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68&local_id=10012658
韓日兩國語에 있어서의 漢字語의 對照硏究(4) - 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을 中心으로 -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韓日兩國語에 있어서의 漢字語의 對照硏究& #40;4& #41; - 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을 中心으로 -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우석(영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37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6월 0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二字漢字語」․「三字漢字語」․「四字漢字語」의 경우와 같은 연구방법에 의해, 韓日兩國語에 있어서의「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을 調査하여, 兩國漢字語의 品詞性은 각각 어떠한 類型으로 나타나며, 각 類型에 속하는 漢字語에는 어떠한 例들이 있는지, 그리고 両国語의 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은 그 対応関係에 있어서 類型別, 語例別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對照․考察한 것이다. 그 결과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日本語에 있어서의 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의 類型은 〔+N〕․〔+V〕․〔+A〕․〔+N +V〕․〔+N +A〕․〔+N +Ad〕․〔+V +Ad〕․〔+N +V +A〕․〔+N +V +Ad〕類의 9種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비해 韓國語의 경우는 여기에서 〔+N +Ad〕․〔+V +Ad〕․〔+N +V +Ad〕類가 제외되고 대신 〔+Ad〕․〔+V +A〕類가 추가된 8種의 類型으로 분류되었다.
    語彙数에 있어서는 日本語는〔+N〕類가 538語, 〔+V〕類가 136語, 〔+N +V〕類가 115語, 〔+N +A〕類가 14語, 〔+A〕類가 3語의 順으로 나타난 데에 비해, 韓国語는〔+N〕類가 725語, 〔+N +V〕類가 27語, 〔+V〕類가 25語, 〔+A〕類가 21語, 〔+N +A〕類가 10語의 順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日本語에서는〔+N〕類가 538語(66.17%), 〔+V〕類가 136語(16.73), 〔+N +V〕類가 115語(14.15%) 존재하는 데에 반해, 韓國語의 경우는〔+N〕類가 725語(89.18%)로 훨씬 많으며, 〔+N +V〕類와 〔+V〕類는 각각 27語(3.32%), 25語(3.08%)로 비교적 적은 편이다. 이러한 사실은 名詞性만을 지닌 一字漢字語는 韓國語 쪽이 훨씬 많고, 動詞性 또는 名詞性과 動詞性을 동시에 지닌 一字漢字語는 日本語 쪽이 상대적으로 많음을 나타낸다.
    또한 韓日両国語에 있어서의 一字漢字語 813語의 品詞性은 67.16%에 달하는 546語가 対応하고 있으며, 나머지 267語(32.84%)는 対応하지 않음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両国語의 品詞性에 있어서 対応․非対応을 합하여 모두 28種의 다양한 対応関係가 존재함을 알 수가 있었다.
  • 영문
  • 本稿は、「二字漢字語」․「三字漢字語」․「四字漢字語」の場合と同じ硏究方法により、 韓日兩國語における「一字漢字語」の品詞性を調査して、兩國漢字語の品詞性はそれぞれいかなる類型として表われるのか、各類型に属する漢字語にはいかなる例があるのか、また両国漢字語の品詞性はその対応関係において類型別、語例別にいかなる様相として表われるのかを、對照․考察したものである。この研究を通して得た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になる。
    日本語における一字漢字語の品詞性の類型は、〔+N〕․〔+V〕․〔+A〕․〔+N +V〕․〔+N +A〕․〔+N +Ad〕․〔+V +Ad〕․〔+N +V +A〕․〔+N +V +Ad〕類の9種に分類できた。これに対して、韓國語における一字漢字語の場合は、これらから〔+N +Ad〕․〔+V +Ad〕․〔+N +V +Ad〕類が除かれると同時に〔+Ad〕․〔+V +A〕類が追加された8種の類型に分類できた。
    語彙數においては、日本語の場合、〔+N〕類が538語、〔+V〕類が136語、〔+N +V〕類が115語、〔+N +A〕類が14語、〔+A〕類が3語の順として表われた。これに対して, 韓国語は〔+N〕類が725語、〔+N +V〕類が27語、〔+V〕類が25語、〔+A〕類が21語、〔+N +A〕類が10語の順として表われた。
    また、日本語においては、〔+N〕類が538語(66.17%)、〔+V〕類が136語(16.73)、〔+N +V〕類が115語(14.15%)が存在する。これとは違って、韓國語の場合は〔+N〕類が725語(89.18%)とずっと多く、〔+N +V〕類と〔+V〕類はそれぞれ27語(3.32%)、25語(3.08%)とわりに少ないほうである。このことは、名詞性だけ持つ一字漢字語は韓國語のほうがずっと多く、動詞性または名詞性と動詞性を合わせ持つ一字漢字語は、日本語のほうがわりに多いことを示す。
    なお、韓日両国語における一字漢字語813語の品詞性は、67.16%に上る546語が対応しており、残りの267語(32.84%)は対応していないことが分かった。そして対応․非対応を合わせて28種の様々な対応様相を見い出すことができた。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二字漢字語」․「三字漢字語」․「四字漢字語」의 경우와 같은 연구방법에 의해, 韓日兩國語에 있어서의「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을 調査하여, 兩國漢字語의 品詞性은 각각 어떠한 類型으로 나타나며, 각 類型에 속하는 漢字語에는 어떠한 例들이 있는지, 그리고 兩國語의 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은 그 대응관계에 있어서 類型別, 語例別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對照, 考察한 것이다. 그 결과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日本語에 있어서의 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의 類型은 〔+N〕,〔+V〕,〔+A〕,〔+N +V〕,〔+N +A〕,〔+N +Ad〕,〔+V +Ad〕,〔+N +V +A〕,〔+N +V +Ad〕類의 9種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비해 韓國語의 경우는 여기에서 〔+N +Ad〕,〔+V +Ad〕,〔+N +V +Ad〕類가 제외되고 대신 〔+Ad〕,〔+V +A〕類가 추가된 8種의 類型으로 분류되었다.
    語彙数에 있어서는 日本語는〔+N〕類가 538語, 〔+V〕類가 136語, 〔+N +V〕類가 115語, 〔+N +A〕類가 14語, 〔+A〕類가 3語의 順으로 나타난 데에 비해, 韓国語는〔+N〕類가 725語, 〔+N +V〕類가 27語, 〔+V〕類가 25語, 〔+A〕類가 21語, 〔+N +A〕類가 10語의 順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日本語에서는〔+N〕類가 538語(66.17%), 〔+V〕類가 136語(16.73), 〔+N +V〕類가 115語(14.15%) 존재하는 데에 반해, 韓國語의 경우는〔+N〕類가 725語(89.18%)로 훨씬 많으며, 〔+N +V〕類와 〔+V〕類는 각각 27語(3.32%), 25語(3.08%)로 비교적 적은 편이다. 이러한 사실은 名詞性만을 지닌 一字漢字語는 韓國語 쪽이 훨씬 많고, 動詞性 또는 名詞性과 動詞性을 동시에 지닌 一字漢字語는 日本語 쪽이 상대적으로 많음을 나타낸다.
    또한 韓日両国語에 있어서의 一字漢字語 813語의 品詞性은 67.16%에 달하는 546語가 対応하고 있으며, 나머지 267語(32.84%)는 対応하지 않음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両国語의 品詞性에 있어서 対応․非対応을 합하여 모두 28種의 다양한 対応関係가 존재함을 알 수가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二字漢字語, 三字漢字語, 四字漢字語의 경우와 같은 연구방법에 의해, 韓日兩國語에 있어서의「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을 調査하여, 兩國漢字語의 品詞性은 각각 어떠한 類型으로 나타나며, 각 類型에 속하는 漢字語에는 어떠한 例들이 있는지, 그리고 両国語의 一字漢字語의 品詞性은 그 대응관계에 있어서 類型別, 語例別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對照, 考察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한일양국어에 있어서 한자어의 품사성의 대조연구"라는 큰 틀 속에서 이 분야의 학문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자료는 한국인에 대한 일본어교육, 그리고 일본인에 대한 한국어교육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서는 양국어의 습득, 교육뿐만 아니라, 교재와 사전의 제작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색인어
  • 한일양국어, 한자어, 대조연구, 一字漢字語, 二字漢字語, 三字漢字語, ,四字漢字語, 품사성, 한자어의 품사성의 유형, 품사의 인정기준, 대조분석, 유형별 대조분석, 어례별 대조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