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75&local_id=10011387
지역스포츠 산업 개발을 위한 산,학,관 협력 모델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지역스포츠 산업 개발을 위한 산,학,관 협력 모델 개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전호문(국립목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3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스포츠산업에 지역개발의 효과적 매커니즘으로 평가되고 있는 산ㆍ학ㆍ관 협력 시스템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현장적인 전략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차 연구에서는 1차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 요인을 분석하고 또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을 실행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실행변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과 실천변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스포츠산업전문학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지의 내용타당성을 검증한 후 인터넷 설문조사와 직접방문 설문조사를 산업체 현장가, 스포츠산업전문학자, 지차체 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과 실행변인을 추출하는데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 요인은 결합성, 기반성, 전환성 그리고 보완성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산ㆍ학ㆍ관 협력의 참여주체인 산업체, 대학 그리고 지자체 등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결합성의 하부요인으로는 참여주체간 공통의 목표설정이었으며, 기반성의 주요요인으로는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전환성의 주요요인으로는 경쟁력 있는 스포츠산업으로의 신속한 전환 능력 그리고 보완성의 주요요인으로는 참여주체간 연계성 강화로 나타났다.
    둘째,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 요인에 대한 산업체, 대학 그리고 지자체의 인식도 차이는 모든 타당성 하부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스포츠산업전문가들의 산ㆍ학ㆍ관 협력모델 타당성 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 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보완성의 하부요인 중에서는 대학의 연구개발과 산업체의 협력강화, 참여주체의 효과적인 기능수행을 위한 상호보완 그리고 지역개발 초기 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등이 산ㆍ학ㆍ관 협력의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합성의 하부요인 중에는 참여주체간 공통의 목표설정 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의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환성의 하부요인 중에는 새로운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지역스포츠산업의 개발 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의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반성의 하부요인 중에는 효과적인 인적자원 활용 및 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물리적 인프라 구축 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의 실행요인에 대한 중요도는 목표, 자원, 관리, 서비스 그리고 조직 순으로 나타났다. 산ㆍ학ㆍ관 협력의 실행요인 중 목표의 주요변인으로는 참여주체간 목표에 대한 합의, 자원의 주요변인으로는 시설 등 물적 자원의 충분한 투자, 관리의 주요변인으로는 참여주체들에 대한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 서비스의 주요변인으로는 참여주체에 대한 재정적 서비스 제공 그리고 조직의 주요변인으로는 효과적인 실행조직체의 구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실행 요인에 대한 산업체, 대학 그리고 지자체의 인식도 차이는 대부분의 실행요인 하부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스포츠산업전문학자들의 산ㆍ학ㆍ관 협력모델 실천변수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실행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목표의 하부요인 중 산ㆍ학ㆍ관 협력주체들의 목적에 대한 상호교차인정, 지역경제 활성화의 공동목표 설정 그리고 공공의 이익과 개별이익의 동시 추구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직의 하부요인 중에는 산ㆍ학ㆍ관 협력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의 하부요인 중에는 참여주체에 대한 훈련 및 교육 서비스 제공 요인이었으며, 자원의 하부요인 중에는 지역 인적자원의 생산적 결집 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의 하부요인 중에는 상황변수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내부화 능력 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A Development Study on Cooperative Model among Industry, University and Government to Promote Regional Sport Industry
    Major Researcher: Ho-Mun Jun(Mokpo National University)
    On the basis of the cooperative model developed by the first year research,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such a developed IUG cooperation model before applied to the field of sport industry. In specific, i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validity variables and execution variables of the IUG cooperation model. An interview research was performed with sport industry or management academicians to derive meaningful variables in the model's validity and execution. Then, a stud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on the derived variable as well as on the previous research on an IUG cooperation model. Both in-person and internet survey methods were applied with practitioners, academicians and public officer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in this study. First, levels of importance in the IUG model's validity variabl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ean scores for validity variables were combination, foundation, conversion and complement in order. In specific, the most important sub variable of combination that was perceived by IUG constituents together was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objectives. The most important sub variable of foundation was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sport industry development(SID). The most important sub variable of conversion was the turnover capacity to competitive sport industry. Then, the most important sub variable of complement was the consolidation of associatedness among constituents. Second, levels of importance in the IUG model's execution variabl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ean scores for execution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objective, resource, management, service and organization. In specific, the major sub variable of objective was mutual agreement with objective. The major sub variable of resource was sufficient investment in physical resources. The major sub variable of management was exhibition of effective leadership. The major sub variable of service was furnishing financial service. And, the major sub variable of organization was the composition of effective execution agency. Third, each IUG constituent has different levels of recognition in all of the IUG cooperation model's validity variables. Especially, sport industry experts or academicians have the highest levels of importance in most validity variables. Fourth, each IUG constituent has different levels of recognition in most of the IUG cooperation model's execution variables. Sport industry academicians also have the highest levels of important in most execution variables. Fifth, a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complement variables on the effectiveness of sport industry development included strengthening associ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sectors, reciprocality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functionality, and local government's active roles at early stage of SID. Sixth, the significant objective variable on the effectiveness of sport industry development contained the reciprocal recognition of objective among constituents,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economy activation as objective and pursuit of both each constituent's individual objective and cooperative objective. The significant service variable on the effectiveness of sport industry development included the providing of training and education service for constituents. The significant resource variable included the productive association of regional experts. The significant management variable was the appropriate response strategy for environment factors. In conclusion, based on the previous important variables that were induced from analyses, an IUG cooperation model was revised for regional sport industry develop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스포츠산업에 지역개발의 효과적 매커니즘으로 평가되고 있는 산ㆍ학ㆍ관 협력 시스템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현장적인 전략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차 연구결과 스포츠산업분야에서 산ㆍ학ㆍ관 협력시스템은 실제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가 미흡하며 주로 과학기술분야에서 적용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을 스포츠산업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전 검증이 필수적 과제로 판단되었다. 이에 2차 연구에서는 1차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 요인을 분석하고 또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을 실행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실행변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과 실천변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스포츠산업전문학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지의 내용타당성을 검증한 후 인터넷 설문조사와 직접방문 설문조사를 산업체 현장가, 스포츠산업전문학자 그리고 지차체 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과 실행변인을 추출하는데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 요인은 결합성, 기반성, 전환성 그리고 보완성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산ㆍ학ㆍ관 협력의 참여주체인 산업체, 대학, 지자체 등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결합성의 하부요인으로는 참여 주체간 공통의 목표설정, 기반성은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전환성은 경쟁력 있는 스포츠산업으로의 신속한 전환 능력 그리고 보완성은 참여 주체간 연계성 강화로 나타났다.
    둘째,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 요인에 대한 산업체, 대학, 지자체의 인식도 차이는 모든 타당성 하부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스포츠산업전문가들의 산ㆍ학ㆍ관 협력모델 타당성 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 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보완성의 하부요인 중에서는 대학의 연구개발과 산업체의 협력강화, 참여주체의 효과적인 기능수행을 위한 상호보완 그리고 지역개발 초기 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등이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합성의 하부요인 중에는 참여주체간 공통의 목표설정 요인, 전환성의 하부요인 중에는 새로운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지역스포츠산업의 개발 요인, 기반성의 하부요인 중에는 효과적인 인적자원 활용 및 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물리적 인프라 구축 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의 실행요인에 대한 중요도는 목표, 자원, 관리, 서비스 그리고 조직 순으로 나타났다. 산ㆍ학ㆍ관 협력의 실행요인 중 목표의 주요변인으로는 참여주체간 목표에 대한 합의, 자원의 주요변인으로는 시설 등 물적 자원의 충분한 투자, 관리의 주요변인으로는 참여주체들에 대한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 서비스의 주요변인으로는 참여주체에 대한 재정적 서비스 제공 그리고 조직의 주요변인으로는 효과적인 실행조직체의 구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실행 요인에 대한 산업체, 대학, 지자체의 인식도 차이는 대부분의 실행요인 하부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스포츠산업전문학자들의 산ㆍ학ㆍ관 협력모델 실천변수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실행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목표의 하부요인 중 산ㆍ학ㆍ관 협력주체들의 목적에 대한 상호교차인정, 지역경제 활성화의 공동목표 설정 그리고 공공의 이익과 개별이익의 동시 추구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직의 하부요인 중에는 산ㆍ학ㆍ관 협력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의 하부요인 중에는 참여주체에 대한 훈련 및 교육 서비스 제공, 자원의 하부요인 중에는 지역 인적자원의 생산적 결집 요인, 관리의 하부요인 중에는 상황변수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내부화 능력 요인이 산ㆍ학ㆍ관 협력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산ㆍ학ㆍ관 협력의 주요 실행요인을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산업체, 대학 그리고 지자체의 스포츠산업을 통한 지역개발 사업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대학의 활용성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산업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대학의 역할을 산ㆍ학ㆍ관의 참여주체인 산업체와 지자체간의 상호보완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이 지역개발을 위해 담당해야할 구체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인식시켜 줌으로써 지역에서 대학의 기능을 확대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대학 또한 경쟁력이 있는 미래 산업을 개발하는데 교육과 연구 활동을 집중시킴으로써 대학의 특성화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학은 2차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지자체와 산업체가 효과적인 지역개발 시스템인 산ㆍ학ㆍ관 협력에 대한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충분히 인식하고 지역의 경제주체들이 지역개발이라는 현안을 상시적으로 논의하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지역의 지식네트워크 형성 및 보다 능동적인 학습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은 지속적으로 효과적인 산ㆍ학ㆍ관 협력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현장적 연구를 수행하고 그러한 지역개발 매커니즘이 실현될 수 있도록 지역 주민, 지자체 그리고 산업체가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이라는 비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산업체의 활용성
    지역의 스포츠산업체는 영세성과 협소한 시장 규모로 인하여 지역경제의 주체로서 지역개발의 역할을 담당해야한다는 인식이 충분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결국 지역의 스포츠산업체들은 그들이 운영하고 있는 스포츠시설이나 추진하는 스포츠사업을 통해 기업이윤을 추구하기 위한 수동적 기능만을 담당해 왔다. 따라서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은 지자체, 대학 그리고 산업체가 담당해야할 구체적인 역할을 규명해 줌으로서 앞으로 지역 스포츠산업체가 스포츠산업을 개발하고 경영하는데 필요한 기틀을 마련해 줄 것이다.
    지역의 스포츠산업체는 대학과 지자체와 보다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여 스포츠산업개발에 있어 산ㆍ학ㆍ관의 협조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체 또한 지역스포츠산업을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발생한 현장적 자료와 노하우를 대학이나 지자체와 공유함으로써 대학은 지역스포츠산업현장이 필요로하는 유능한 전문인력양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ㆍ학ㆍ관의 관계가 지속된다면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을 통한 지역개발 효과뿐 아니라 결국 기업의 이윤추구라는 스포츠산업체의 궁극적인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3) 지자체의 활용성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스포츠산업개발을 위한 산ㆍ학ㆍ관 협력의 필요성,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주요 타당성 그리고 산ㆍ학ㆍ관 협력모델의 주요 실행변수의 인식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의 지역스포츠산업개발이 지자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지역의 스포츠산업개발을 담당하는 기관 및 행정가들이 전문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지역스포츠산업개발 초기단계에 있어서 지자체는 기존의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스포츠인프라의 효과적인 활용뿐 아니라 핵심 스포츠산업 인프라 및 사회간접자본 구축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는 초기단계에서 필요한 스포츠산업 인프라 구축을 수익성 측면에서 접근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투자 측면 그리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보다 대안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자체가 지역스포츠산업을 효과적으로 개발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산ㆍ학ㆍ관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지자체가 수행해야할 여러 역할 중에서도 지역주민의 신뢰와 지역민의 지역스포츠산업개발에 대한 비전을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홍보 전략을 수행해야할 것이다.
  • 색인어
  • 지역스포츠산업, 산학관 협력, 모델개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