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74&local_id=10012119
무용공연불안검사개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무용공연불안검사개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문영(국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2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성공적 공연을 위해서는 개개인 무용수의 공연상태불안의 통제와 조절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개인별 처방과 지도의 기초가 되는 공연특성불안의 정확한 측정이 선결되어야 한다는 인과적 논리 하에 무용수들의 선천적 불안 성향인 공연특성불안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공연에 참가하는 무용수들의 공연에 대한 선천적인 불안반응 성향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개발을 위하여 1) 선행연구와 기존불안 측정도구들을 종합적으로 섭렵하고, 무용공연이라는 특수한 상황적 자극에 대한 불안반응 성향을 타진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예비검사를 제작한 다음 2) 이를 대표적인 무용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요인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무용공연특성불안의 본질적 구인(construct)을 밝혀내고 3) 이를 근거로 최종형 무용공연 특성불안 검사를 제작한 다음, 4) 이 완성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 결과 예비검사를 위하여 선행연구결과와 기존불안 검사에 포함된 문항을 참고로 하여 개발된 무용공연 특성불안검사의 문항은 전문가들의 논리적인 검토와 판단을 통해 확정된 총 40개이다. 이들 40개의 예비문항은 213명의 무용전공생에 실시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거쳤다. 그 결과 첫째, 먼저 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무용공연특성불안 검사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요인분석 결과 검사는 크게 4개 문항씩 4개의 요인으로 압축되었다. 구체적으로 무용공연특성불안을 단일 요인의 성질을 가진 것이 아니라 인지적 요인, 신체적 불안증상, 불안행동 증상, 그리고 자신감 요인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무용공연특성불안검사에 최종적으로 선별된 문항과 그 하위요인들의 신뢰도는 충분히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산출한 공인타당도(concurrent validity)지수는 개발된 무용공연특성불안검사가 공연을 위해 무대위에 서는 무용수들의 공연에 대한 선천적인 불안성향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영문
  •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dance on the stage is largely a function of performance's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performance anxiety and, thus, the efficient control of performance anxiety is a crucial problem to solve in advance of stage performanc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measuring instrument(i,e., test)which can aptly diagnose dance performer's trait anxiety due to stage performanc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tate anxiety, emphasis was placed on the trait anxiety construct which is theoretically assumed to mediate the level of state anxiety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audience. An original pool of 64 test item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en was subjected to experts' logical judges in order to secure face validity, finally being reduced into a 40-item preliminary test.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llowed by an oblique rotation yielded a 4-factor Dance Trait Performance Test(DTPA) with 4 items each. Item-to-total correlations ranging from the lowest of .272 to the highest of . 706 of 16 test items along with internal consistencies(Conbach's α= .717 - .813) of subtests and a total test(α= .848) were proved to be adequately high, lending support to practical use. Correlations between DTPA subscores and scores from three other criterion tests i.e., Marten's(1977)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SCAT), Spielberger et al.(1970) Trait Anxiety Inventory(TAI) and Taylor's(1953) Manifest Anxiety Scale (MAS)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viding concurrent validity of DATA.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practicality when supported by additional research evidence in favor of the factorial structure of DTPA with the use of confimatory factor analysis along with validation studies by correlating with dance performance scor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On the assumption that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dance on the stage is largely a function of performance's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performance anxiety and, thus, the efficient control of performance anxiety is a crucial problem to solve in advance of stage performanc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measuring instrument(i,e., test)which can aptly diagnose dance performer's trait anxiety due to stage performanc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tate anxiety, emphasis was placed on the trait anxiety construct which is theoretically assumed to mediate the level of state anxiety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audience. An original pool of 64 test item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en was subjected to experts' logical judges in order to secure face validity, finally being reduced into a 40-item preliminary test.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llowed by an oblique rotation yielded a 4-factor Dance Trait Performance Test(DTPA) with 4 items each. Item-to-total correlations ranging from the lowest of .272 to the highest of . 706 of 16 test items along with internal consistencies(Conbach's α= .717 - .813) of subtests and a total test(α= .848) were proved to be adequately high, lending support to practical use. Correlations between DTPA subscores and scores from three other criterion tests i.e., Marten's(1977)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SCAT), Spielberger et al.(1970) Trait Anxiety Inventory(TAI) and Taylor's(1953) Manifest Anxiety Scale (MAS)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viding concurrent validity of DATA.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practicality when supported by additional research evidence in favor of the factorial structure of DTPA with the use of confimatory factor analysis along with validation studies by correlating with dance performance score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 무용공연특성불안 요인구조 확인: 인지적 요인, 신체적 불안증상, 불안행동 증상, 자신감 요인
    2) 무용공연특성불안건사에 최종적으로 선별된 문항과 그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높다.
    3)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산출한 공인타당도 지수는 개발된 무용공연특성불안검사가 공연을 위해 무대위에 서는 무용수들의 공연에 대한 선천적인 불안성향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다.
    4) 무용공연특성불안이 단일요인의 성격을 가진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다차원적 성질의 구조임을 밝힘으로써 공연불안에 대한 이론적 기초 제공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무대 위에서 공연을 하는 무용수들의 선천적인 공연 불안성향(무용공연특성 불안)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무용공연특성불안검사를 개발함으로써 공연을 준비하는 무용수의 지도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 마련
  • 색인어
  • 무용공연특성불안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