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396&local_id=10011758
외현적 대용사와 내현적 대용사의 해석에 대한 통합적 접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외현적 대용사와 내현적 대용사의 해석에 대한 통합적 접근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수연(세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8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어의 외현적 대용사와 내현적 대용사의 분포를 조사하고, 이들의 해석에 적용되는 제약조건을 연구함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 해 먼저 본 연구는 한국의 외현적 대용사인 자기의 분포와 해석 특징을 연구하고 이를 본 연구에서 내현적 대용사라고 주장하는 PRO에 확대 적용시켰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한국어의 수량사의 분포와 해석에서 찾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용사적 표현은 잠재적 선행사가 존재할 경우에는 반드시 그 잠재적 선행사와 의미관계를맺는다"는Prominence Principle (현저성 원칙)을 제안하여 이 원칙이 외현적 대용사와 내현적 대용사에 공통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했다. 이 때 잠재적 선행사는 언어별로 달라지고, 또 대용사가 외현적인지 내현적인지에 따라 달리 정의, 적용되었다. 한국어의 경우 외현적 대용사의 잠재적 선행사는 더 현저한 3인칭 명사이고, 영어의 경우 더 현저한 공동논항이된다. 한국어의 수량양화사가 나타나는 부가소절이 주어자리에 나타난다고 주장되어지는 ,내현적 대용사의 경우 격조사 불일치를 유도하지 않은 가산명사가 잠재 선행사가 된다. 현저성 원리의 활용에 대해 문법의 경제성에 문제가 된다고 할 수도 있으나 현저성 원리는 한국어 대용사 해석의 선행사 선호도 순위결정에 이미 필요하다고 주장된 원리로, 모국어 화자가 갖는 선호도의 순위역시 인간 언어의 중요한 부분이고, 이를 위해 어차피 이 원리가 필요하다면, 이를 대용사의 분포나 일반 해석에 적용시키는 것은 결코 문법에 새로운 부담을 주는 것이 아님을 본 연구는 주장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언제 대용사가 비국지적 대용사 (LDA)로 혹은 logophor로 해석처리 되는지를 그 기준을 정의하고 이와 유사한 분포를 보이는 수량양화사의 분포자료를 바탕으로 그 제안된 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기존 비국지적 대용사에 대한 이동적 접근과 PRO의 분포와 해석에 대한 이동적 접근에 대한 주장들을 연구, 비판했고 이런 주장들은 대용사의 다양한 분포를 설명하기에는 너무 제한적임을 주장했다. 좁은 의미의 통사론 틀 안에서만 대용사의 해석과 분포를 설명하려 할 경우 실제 언어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대용사의 해석현상을설명할 수 없게 됨을 구체적 자료를 통해 밝혔고, 대용사의 해석에 대한 통사규칙은 최소화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예측되는 overgeneralization은 문맥과 화용을 고려한 문법의 다른 부분에서 제거되어야함을 밝혔다.
    본 연구의 다양한 연구 대상을 이어주는 실마리는, 수량양화사의 해석에 내현적 대용사가 관계되어 있고, 이 내현적 대용사가 외현적 대용사와 같은 해석형태를 보인다는데서 찾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성분통어, 근거리 조건등 통사적 조건들을 만족시키며 외현적 혹은 내현적 이동을 통한 도출 유형(이하 이동유형)과 이동유형의 대상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구조적 조건들을 만족시키지 않아도 되는 유형(이하 비이동 유형)이 외현적 대용사, 내현적 대용사, 양화사에서 모두 다 관찰되는데 이들의 체계적 유사성이 단순한 우연이 아님을 밝히고 이들을 "대용사"라는 하나의 범주로 묶어 설명함과 동시에 이들의 해석을 지배하는 상위 원리를 "현저성 체계"를 바탕으로 제안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성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경제성"을 목표로 한 통사적 도출에 중심을 둔 대용사의 제 이론이 간과하는 다양한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여 Chomsky (1981; 78-79)에서 이미 언급된 주장 즉, "대용사에 대한 이론은 문장 구조적 조건, 동사별 고유 특성, 다른 의미론적, 화용론적 상황에 다 중요하게 연관되어야 함"을 재확인 시키고 통사적 제약이 약화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나아가 대용사의 종류 분류, 유동 수량사의 분석, PRO의 분류를 통하여, 소위 이 셋을 대용사라고 하는 큰 범주로 일반화 시킴으로써 오히려 문법의 단순화, 경제화라는 언어학 연구의 기본적 목표에 상응하여 제 이론 발전에 일익을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 대용사, 양화사, PRO에 대한 각 언어별 비교연구를 통해 최근 통사이론의 여러 주장에 대한 경험적 증거 혹은 반론을 제시하여, 통사이론 발전에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대용사의 정확한 분류를 도울 뿐만 아니라, 기존의 대용사 연구에 비해 그 범위가 한층 확대되어, PRO와 양화사 구문의 연구에도 적용이 되는 앞으로 좀 더 일반화된 원칙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연구범위 확대는 명사의 의미 의존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본 연구에서 다루고 제시되는 자료는 기존 국외이론들의 경험적 평가자료로서도 그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first provides criteria to predict when anaphors behave like so-called long distance anaphors or logophors. Later, it shows that, based on empirical sets of data of numeral quantifiers that exhibit similar interpretation patterns with overt anaphors in Korean, the criteria also apply to explain differences between so-called an obligatory control PRO and non obligatory control PRO. In doing so, we present arguments against movement approaches to the anaphoric expressions: LF-movement approaches to long distance anaphors (Lebeaux 1983; Pica 1987; Cole, Hermon, and Sung 1990;1993; Cole and Sung 1994; Cole and Wang 1996; Hestvik 1990;1992 among others) and NP-movement approaches to PRO (Hornstein 1999; 2001, Boecks and Hornstein 2003). According to the movement analysis, covert / overt anaphors undergo covert / overt movement to an appropriate position either near their antecedents or to its surface antecedent position respectively. We provide empirical data showing such theories can be sustained only for a restricted subset of data. The data in this study reveals the necessity of relying on other areas of grammar for the interpretations of anaphoric expressions to capture the generalizations in a manner impossible for a syntactic account.
    The main thread of this study is from linking the interpretation of Numeral quantifiers to that of anaphors. We assume Numeral quantifiers appear in the predicate position of the small clause with a PRO subject. This line of argument started from the observation of data where Numeral quantifiers and their modifying DPs do not show local binding relation. After studying semantic restrictions on small clause predicates in general, we discovered that Numeral quantifiers in Korean followed those restrictions. As a result, the relation between the NQ and the DP was captured as a control rel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PRO is anaphoric. Crucially we show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 of PRO in the subject position of Numeral quantifier small clauses is strikingly identical to the overt anaphor caki in Korean, revealing a way to extend the Prominence principle for anaphors to Numeral quantifiers. This study buys an argument in Bouchard (1984; 1985) and Hornstein (1999, 2001): Traditionally defined PROs are of two different kinds. One is with a [+anaphoric, -pronominal] feature and the other with a [-anaphoric, +pronominal] feature. Anaphoric PROs show similar distribution patterns to those of anaphors. However, this study seeks for a solution to complication lurking beneath this sort of similarity in their distribution not from a syntactic approach as a movement analysis of Hornstein (1999, 2001) does but from the proposal that they are subject to the same kind of interpretation rule, the Prominence Principle for anaphors. It again shows that distributional patterns and interpretation of Numeral quantifier constructions are best accounted for when we investigate them as a phenomenon constrained not only by syntactic conditions but also by other discourse rules. The acceptability of Numeral quantifier sentences is not clear-cut, but exists in different degrees.
    Finally, this study provides pragmatic conditions after pinpointing an apparent overgeneralization problem that we can have by abandoning syntactic constraints on distributions of anaphoric expression over the Prominence principle for anaphors: They include (i) cases where overt anaphors cannot refer to a more prominent antecedent than itself because of the presence of an intervening expression. (ii) the contrast in the acceptability status between patterns with a non-Case marked Numeral quantifiers and those with a Case marked Numeral quantifiers, especially when the Numeral quantifier is separated from its host DP with an argument in between.; (iii) differences in the acceptability status that are caused by the presence of an delimiter after the Numeral quantifi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It examines the distribu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so-called anaphoric expressions and proposes a unified formulation of the two modules, Binding Principle A and Control theory. The study starts by discussing properties of an overt anaphor in Korean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of a covert anaphoric expression PRO. Its empirical support for the covert anaphor in Korean is from distribution of Numeral quantifiers, which is claimed to be located in a predicate position of a small clause with a PRO subject. In doing so, we propose the Prominence Principle for Anaphors that governs interpretations of both covert anaphoric expressions and overt anaphoric expressions: Anaphoric expressions must depend its reference on a potential antecedent only if there is one. Potential antecedents vary depending on types of anaphors and on languages. For an overt Korean anaphor caki, a potential antecedent is a more prominent third person NP. In English, more prominent coarguments constitute a group of a potential antecedent for anaphors. For a covert anaphor PRO in Korean, which is claimed to appear as a subject of a small clause with a numeral quantifier predicate, a potential antecedent is a countable NPs with a same Case feature. Since it is clear that we need the Prominence Principle for the interpretation of overt anaphors, in particular, for explanation of a clear-cut preference in interpretations of overt anaphors, employing the principle for the interpretation of covert anaphors does not add any extra burden in the theory of grammar. Rather, it unifies bifurcated discussions on two different anaphoric expressions into one.
    Apparently, the realm of this study seems too broad to capture. In fact, however, the contributions that we wish to offer in this study almost has a very simple point: First of all, it shows that if two closely related dependencies, that of an overt anaphor caki and that of a covert anaphor PRO, are taken together, it allows for a significant simplification of principles of anaphoric dependency. Second, we wish to emphasize that a purely syntactic account of anaphoric dependency brings us a serious undergeneralization, hence will not work. Third, an overgeralization problem that this sort of proposal can make is solved by proposed pragmatic principles that employ a notion of intervener and focus in interpretations of anaphoric expression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There are crucial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is study pinpoints problems in syntactocentric approaches to the account of anaphors: When it pursue parsimony in argument that sacrifices massive sets of data for derivational economy, it ignores a classic observation that the theory of anaphoric dependencies "involves a number of different factors: structural configurations, intrinsic properties of verbs, other semantic and pragmatic considerations." (Chomsky 1981: 78-79, cited by Culicover and Jackendoff 2001: 494). Hence, it shows that derivational constraints on anaphoric expressions in syntax need to be weakened, which obviously leads to overgeneration of some unacceptable anaphoric dependencies. This sort of overgeneration is covered by pragmatic conditions.
    Secondly, this study provides a criterion where proposed constraints can be legitimately violated. When there is no potential antecedent for a given anaphoric expression, its reference can rely on an otherwise unacceptable antecedent.
    Finally, the current proposal distinguishes unacceptabile interpretation from unpreferred one. Unacceptability, which is due to the violation of rules of syntax, remains constant regardless of the discourse context. In contrast, unpreferred interpretation that comes from violations of semantic and pragmatic principles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discourse context. Put another way, sentences that violate rules of semantics or pragmatics have unpreferred interpretations when they are produced out of the blue. However, they can become perfectly acceptable if the discourse context that strongly favors the given (unpreferred) interpretation is previously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deviance that comes from a violation of the syntactic rules stays constant regardless of the change of discourse context: Unacceptable interpretation cannot become acceptable no matter how we set up the discourse context for it. In other words, we need to check where the deviance comes from when we discuss the data.
  • 색인어
  • Binding Principle A, anaphoric expressions, caki, PRO, control, numeral quantifier, prominence hierarchy, preference in interpreta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