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80&local_id=10011530
17세기 出版 四書諺解의 綜合的 硏究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17세기 出版 四書諺解의 綜合的 硏究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옥영정(한국학중앙연구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0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7세기에 간행된 『論語諺解』, 『孟子諺解』, 『中庸諺解』, 『大學諺解』 등의 四書諺解에 대하여 그 현전본과 간행지역, 문헌의 형태서지적 특징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四書의 이본 번역문제, 한문의 언해 문제 및 원문에 나타나는 17세기 한국어의 특징 등에 대해서도 세밀하게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四書는 조선시대 유교의 기본경전으로 성리학의 도입 후 가장 널리 읽혀진 책이다. 四書의 諺解는『論語』,『孟子』,『中庸』, 大學』, 즉 사서에 한글 口訣을 달고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 1590년(선조 23) 頒賜되어 교정청에서 간행한 經書字本이 최초의 것이다. 그 후 이 사서언해는 1612년(광해군 4), 1631년(인조 9), 1637년(인조 15), 1693년(숙종 19), 1749년(영조 25) 등 여러 차례 간행이 이루어졌다. 四書의 성립과 그 전래, 간행과 유포, 언해 등에 대한 사실은 이미 선행된 연구에서 일찍이 밝힌 바 있고, 최근에는 『論語』와 『大學』의 판본에 대한 서지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1637년에 간행된 개인 간행판본에 대해서는 전혀 다루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이 자료들은 17세기 한국어 실태를 잘 반영하고 있는 국어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선행된 연구로는 그다지 많지 않은 듯하다. 물론 이 자료들에 대한 관심과 주목은 국어학계에서 먼저 시작되어 『孟子諺解』에 대한 국어학적 분석이 일부 이루어지고, 『孟子諺解』에 기입된 借字 略體 口訣에 대하여 언급된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지만, 이들 이본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지학의 전문 지식을 갖춘 연구자와 국어학의 전문 지식을 갖춘 연구자(국어사적 지식뿐 아니라 국어정보처리능력까지 갖춘)가 협동하여 17세기에 간행된 사서언해들이 가지는 출판문화사적 의미와 현존본, 간행지역, 내용과 체제 등의 서지학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17세기에 간행된 사서언해의 간행상황을 점검하고 당시에 간행된 여러 판본을 조사하여 판본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과 함께 판본의 선후문제 및 계통을 파악하는 서지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아울러 국어학적 관점에서 사서언해들의 표기법, 어휘, 번역양상, 한자음 고찰, 17세기 사서언해의 특징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사서언해를 (1) <맹자언해> 원문 이본병행, (2) 경전별 DB 구축, (3) 간행연도별 DB구축, (4) 17세기 四書諺解의 전체 색인이라는 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것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17세기에 간행된 사서언해들이 가지는 출판문화사적 의미와 현존본, 간행지역, 내용과 체제 등의 서지학적 연구와 아울러 국어학적 관점에서 사서언해들의 표기법, 어휘, 번역양상, 한자음 고찰, 17세기 사서언해의 특징 등이 보다 더 명확하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 자료들을 이본 병행하여 17세기 사서언해의 원문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서 서지학, 국어학 뿐 아니라 이 경전과 관련된 여러 학문과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previously published versions of the Mencius Annotation (孟子諺解) as described in the Annotation of Four Books (四書諺解), which include the Mencius Annotation (孟子諺解), 論語諺解, 孟子諺解, 中庸諺解, and大學諺解. The annotations are examined chronologically with respect to their orthography, vocabulary, translations, and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a general explanation of block booksis provided 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books are illustrated by examining several works that were published at the same time.
    While several books were published at once in the 17th century, Wonjongjabon and the MenciusAnnotations were published separately. The Book of Mencius (孟子諺解) was published as a block book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later as a metal print book, issued by KyoJungChung, a Joseon dynasty office that dealt with editing. These versions were actually reissues of the KyungSeojabon, which was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a single book was published in 1637 and many first publication books were issued in 1684). The metal printing book 戊申字was published using the metal printing types 甲寅字 and 元宗字本, which were based on the letter 元宗 (Injo’s father, the 16th king in the Joseon perio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of the Mencius Annotation (孟子諺解), as described in the 17thcentury Annotation of Four Books, will contribute to the existing body of knowledge concerning the publishing of cultural history books and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study examines previously published versions of the Mencius Annotation (孟子諺解) as described in the Annotation of Four Books (四書諺解), which include the Mencius Annotation (孟子諺解), 論語諺解, 孟子諺解, 中庸諺解, and大學諺解. The annotations are examined chronologically with respect to their orthography, vocabulary, translations, and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a general explanation of block booksis provided 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books are illustrated by examining several works that were published at the same time.
    While several books were published at once in the 17th century, Wonjongjabon and the MenciusAnnotations were published separately. The Book of Mencius (孟子諺解) was published as a block book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later as a metal print book, issued by KyoJungChung, a Joseon dynasty office that dealt with editing. These versions were actually reissues of the KyungSeojabon, which was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a single book was published in 1637 and many first publication books were issued in 1684). The metal printing book 戊申字was published using the metal printing types 甲寅字 and 元宗字本, which were based on the letter 元宗 (Injo’s father, the 16th king in the Joseon perio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of the Mencius Annotation (孟子諺解), as described in the 17thcentury Annotation of Four Books, will contribute to the existing body of knowledge concerning the publishing of cultural history books and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7세기 사서언해 간본의 종합적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우선 서지적 측면에서 17세기 사서언해판본의 계통을 확립할 수 있다. 이는 중앙간본 지방관아 간본 개인간본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의 확립은 아직까지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조선중기 출판문화의 변천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그 내용이 유교의 기본경전으로서 과거제도와도 연관성이 있는 四書임을 감안한다면 그 비중이 클 것으로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이 자료들은 17세기 한국어 실태를 잘 반영하고 있는 국어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선행된 연구로는 그다지 많지 않은 듯하다. 물론 이 자료들에 대한 관심과 주목은 국어학계에서 먼저 시작되어 『孟子諺解』에 대한 국어학적 분석이 일부 이루어지고, 『孟子諺解』에 기입된 借字 略體 口訣에 대하여 언급된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지만, 이들 이본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행해진다면 17세기에 간행된 사서언해들이 가지는 출판문화사적 의미와 현존본, 간행지역, 내용과 체제 등의 서지학적 연구와 아울러 국어학적 관점에서 사서언해들의 표기법, 어휘, 번역양상, 한자음 고찰, 17세기 사서언해의 특징 등이 보다 더 명확하게 밝혀질 것으로 확신하며, 이 자료들을 이본 병행하여 17세기 사서언해의 원문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면 서지학, 국어학 뿐 아니라 이 경전과 관련된 모든 학문과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데도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믿는다. 직접적으로 관련된 서지학과 국어학뿐만 아니라 문자론, 유경학, 한문학 등과 한국어의 음운론 연구와 형태론․문법론 연구, 번역학적 연구 등 국어학 전반에 걸친 연구에도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 또한 17세기 중세한국어의 일면을 밝히는 데 지대한 공을 함과 동시에 아직 초창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고문헌 자료 전산 처리에도 큰 전환점을 제시하게 될 것으로 본다. 원문 총색인 자료와 함께 자료집을 낼 계획이며, 그로 인한 파급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믿어진다. 뿐만 아니라 문헌 자료를 제시하는 동시에 자료 검색을 시행할 수 있도록 원문과 위의 총색인들은 DB를 구축하고 이를 CD롬으로 만들어 보급함과 동시에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시킨다면 모든 국민들의 정보화에 대한 인식 또한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 색인어
  • 論語諺解, 孟子諺解, 中庸諺解, 大學諺解, 四書諺解, 個人出版, 窮儒寒士本, 坊刻本, 書肆, 出版文化史, 서지학, 국어학, 국어사, 구결, 표기법, 어휘, 번역양상, 데이터베이스, 1590년, 1612년, 1631년, 1637년, 1693년, 간행경위, 형태적 특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