 유입에 경계심을 갖고 있고, 중국 문화 산업이 빠르게 성장한다는 점에서는 위기인 것이다.

  • 영문
  • Cultural Discourse and Cultural Strategy in the Globalization Era of China

    As the Chinese economy has participated in global economy system, the concept of 'culture' also has changed in great. The notion of "cultural revolution" is deeply imbedded in the thought of modern Chinese intelligentsia. The notion of "Cultural revolution" is consider that cultural change is essential prerequisite for effective political change and social progress. From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to the "Cultural syndrome", The notion of "cultural revolution" had great influence on cultural discourse of Chinese intelligentsia and cultural policy of Chinese government in modern China. The "cultural revolution" in modern China is aim for building modern nation by an iconoclastic rejection of China cultural and historical heritage.
    In contrast to the concept of culture in the "cultural revolution", In global era of China, culture is not any more essential prerequisite for effective political change and social progress but the most important means to unite Chinese, it has performed the important function of nationalism in Chinese intellectual discourse since 1990s. Cultural conservatism in Chinese intellectual discourse is deeply related to nationalism, so it's very concern to revival Chinese tradition.
    In early 21th, CCP and Chinese government attach great importance to remodeling cultural system and traditional Chinese cultur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servative response to crisis situation facing culture in global era of Chin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중국은 1992년 이후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2001년 WTO에 가입하면서 지구화 시대에 접어든다. 중국에서 시장화와 지구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중국 문화적 상황은 큰 변화를 겪는다. 문화의 역할과 기능에 있어서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신문화운동 이후 문학과 예술은 물론 지식과 사상, 도덕, 가치관을 망라한 포괄적인 개념으로 문화가 이해되는 가운데, 정치, 경제, 사회를 변혁하기 위해서는 문화의 변혁이 먼저 전제되어야 한다는 ‘문화혁명’의 개념이 현대 중국에서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왔는데, 이 문화혁명의 개념이 더이상 문화담론과 문화 정책으로 등장하지 않는 것이다. 현대 중국에서 문화혁명이라는 개념은 정치, 경제, 사회의 변혁을 위해서는 문화를 가장 우선적으로 변혁해야 한다고 여기는 것으로, 정치적 사회적 변혁을 위한 전제는 인민의 가치관과 정신의 전면적 변혁이라는 문화적, 사상적 접근법이다. 이러한 문화혁명은 기본적으로 반 전통 민족주의의 성격을 지녔고, 이는 신문화운동에서부터 마오쩌둥 시기의 문화대혁명, 그리고 1980년대 문화열에 이르기까지 공동의 사상적 기반이었다.
    그런데 1990년대 이후 지구화와 시장화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성격의 문화혁명은 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문화의 역할과 기능 역시 변화한다. 1990년대 이후 중국 지식인 사회의 대표적인 문화 담론은 문화 보수주의이다. 이문화 보수주의는 1990년 이후 대두된 중국 민족주의의 문화적 표현이었다. 이 문화 보수주의는 문화혁명이 견지하였던 반 전통주의를 비판하면서 전통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한다. 문화 보수주의 담론은 세 가지 차원에서 중요한 문화적 전환을 가져왔다. 첫째, '문화혁명'과는 달리 전통과 민족주의를 결합한 점, 둘째, 지식인의 문화적 역할과 정체성과 관련하여 지식인이 본토문화, 민족문화의 계승자이자 수호자로서 정체성을 세우게 된다는 점, 셋째, 문화의 역할과 기능에서 문화가 민족 신분의 상징으로 여겨지면서 중화 민족 구성원을 하나로 응집시키는 민족 통합 기제로서 기능과 역할을 정립한다는 점이 그렇다.
    이러한 문화 보수주의는 2000년대 이후 변화를 보인다. 문화 보수주의가 지식인들의 담론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고 국가 문화 정책과 문화 발전에 관한 제안과 건의의 형태를 띠게 되고, 중국 정부와 중공당은 문화 문제에 대해 큰 정책적 관심을 보이면서 이를 국가의 문화 정책으로 구현해 나가게 된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는 '문화안보'론을 내세운다. 중국 정부와 중공당의 문화 발전 전략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나는 전통문화의 재건과 유교 부활 전략이며, 다른 하나는 문화체제 개혁을 통해 문화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 발전 전략은 기본적으로 민족주의 성격을 지니고, 한류에 미치는 영향은 위기와 기회의 요소를 동시에 지닌다고 하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중국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담론이 1990년대 이후 지극히 민족주의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에서 전반적으로 민족주의가 크게 대두하고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2. 중국은 최근 들어 문화 산업 발전을 중요한 국가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고, 대대적인 문화 체제 개혁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향후 중국에 한류가 진출하는 데 있어서 기회요소와 위험요소에 대한 보다 치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 전통주의와 민족주의가 결합하는 가운데 문화의 역할과 기능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 정부와 문화 보수주의 문화 담론을 내놓고 있는 지식인들은 문화를 민족통합의 기제로서 상정하고 있다. 문화의 역할과 기능이 그 이전에 비해 보수적으로 바뀐 것이다.
    이 연구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중국 지식인 사회의 최근 동향을 이해할 수 있다. 지구화 시장화 시대를 맞아 중국 지식인 사회에 문화 보수주의가 지배하고 있는 중국 지식인 사회의 현재를 이해할 수 있다.
    2. 중국 정부와 중공당이 동북공정과 고구려 문화 유산에 대해 집착을 보이는 중국 내적 배경을 짐작할 수 있다. 중국 정부와 중공당이 1990년대 이후 진행해 온 문화 정책 가운데 전통문화의 부활과 유교 부활, 전통 문화 유산 정리 및 보호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고, 이는 동북공정 추진의 배경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3. 중국의 문화 산업 발전 전략의 기본 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 2000년대 이후 올해까지 중국 문화 발전 전략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중국 문화 산업 발전에 한국이 어떻게 대처하고, 향후 한류를 수출하는 데 있어서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지에 대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4. 중공당이 사회주의 이념이 퇴각한 이후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는지를 이해하여, 중국 정치의 동향에 대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 색인어
  • 중국 현대문화, 중국 문화보수주의, 한류, 중국 문화산업, 중국 문화정책, 중국 민족주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