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83&local_id=10012129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여성안보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여성안보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심영희(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1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글로벌라이제이션 환경과 이에 따른 변화 속에서 여성안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70년대 중반 이후 가속화되고 있는 글로벌라이제이션 현상이 "국가안보"(national security)와 그에 기반을 둔 국제질서의 유지ㆍ강화라는 배경 속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민족국가 중심주의는 가부장적 국가의 재생산과 맞물려 있다. 최근의 인간안보, 공동안보, 환경안보 등의 새로운 개념들은 세계화의 이상과 현실간의 명백한 괴리를 보여주는 데는 성공했지만,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따라서 남성주의적 담론에 의해 주도되었던 국가중심의 평화/안보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따른 재구조화 논의에서 여성의 안보가 비가시화되고 재생산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 나아가 여성주의적 안보 개념을 구성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따른 사회구조 전반의 재구조화 과정에서 여성이 직면한 비안보 상황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가능한 여성안보 모델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성안보 개념구축을 위한 시론"에서는 여성안보 개념 구축을 위하여 변화하는 세계정세 속에서 여성안보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논지아래 여성안보의 필요성 및 기존의 안보개념의 문제와 한계, 여성안보의 대안적 개념, 여성안보 개념을 현실화하기 위한 방법 등에 대한 질문과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려 했다. 이런 맥락에서 국가안보, 공동안보, 인간안보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여성안보의 영역, 관점과 개념을 대안으로 제시하려 했다. 여성안보의 개념은 군사적인건, 경제적이건, 성적이건 상관없이 폭력이 없는 상태로 정의되며, 여성안보의 영역은 평화구축, 인간개발, 인권, 기존 안보개념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한 젠더링 등이 포괄되는 것으로서 인간안보를 젠더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안보의 비전과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글로벌라이제이션하의 군사주의와 여성안보"에서는 글로벌 환경에서의 군사주의와 여성안보와의 관계를 기술하였다. 글로발리제이션이 경제적인 측면 뿐 아니라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가속화되고 있으며, 여성안보의 측면에서 이러한 글로발리제이션 하의 군사화는 여성안보에 치명적임을 밝힌다. 특히 막강한 자본력과 세계금융기구의 지배자로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의 군사주의의 내용과 그리고 그것이 전세계적으로 여성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해 살피고 있는데, 현재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를 전제로 전 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글로발리제이션은 흔히 금융의 세계화, 즉 경제적인 세계화로 이해되고 있지만 여전히 크고 작은 전쟁에서 군사적인 규정력이 절대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에 바탕해서 군사적인 측면에서의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여성정치를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에서는는 글로벌라이제이션 환경에서의 여성정치적 대안을 위하여 글로벌 거버넌스를 제시한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대한 대안적 설계는 경제의 세계화를 제어하는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요구로 집약된다. 자유주의적 의회민주주의 그리고 사적이고 공적인 공간에서 시민의 문제를 공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시민권 등이 지금까지는 국민국가의 틀 안에 제한되었다. 이에 대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한 행위자’ 로서 시민들에게 광범위한 ‘사회적 소통’과 능동적 참여가 요구될 때, 세계화는 공공의 이해 또는 공동체와 어떠한 관계에 놓여있는지, 그리고 시민들이 세계화의 조건 아래서 어떤 방식으로 행동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문제들이 제기될 수 있다. 글로벌거버넌스에 대한 담론은 기본적으로 세계화 과정에서 지속가능한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대안적 재구성은 민주주의를 새롭게 재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는 젠더 민주주의를 지향하며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세계화를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 영문
  •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 concept of "women's security" in the changing context of globalization. IIt is consisted of three part.

    The first part "Toward a concept of women secueity" is aimed to argue that a concept of human security, particularly, women security is needed in the changing global situation. In order to do that the author tried to raise and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First, why is a concept of women security needed More specifically, what are the problems of existing concepts of security Second, How does an alternative concept of women security look like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ird, what kinds of tasks are needed to realize the proposed concept of women security

    In this context the author critically examined the concepts of national security, common security, and human security and tried to formulate the fields, approach, and a reconstructed concept of women security as an alternative. Summing up, an feminist concept of women security is defined as a state of non-existence of neither military, nor economic, nor sexual violence, and the fields of women security comprises peace-building, human development, human rights,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existing concepts of security. In a word, it can be described as a gendering of human security.

    As a conclusion the author suggested a few tasks in order to realize this feminist vision of women security, which include global governance and activization of women's peace movements.

    The second part "Militarism and women secirity:: IIts MMeaning and effoects of UUs military globalization" has discussed the globalization's meaning and effects in the context of women security, taking the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connected with militarism which is critical to women security in global level.

    The third part ""Globalization and global governance for women's politics" is aimed to suggest alternative global governance concentrating women's security. It seeks an potential for exchange of interests and various coalition, furthermore, stresses the importance on regional politics within the space of action on the milti-oevel politics. SSimultaneously it accents norms and alim for solving the global problems. MMost important assumptions for aternative global governanace are the empowerment of the women and the ognition that privete is the potical. OOn this cognition the feminist international politcs find the nexux between the international and the private. IIn order to extablish feminist global governanace, engendering global politics should be necessary, while participating actively in the discussion on the civil rights and criticizing reigning hegamon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글로벌라이제이션 환경과 이에 따른 변화 속에서 여성안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70년대 중반 이후 가속화되고 있는 글로벌라이제이션 현상이 "국가안보"(national security)와 그에 기반을 둔 국제질서의 유지ㆍ강화라는 배경 속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민족국가 중심주의는 가부장적 국가의 재생산과 맞물려 있다. 최근의 인간안보, 공동안보, 환경안보 등의 새로운 개념들은 세계화의 이상과 현실간의 명백한 괴리를 보여주는 데는 성공했지만,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따라서 남성주의적 담론에 의해 주도되었던 국가중심의 평화/안보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따른 재구조화 논의에서 여성의 안보가 비가시화되고 재생산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 나아가 여성주의적 안보 개념을 구성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따른 사회구조 전반의 재구조화 과정에서 여성이 직면한 비안보 상황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가능한 여성안보 모델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성안보 개념구축을 위한 시론"에서는 여성안보 개념 구축을 위하여 변화하는 세계정세 속에서 여성안보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논지아래 여성안보의 필요성 및 기존의 안보개념의 문제와 한계, 여성안보의 대안적 개념, 여성안보 개념을 현실화하기 위한 방법 등에 대한 질문과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려 했다. 이런 맥락에서 국가안보, 공동안보, 인간안보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여성안보의 영역, 관점과 개념을 대안으로 제시하려 했다. 여성안보의 개념은 군사적인건, 경제적이건, 성적이건 상관없이 폭력이 없는 상태로 정의되며, 여성안보의 영역은 평화구축, 인간개발, 인권, 기존 안보개념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한 젠더링 등이 포괄되는 것으로서 인간안보를 젠더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안보의 비전과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글로벌라이제이션하의 군사주의와 여성안보"에서는 글로벌 환경에서의 군사주의와 여성안보와의 관계를 기술하였다. 글로발리제이션이 경제적인 측면 뿐 아니라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가속화되고 있으며, 여성안보의 측면에서 이러한 글로발리제이션 하의 군사화는 여성안보에 치명적임을 밝힌다. 특히 막강한 자본력과 세계금융기구의 지배자로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의 군사주의의 내용과 그리고 그것이 전세계적으로 여성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해 살피고 있는데, 현재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를 전제로 전 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글로발리제이션은 흔히 금융의 세계화, 즉 경제적인 세계화로 이해되고 있지만 여전히 크고 작은 전쟁에서 군사적인 규정력이 절대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에 바탕해서 군사적인 측면에서의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여성정치를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에서는는 글로벌라이제이션 환경에서의 여성정치적 대안을 위하여 글로벌 거버넌스를 제시한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대한 대안적 설계는 경제의 세계화를 제어하는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요구로 집약된다. 자유주의적 의회민주주의 그리고 사적이고 공적인 공간에서 시민의 문제를 공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시민권 등이 지금까지는 국민국가의 틀 안에 제한되었다. 이에 대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한 행위자’ 로서 시민들에게 광범위한 ‘사회적 소통’과 능동적 참여가 요구될 때, 세계화는 공공의 이해 또는 공동체와 어떠한 관계에 놓여있는지, 그리고 시민들이 세계화의 조건 아래서 어떤 방식으로 행동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문제들이 제기될 수 있다. 글로벌거버넌스에 대한 담론은 기본적으로 세계화 과정에서 지속가능한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대안적 재구성은 민주주의를 새롭게 재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는 젠더 민주주의를 지향하며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세계화를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색인어: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문적 기여
    1. 본 연구는 기존 여성주의시각에서 아직까지 미지의 영역으로 남겨진 여성안보를 국제관계학적 시각에서 검토하는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안보에 대한 국내 여성주의 이론의 내용과 형식을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2. 나아가서 본 연구를 통해서 안보에 대한 성인지적인 정책들을 입안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이론적 기반과 틀을 제시하고 실현하는데 기여한다.
    3. 본 연구에 의해서 개발될 "여성안보"에 대한 개념과 모델을 여성 관련 연구소와 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하게 한다.
    4. 연구결과의 발표를 통한 관련연구자와의 학술교류
    연구 수행자들은 연구결과를 다양한 소주제로 소논문화하여 발표하고, 관련 전문학자들에게 비평을 의뢰함으로써 연구결과의 발전을 꾀한다. 또한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동일한 주제의 미국/유럽/동아시아지역의 전문가들과 학술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5. 단행본 출판
    연구결과 및 관련자료들을 단행본으로 출판하여 관련 학자들 뿐 아니라 관심있는 일반 대중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현실적ㆍ사회적 기여
    1. 국가안보에 대한 포괄적인 대안개념으로서 "여성안보"개념은 여성뿐만이 아닌 사회적 약자에 대한 불평등을 지양하고 양성평등을 지양하는 글로벌라이제이션의 조건 속에서 여성안보의 실현은 이제 국내적 차원을 뛰어넘어 국제적 연대에 기초하여야한다. 본 연구는 여성안보의 보장 및 실현을 위한 여성정책의 글로벌 거버넌스를 강조함으로써 여성운동의 실천적 모색에 기여한다. 미의 인간안보를 추구함으로써 사회평화운동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2. 또한 본 연구는 변화된 국제질서 속에서 여성정책의 주류화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여성의 지위향상과 권익증진의 효과를 기대한다. 대안적 안보개념을 한국사회가 수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한다. 특히 본 연구가 수행하는 "여성안보" 개념은 남성중심의 지배권력구조 안에서 보다 구체화된 힘을 얻게 되며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여성정책수립의 물질적 근거로 작용할 수 있게 하며, 여성정책의 주류화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인간안보, 여성안보, 군사주의, 글로벌 거버넌스, 국가안보, 공동안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