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59&local_id=10011999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디자인 교육혁신 프로그램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디자인 교육혁신 프로그램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순종(서울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0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를 추진한 배경은 변화하는 사회와 산업 환경에 적합한 디자인 전문 교육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최근 20년간 대학 디자인교육기관의 성장과 발전은 우리나라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불어 닥친 급격한 기술변동과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기업은 좀더 현장 중심적인 디자인 전문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 그간 미술대학 중심의 전통적 디자인 교육은 나름대로 성과도 있었지만 이러한 변화한 환경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기에는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간 선진국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일관된 원칙은 시대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디자인교육프로그램에 성찰적으로 적용하고 실시해왔다는 점이다. 특히 산업수요에 즉각 대응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학제를 벗어나 학제간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국제사회에서 디자인을 주도하였다. 디자인교육기관은 미래디자인의 가치를 선도적으로 탐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환경을 구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데 그간 실증적 사례가 풍부한 성공적 방법이 다학제적 접근이며 미래에도 이 경향은 변치 않을 것이다. 특히 정보, 지식, 문화시대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분야가 속속 출현하고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다학제적 디자인교육환경의 조성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과 기업에서 요구하는 복합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디자이너를 교육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할 수 있는 교육체계와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 있다. 오늘날의 디자이너는 새로운 업무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특히 공학과 경영학의 지식과 기술을 겸비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디자인기획력’, ‘최적설계원리’ 등의 디자인을 둘러싼 관련 지식을 갖추어야하고 마케팅, 기획관리, 재료학, 제조공정 등의 전문가와 효율적으로 협동할 수 있어야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하는 다학제 교육체계와 프로그램은 디자인, 경영학, 공학의 학제간 교육을 중심으로 주변 분야를 연계 통합한 내용으로 전공수업의 협동운영, 현장실습연계, 학제간 연구기반 조성, 혁신 디자인 개발프로그램 적용, 교육시설공유대한 종합적 대안 제시로 이루어져있다.
  • 영문
  • The background which propels the research is to follow in demand of the design technical education which is suitable in the society and industrial environment. Recently for 20 year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university-design- educational institutes contributed on industrial development of our country.
    According to the technical fluctuation and changing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enterprise is demanding a site-centered design professional manpower little more. The while the traditional design education in the fine arts university center got also their own result, it has various insufficiencies which couldn't confront appropriately in demand of the environment.

    The principle which appears from instances of the advanced nation is to accommodate social changing demands and apply to the design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immediate to confront in industrial demand specially, it escaped a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 and execute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al program" to lead an international society in design area.
    The design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environments to explore the value of future design. To work out effectively, the successful method is "Multidisciplinary approach method" and the future tendency will not change. Especially, The new field is appearing one after another from the process which changes at information, knowledge and cultural time. In order to deal with all this situation, we need development of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gram.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consequently suggest the educational system and a educational program which can educate the designer to get a complex knowledge and the technique which demand from industry and the enterprise. Nowadays in order to be adapted to a new business environment, designers specially should have both the knowledge and a technique of engineering and business administration such as `optimal design principled', `design planning power'. They're able to cooperate with the specialist of marketing, the civil planning official, the material manufacture. In this research we suggest,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al system and program is made up of the coordinated operation of major classes, on-the-job training connection, educational system for research base creation, renovation design development program application and the synthetic alternative proposal about the training facility joint ownership by connect with education of desig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변화하는 사회와 산업 환경에 부응하기 위하여 대학디자인교육에 있어서 다학제교육의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최근 20년간 우리나라 대학디자인교육은 양적 성장과 , 질적 성장으로 우리나라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해왔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불어 닥친 급격한 기술변동과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기업은 좀더 현장 중심적이며 산업을 이끌 보다 제품디자인및 개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보다 혁신적이고 종합적인 안목의 디자인전문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미술대학 중심의 전통적 디자인 교육은 나름대로 성과도 있었지만 이러한 변화하는 디자인의 외적 환경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기에는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나타나고 있다.

    그간 선진국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일관된 원칙은 시대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디자인교육프로그램에 성찰적으로 적용하고 실시해왔다는 점이다. 특히 산업수요에 즉각 대응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학제를 벗어나 학제간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국제사회에서 디자인을 주도하였다. 디자인교육기관은 미래디자인의 가치를 선도적으로 탐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환경을 구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데 그간 실증적 사례가 풍부한 성공적 방법이 다학제적 접근이며 미래에도 이 경향은 변치 않을 것이다. 특히 정보, 지식, 문화시대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분야가 속속 출현하고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다학제적 디자인교육환경의 조성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과 기업에서 요구하는 복합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디자이너를 교육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교육체계와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학, 경영학 분야에서 신제품기획 및 디자인/개발 관련 최우수 대학들을 사례로 선정하여 그들의 프로그램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례대상교는 핀란드의 IDBM, 네델란드의 델프트 공대 디자인공학과, 스탠포드대학의 디자인조인트 프로그램, MIT 미디어랩, 카네기멜론 대학교 통합제품개발프로그램, 캐나다의 토론토대학교의 로트만 등이다. 이들사례를 통해 본 오늘날의 디자이너는 새로운 업무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특히 공학과 경영학의 지식과 기술을 겸비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디자인기획력’, ‘최적설계원리’ 등의 디자인을 둘러싼 관련 지식을 갖추어야하고 마케팅, 기획관리, 재료학, 제조공정 등의 전문가와 효율적으로 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다학제 디자인교육체계와 프로그램을 위하여 디자인, 경영학, 공학의 학제간 교육을 중심으로 각 분야를 연계 통합한 내용으로 디자인, 공학, 경영학등의 전공수업의 협동운영(학부레벨), 현장실습연계, 학제간 연구기반 조성, 혁신 디자인 개발프로그램 적용, 교육시설공유에 대한 종합적 대안 제시로 이루어져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사례조사, 프로그램개발 워크숍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범위로는 먼저 분야별 전문교육과 대학교육 현황과 특징에 대한 문헌조사를 일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디자인, 공학, 경영학을 중심으로 분야별 다학제 교육의 원리를 규명하였다. 세 번째는 지역별, 분야별로 이에 대한 모범적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장단점을 정리하였다. 네 번째로 이상의 조사 분석을 기반으로 최적의 다학제 디자인대학교육의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고 가상의 다학제 디자인대학교육기관 설립을 포함한 프로그램 운영의 기본 원리와 개요, 방법 그리고 세부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대학디자인 교육혁신 프로그램은 미술대학의 디자인 분야, 공과대학의 공학설계 분야 및 경영대학의 마케팅 분야가 하나의 조직으로 연계된 혁신적 인 다학제적 디자인 전공 협동과정을 만들어, 학부에서 미술대학, 공과대학 및 경영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을 신입생으로 선발하여 각 학생들이 학부에서 확보한 소양을 기반으로 다학제적 관점에서 종합적인 디자인 능력을 연마하도록 한다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통합디자인혁신프로그램(대학원레벨)의 학생은 학부 전공에 따라서, 디자인 분야, 공학 분야, 경영학 분야 학생으로 구분하며, 교과 과정은 크게 분야별 기본과목, 분야별 심화과목, 공통필수과목 및 학위 논문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분야별 기본 과목은 타 분야 학생들을 위한 과목으로서, 타 분야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들에게 필수적으로 필요한 개념을 전달하기 위한 과목으로 새로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공학 분야 기본 과목으로 역학개론과 같은 과목을 새로 개발하되 타 분야 학생의 입장에서 디자인과 관련되어 필요한 내용을 담는 강의가 되어야 하며, 이 과목은 공학 분야 학생들은 수강할 수 없다.

    분야별 심화과목은 오히려 동일 분야 학생들을 위한 과목으로, 여러 가지 분야를 모두 취급하는 것은 아닌 디자인, 공학설계 및 제품 개발 관련된 경영학 관련 과목 등으로 한정하고, 타 분야 학생들도 수강 가능하다.

    공통필수과목은 모든 학생이 반드시 졸업을 위해서 이수해야 하는 과목으로, 크게 다학제적 설계프로젝트 과목과 디자인 세미나 과목으로 나뉜다. 다학제적 세미나 과목은 세 분야의 학생들이 공동으로 팀을 구성해서 수강하는 과목으로서 설계프로젝트 수행 위주로 강의를 진행하며, 학기말에 발표회를 실시하고, 디자인 세미나 과목은 국내외 산학연에서 연사를 초청하거나 자체적으로 다자인 사례 연구를 진행하여 학생들에게 많은 실제적인 디자인 사례를 제공하는 과목으로 구성되었다.

    활용: 본 프로그램은 산학협동 및 국제협력의 중심 주체가 되어, 활발한 산학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산업체를 리드할 수 있는 선행 연구 및 디자인 동향 및 흐름

    파악의 리더 역할을 하며, 본 프로그램의 운영 예산은 대부분을 산학협동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조달 할 수 있도록 해, 소속 대학원생 들이 제품 디자인 연구에 전념할

    수 있고, 이후 산업체에 진출 하여 실질적인 리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요람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었다.
  • 색인어
  • 학제간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다학제적 접근, 디자인-경영학-공학의 학제간 연계 통합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