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earch by Achievements Type > Reports View
Reports Detailed Information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58&local_id=10011737
일본어와 한국어 주관적 서법형식의 시제 제약
Researcher who has been awarded a research grant by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Support Program of NRF has to submit an end product within 6 months(* depend on the form of business)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Project Number |
A00361 |
Year(selected) |
2004 Year
|
the present condition of Project |
종료 |
State of proposition |
재단승인 |
Completion Date |
2006년 05월 27일 |
Year type |
결과보고 |
Year(final report) |
2006년 |

Research Summary
-
Korean
-
우선 첫째로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 「だろう、う(よう)、まい、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가 시제제약의 차이에 의해 「だろう、う(よう)、まい」로 대표되는 주관적 양태소와 「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로 대표되는 객관적 양태소로 분류되는 것을 밝혔다. 둘째,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는 굴절하지 않으며 과거의 의 ...
우선 첫째로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 「だろう、う(よう)、まい、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가 시제제약의 차이에 의해 「だろう、う(よう)、まい」로 대표되는 주관적 양태소와 「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로 대표되는 객관적 양태소로 분류되는 것을 밝혔다. 둘째,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는 굴절하지 않으며 과거의 의미를 지니지 않으며, 나아가 그 형식이 에워싸고 있는 명제내용은 시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선행연구를 통해 요약하였다. 셋째, 한국어 [겠, ㄹ것이다, 가보다, 듯하다, ㄹ것같다, 모양이다] 등의 양태소의 시제제약을 고찰한 한국어 선행연구가 없다는 것을 밝히고, 넷째로 이들 형식 역시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주관적 양태소와 객관적 양태소로 분류되며, 마지막으로 이들 주관적 양태소의 시제제약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접근가능성] 즉 명제내용에 대한 화자의 인식적 접근과 [현실성] 즉 주관적 양태소가 반드시 발화시점에서 사용된다는 성질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
English
-
First, this paper introduce that epistemic auxiliaries in Modern Japanese can be classified into (1) subjective modals[daroo, (u)yo, mai]and (2)objective [yooda, rashii,(shi)sooda(cf. Sawata(1993).secondly, I claim that epistemic auxiliaries in Moder ...
First, this paper introduce that epistemic auxiliaries in Modern Japanese can be classified into (1) subjective modals[daroo, (u)yo, mai]and (2)objective [yooda, rashii,(shi)sooda(cf. Sawata(1993).secondly, I claim that epistemic auxiliaries in Modern Korean can be also classified (1) subjective modals[keiss, (l)kesi-ta, kapota]and (2)objective [tusshata, (l)keskatta, moyangi-ta).Thirdly, I will investigate that constrain of tense of epistemic auxiliaries in Japanese and Korean on [accessibility] and [reality].

Research result report
-
Abstract
-
우선 첫째로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 「だろう、う(よう)、まい、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가 시제제약의 차이에 의해 「だろう、う(よう)、まい」로 대표되는 주관적 양태소와 「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로 대표되는 객관적 양태소로 분류되는 것을 밝혔다. 둘째,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는 굴절하지 않으며 과거의 의 ...
우선 첫째로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 「だろう、う(よう)、まい、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가 시제제약의 차이에 의해 「だろう、う(よう)、まい」로 대표되는 주관적 양태소와 「ようだ、らしい、(し)そうだ」로 대표되는 객관적 양태소로 분류되는 것을 밝혔다. 둘째,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는 굴절하지 않으며 과거의 의미를 지니지 않으며, 나아가 그 형식이 에워싸고 있는 명제내용은 시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선행연구를 통해 요약하였다. 셋째, 한국어 [겠, ㄹ것이다, 가보다, 듯하다, ㄹ것같다, 모양이다] 등의 양태소의 시제제약을 고찰한 한국어 선행연구가 없다는 것을 밝히고, 넷째로 이들 형식 역시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주관적 양태소와 객관적 양태소로 분류되며, 마지막으로 이들 주관적 양태소의 시제제약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접근가능성]과 [현실성]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
Research result and Utilization method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의 시제제약이 한국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과, 일본어와 한국어 주관적 양태소의 시제제약이 [접근가능성]과 [현실성]에 의해서 발생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으로 우선 첫째로 일본어 양태소 연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본어 주관적 양태소의 시제제약이 한국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과, 일본어와 한국어 주관적 양태소의 시제제약이 [접근가능성]과 [현실성]에 의해서 발생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으로 우선 첫째로 일본어 양태소 연구, 둘째 한국어 양태소 연구, 셋째 한국어와 일본어 양태소에 대한 활발한 담론이 형성되게 할 방안이다. 넷째 본 연구 결과는 일반대학원 및 교육대학원 학생들에게 연구결과가 환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학부학생들에게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부각시켜 보다 원활한 일본어 습득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
Index terms
-
명제, 모댈리티, 양태소, 시제, 주관적 양태소, 객관적 양태소, 개념구조, 접근가능성
-
List of digital content of this reports
-
This document,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original author and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use copyrighted material for-profit
-
In addition , it does not allow the change or secondary writings of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