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81&local_id=10011629
어린이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어린이의 연령단게별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어린이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어린이의 연령단게별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곽철완(강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0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자는 어린이이지만, 대부분의 어린이는 부모와 동반하여 도서관을 이용한다. 어린이 부모는 어린이와 함께 도서관에 와서 어린이에게 책을 읽어주거나 독서방법을 가르쳐주기도 한다. 그러므로 어린이의 도서관 이용은 부모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들어와 여러 지역에서 어린이 도서관이 개관되었고 건립이 진행 중에 있으며, 공공도서관에서도 어린이 열람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어린이와 부모가 효과적으로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서관 관리자의 입장에서도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까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어린이와 동반한 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어린이 도서관 이용 행태와 도서관 공간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여, 도서관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며, 어린이의 연령단계별 공간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공간 및 가구배치의 특성에 비추어 분석하여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는 전국의 공가형태가 다른 4곳의 공공도서관 어린이 자료실을 대상으로 토요일 혹은 일요일에 실시되었다. 주말을 선택한 이유는 어린이 도서관과 열람실 이용이 주말에 가장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데 있었다. 조사방법으로 어린이실의 이용자전체를 대상으로 체류자점유조사(behavior mapping), 행동추적관찰조사(tracking studies), 설문조사의 3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 도서관은 주로 2명의 자녀와 함께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도서관에 머무는 시간은 보통 1시간에서 2시간이었다. 도서관을 주로 걸어서 방문하거나 자가용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걸어서 도서관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자가용을 이용하여 도서관을 방문하는 사람보다 도서관에 짧게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 도서관의 서가는 다양한 형태와 높이로 구성되어야 하며, 영역별 및 연령별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는 미취학어린이, 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이 도서관 이용에 있어서 다른 행태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들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어린이 도서관에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에 대해서 무엇이 어린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가를 고려해야 한다. 부모의 관점과 어린이의 관점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는 매우 흥미롭다고 생각하지만, 부모가 생각할 때, 교육적 효과가 없다고 생각 할 수 있다. 넷째, 어린이 도서관은 어린이가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다섯째, 어린이 도서관은 정서적으로 안정된 공간이 필요하며, 연령별로 구별되어야 한다. 어린이의 독서 행동은 읽는 자료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문학류와 같은 자료 인근에는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여섯째, 공간이동이 용이한 형태로 내부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어린이들이 도서관에 들어와서 원하는 자료를 서가에서 찾거나 혹은 검색하거나 읽을 수 있도록 적절한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간계획 측면에서 첫째, 도서관의 입지조건과 주 이용자 속성이 어린이실의 면적규모를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둘째, 어린이실이 어린이 이외의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를 함께 수용해야 하고 공간의 규모 및 가구의 인체공학적 설계에 있어서도 이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가 요구되고 있다. 셋째, 어린이는 연령단계별로 서로 다른 행동패턴을 나타내어, 미취학아동은 가족의 거점장소를 중심으로 서가 및 다른 공간 간에 왕복 존(Zone)구성형은 도서의 종류를 어린이의 연령단계별로 나누고 서가주변에 적절한 수의 독서석을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이용행위에 대응하여 각 영역별로 다양한 독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읽을 수 있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ed of children's library use and management through investigating the use patterns and recognition of children's parents on children's libraries, and to obtain the knowledge for spatial planning of children's library which serves various users. Questionnaire, behavior mapping, and tracking observer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arents who entered library entrance with their child and children on four public libraries. Six factors were identified from four public libraries setting. There were the spatial planning based upon library use patterns, the flexibility and mobile furnishings, the activity area for causing children's interesting, the guarantee of safety place for children, the quiet area for emotional stability, and functional place for moving around. Also, for library spatial planning, fiv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irst, children area was influenced by library location and user's characteristics. Second, children area was used various aged group with children. Third, there were different use patterns based upon age. Fourth, various reading space was needed through areas. And, last the behavi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ea and furnishings were describ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크게 2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다. 첫째는 어린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동반한 부모들이 가지는 어린이 도서관 이용행태와 어린이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어린이 도서관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둘째는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를 서비스대상으로 하는 어린이도서관 및 어린이실의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법과 행동관찰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공간구성의 특성에 비추어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는 전국의 서로 다른 공간유형을 갖는 4곳의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열람실 및 어린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자녀와 동반한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4개 도서관별로 차이가 나는 요인들 6가지가 나타났다. 파악된 주요 요인들은 주민의 도서관 이용행태에 따른 공간계획 필요, 연령별 및 영역별 서가 형태 및 높이의 다양화, 어린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공간 설치, 어린이의 도서관 활동의 안전성 확보, 어린이에게 정서적으로 안정된 공간 필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서관 내부는 공간 이동이 용이한 형태이었다.
    그리고, 공간계획에 관한 조사 결과를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도서관의 입지 조건과 이용자 속성이 어린이 면적 규모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실에 어린이 외의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고 있었다. 셋째, 어린이는 연령단계별로 서로 다른 행동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각 영역별로 다양한 독서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가족, 형제 및 친구에 의한 그룹이용, 단독이용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체류장소에 있어서 주로 보이는 행위의 내용과 공간 및 가구의 특성을 공간계획을 위한 키워드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요인별로 구분하면, 첫째, 어린이 도서관은 주로 2명의 자녀와 함께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도서관에 머무는 시간은 보통 1시간에서 2시간이었다. 도서관을 주로 걸어서 방문하거나 자가용을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걸어서 도서관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자가용을 이용하여 도서관을 방문하는 사람보다 도서관에 짧게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 도서관의 서가는 다양한 형태와 높이로 구성되어야 하며, 영역별 및 연령별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셋째, 어린이 도서관에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에 대해서 무엇이 어린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가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어린이 도서관은 어린이가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가장 좋은 공간 구성은 사서가 항상 어린이의 활동을 보호하고 관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다섯째, 어린이 도서관은 정서적으로 안정된 공간이 필요하며, 연령별로 구별되어야 한다. 여섯째, 공간이동이 용이한 형태로 내부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실에 있어서 어린이 및 동반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용자행동조사로부터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실에 있어서 시각별 체류자수의 분포 및 집중시의 면적밀도가 관별로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정황으로부터 도서관의 입지조건과 주 이용자 속성이 어린이실의 면적규모를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휴일의 경우, 평균 보호자 1명당 어린이 2명의 비율로 방문하는 가족동반이용실태를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곧 어린이실이 어린이 이외의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를 함께 수용해야 하고 공간의 규모 및 가구의 인체공학적 설계에 있어서도 이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가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어린이는 연령단계별로 서로 다른 행동패턴을 나타내어, 미취학아동은 가족의 거점장소를 중심으로 서가 및 다른 공간 간에 왕복이동을 빈번하게 행하는 반면, 저학년 및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서가→독서석→서비스데스크의 일련의 행동에 순차적인 질서가 생기기 시작하는 경향을 읽을 수 있었다. 이러한 행동패턴은, 입구-독서석-서가로 구성된 본 조사대상 공간의 특성에 비추어 고려해 볼 때 공간이용의 편의는 물론 입구와 독서스페이스에 혼잡함을 초래하여 실 전체의 분위기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넷째, 공간구성에 있어서 병렬형은 어린이의 연령단계별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용행위들이 하나의 독서스페이스에 섞이게 되므로 혼잡함이나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주 동선과 맞물려 실전체의 면적밀도를 일시적으로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반면, 존(Zone)구성형은 도서의 종류를 어린이의 연령단계별로 나누고 서가주변에 적절한 수의 독서석을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이용행위에 대응하여 각 영역별로 다양한 독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읽을 수 있었다. 이 때, 안정된 독서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부산의 아동실과 같이 입구-그림책 코너-아동서 코너의 순서로 영역을 배치하여 미취학아동의 빈번한 이동행위와 고학년의 장시간 체류에 의한 독서행위에 각각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가족, 형제 및 친구에 의한 그룹이용, 단독이용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체류장소에 있어서 주로 보이는 행위의 내용과 공간 및 가구의 특성을 공간계획을 위한 키워드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구성을 계획할 때 자관의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서관 이용의 주목적이 도서관 자료의 이용이라면 서가의 자료 배치에 대한 심각한 고려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도서관에서는 분류기호 순으로 일렬배열을 원칙으로 삼고 있기는 하나, 이는 관리적인 측면에서 이용 측면에서나 그리 효과적인 것 같지는 않다. 이용에 효과적이며 관리에 효율적인 서가의 배치와 서가에서 자료의 배열에 대해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도서관의 입지조건, 이용자수의 분포, 이용자속성 및 최대 집중밀도, 어린이의 연령단계별 이용행동 및 동반가족 체류장소의 분포 등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요인이 어린이실의 공간계획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공공도서관이 각 지역에 따라 서비스 및 건축에 있어서 독자적인 형태를 가져야 한다는 당위성에 기본을 둔 내용으로 이용자중심의 도서관 공간구성을 위해서는 향후 건축계획적인 데이터 확보를 위한 사례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어린이 도서관, 도서관 공간계획, 도서관 이용행태, 도서관 공간 인식, 어린이 공간, 공간계획, 이용실태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