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84&local_id=10012546
편측공간무시에서의 intention 장애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편측공간무시에서의 intention 장애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나덕렬(성균관대학교& #40;자연과학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H0002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편측 공간 무시 (hemispatial Neglect)현상은 뇌 병변의 반대측 공간에 의미 있는 자극을 제시했을 때 이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반응을 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감각장애나 운동장애 때문이 아니다. 편측공간무시는 좌반구 손상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반구 손상시 훨씬 더 심하고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측공간무시의 기전으로는 편측 공간 무시현상의 기전을 설명하는 이론은 크게 두 주의결함과 의지결함의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런데 지금까지 주의결함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운동 무시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정량화방식도 없고 운동의지의 장애가 실제로 어떻게 편측공간무시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험도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는 운동의지를 정량화하고 이 운동의지가 편측공간무시와 어떤 상관을 갖는지를 밝히려는 목적하에 수행되었다. 연구개발과제 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성과를 얻었다. 첫째, 운동의지장애를 평가하는 정량적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환자에게 수행하여 환자의 운동의지장애를 세부적으로 진단하기에 유용하다는 것을 밝히고 이에 대하여 인간공학회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둘째, 실제 신경학적 손상이 있는 환자에게 이 시스템을 도입하여 환자의 운동의지장애를 세부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결과에 대해서 SCI 저널에 논문을 제출하여 심사중이다. 셋째, 본 연구개발과제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우반구 뇌졸중 환자와 특히 편측공간무시환자에서 운동의지장애를 평가하였다. 또한 운동의지장애와 기존에 사용하던 주의결함을 초점으로 검사한 검사와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자료를 모으고 있는 중으로 추후 SCI 저널에 논문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개발과제는 지금까지 덜 연구되었던 운동의지장애를 체계적으로 정량화하고 평가하는 시스템을 처음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다양한 운동의지장애를 정의하고 운동의지 장애정도가 지필검사에서 나타난 무시점수와 어느 정도의 상관을 가지는지를 조사하여 운동의지장애가 편측공간무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였다.
  • 영문
  • Hemispatial neglect refers to a patient’s failure to report or respond to stimuli presented in a space contralateral to the lesion. Hemispatial neglect is known to be more frequent and more severe after right than left hemisphere injury.
    The theory on mechanism of hemispatial neglect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which are attentional deficits and intentional disorders. Whereas most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attention deficit, only few studies involved in motor intentional neglect. In addition, it has not been elucidated how motor intentional disorder affects the hemispatial neglect. Therefore, this project was to quantify the motor intentional disorder and to see if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motor intentional disorder and hemispatial neglect severity. The primary outcomes of this project for the past one year are as follows.
    First, we succeeded in devising a system that can quantitatively assess the motor intentional disorde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is system proved to be effective on the patients and we have published a paper in a journal. Second, we used this system to evaluate motor intentional disorders of patients with actual neurological deficits. We wrote a paper from this which has been submitted to an SCI journal and now is being reviewed. Third, we completed a pilot study in which we used the device mentioned above to assess the motor intentional disorder of the right hemisphere damaged patients, especially those with neglect. Furthermore, we attempt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the motor intentional disorder and conventional neglect tests. We will continue collecting more data on this subject so as to be able to publish in one of the SCI journals in the future.
    This project is among the first efforts to establish a systematic assessment method for intentional motor disorders and could be a groundwork in this field of study. This system would enable us to quantitatively define various intentional motor disorders, and therefore, would allow us to investigate if motor intentional disorders measure by our device would correlate with the neglect scores assess by the conventional neglect test and how much motor intentional disorder contributes to the hemispatial negle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편측 공간 무시 (hemispatial Neglect)현상은 뇌 병변의 반대측 공간에 의미 있는 자극을 제시했을 때 이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반응을 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감각장애나 운동장애 때문이 아니다. 편측공간무시는 좌반구 손상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반구 손상시 훨씬 더 심하고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측공간무시의 기전으로는 편측 공간 무시현상의 기전을 설명하는 이론은 크게 두 주의결함과 의지결함의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런데 지금까지 주의결함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운동 무시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정량화방식도 없고 운동의지의 장애가 실제로 어떻게 편측공간무시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험도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는 운동의지를 정량화하고 이 운동의지가 편측공간무시와 어떤 상관을 갖는지를 밝히려는 목적하에 수행되었다. 연구개발과제 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성과를 얻었다. 첫째, 운동의지장애를 평가하는 정량적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환자에게 수행하여 환자의 운동의지장애를 세부적으로 진단하기에 유용하다는 것을 밝히고 이에 대하여 인간공학회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둘째, 실제 신경학적 손상이 있는 환자에게 이 시스템을 도입하여 환자의 운동의지장애를 세부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결과에 대해서 SCI 저널에 논문을 제출하여 심사중이다. 셋째, 본 연구개발과제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우반구 뇌졸중 환자와 특히 편측공간무시환자에서 운동의지장애를 평가하였다. 또한 운동의지장애와 기존에 사용하던 주의결함을 초점으로 검사한 검사와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자료를 모으고 있는 중으로 추후 SCI 저널에 논문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개발과제는 지금까지 덜 연구되었던 운동의지장애를 체계적으로 정량화하고 평가하는 시스템을 처음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다양한 운동의지장애를 정의하고 운동의지 장애정도가 지필검사에서 나타난 무시점수와 어느 정도의 상관을 가지는지를 조사하여 운동의지장애가 편측공간무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개발과제에서는 새로운 운동의지장애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개발된 시스템을 우반구 손상환자와 뇌교량 손상환자에서 이 시스템을 적용하여 운동의지장애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시스템 개발 내용에 대하여 논문을 제출하였으며, 뇌교량 손상환자에서 이 시스템을 도입하고 자세하게 운동의지장애에 대해 평가한 내용을 SCI 저널에 제출하여 심사중이다. 또한 우반구 손상환자에 대해서 계속적으로 자료를 모으고 있다. 추후 편측공간무시환자에서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한 내용도 SCI 저널에 제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운동의지장애 평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왼쪽공간에 대한 자극을 무시하는 이유는 1)지각을 못하여서(감각 무시), 또는 2)지각은 하나 왼쪽 자극에 대한 반응을 하려는 의지가 없어서(운동무시)이다. 기존의 논문에 의하면 우반구 손상 후 감각무시와 운동무시가 비슷한 빈도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존의 논문들은 감각무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왜냐하면 기존의 많은 검사도구들이 감각무시에 대한 정량화를 제작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운동무시에 대한 정량화하는 도구는 드물다.
    본 연구개발과제는 운동무시를 정량화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이며 이는 세계의 운동무시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운동무시를 이해하게 되고 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운동무시에 치료방법을 개발하는 기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이 방법에 대하여 계속 확보하여 실제 진단도구로 사용할 것이다.
  • 색인어
  • 편측공간무시, 운동의지장애, 정량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