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411&local_id=10012263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 : 여성교육서와 음식조리서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 : 여성교육서와 음식조리서를 중심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백두현(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3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한글 필사본 자료 중 음식조리서와 여성교육서를 통해 조선시대의 여성들이 영위한 문자생활 양상을 조명해 보았다. 2장에서는 필자가 이 주제와 관련하여 수집한 문헌과 그 특징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필사본의 특성에 나타난 필사 관련 요소를 분석하고 그것이 갖는 의의를 논하였다. 그리고 한두 문헌의 사례를 들어 문헌 자료의 내용으로 본 문자생활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음식조리서와 여성교육서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양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검토 대상으로 삼은 음식조리서는 모두 30종이다. 음식조리서를 종합한 이성우 교수의 영인본에 실린 것이 17종이고, 필자가 새로 찾아내거나, 음식조리서로서 기존 보고서의 검토 대상에 포함된 것이 13종이다. 이 30종을 대상으로 필사 관련 요소를 분석하여 <표3>에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다룬 여성교육서는 간본이 7종이고 필사본이 29종이다. 이 중 필사본 25종을 대상으로 필사 관련 요소를 분석하여 <표4>에 제시하였다. 분석 대상에 넣은 필사 관련 요소는 저자, 필사자, 필사자수, 서문, 발문, 필사기, 독서기, 본문의 문자, 서명의 문자, 서체와 필사기 등으로 설정하였다. 이 항목들에 대하여 필사자가 남성인가 여성인가, 필사자가 몇 명인가, 서문과 발문이 있는가, 있다면 누가 썼는가, 필사기와 독서기가 있는가, 있다면 누가 쓴 것인가, 본문과 서명(書名)은 한글로 썼는가 한자로 썼는가, 서체와 필치는 어떠한가 등에 관한 사항을 각 문헌에서 분석하여 두 개의 표로 요약 제시하였다. 이어서 두 표에 나타난 주요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사용 문자의 종류에 따른 경향과 필치의 우열이 보여 주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음식조리서의 경우>
    한글 음식조리서 30종 중 <주방문>(규장각본), <온주법>, <주방문 초>는 책의 저술에 남성이 관여했음이 확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가정의 음식 조리를 여성이 주관한 만큼 이 책들의 저술에도 그 집안 여성들이 상당히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남성과 여성이 공동 참여한 문자생활의 결과가 음식조리서에 반영되었을 것으로 본다. 나머지 27책의 저술과 필사는 여성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음식조리서의 필사자 수를 보면, 1인 필사가 21종, 2인 필사가 6종, 3인 필사가 3종이다. 2-3인이 필사에 참여한 까닭은 필사 작업이 매우 고된 것이어서 작업의 고통을 분담한 결과이다. <윤씨음식법>의 권말 필사기에는 필사의 극난함과 아울러 삼대(조모, 시어머니, 며느리)가 함께 필사했음을 기록해 놓았다.
    음식조리서에는 서문이나 발문을 갖춘 것이 없다. 그 이유는 공간(公刊)을 염두에 두지 않은 여성 저술이기 때문이다. 여성이 저술을 남기는 것은 조선시대의 통념상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것이었다. 서문이나 발문은 없지만 간단한 필사기가 있는 것이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음식디미방>이다. 이 책의 필사기에는 딸들에게 한 당부 내용이 있어서 특이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음식조리서에는 필사 연대를 적은 정도의 필사기만 있다.
    여성교육서의 저술자는 남성이 많지만 여성이 직접 저술한 것으로 보이는 책도 있다. 필서자가 여성이 확실한 것은 <여계약언>, <고금여감>, <규곤의측>, <여학별록>이다. 나머지 필서자 미상 문헌들은 서체 혹은 필치로 볼 때 대부분 여성이 쓴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여성교육서의 저술자와 필서자를 서로 비교해 보면 성별에 의한 특성이 발견된다. 저술자는 남성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지만, 필서자는 여성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집안 혹은 친지들에게 전해져 온 서적을 보고 여성들이 전사하였기 때문이다.
  • 영문
  • A study of writing A study of writing life of women in Joseon period : centering around manuscripts of women educational books and cookery books written in Korean.

    I studied writing life of women in Joseon period from manuscripts of women educational books and cookery books written in Korean. The cookery books are thirty investigated in this paper and women educational books are twenty five. I analyzed these books from all sides and I discussed on some points. Is the writer(筆書者) is male or female How many is the writer Are there prefaces or epilogues If there are exist, who is writer Are there copy records or read records If there are exist, who is writer or copyer(筆書者) Had the text and title of these boo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or Hangul. How was handwriting style and stroke of the brush. I investigated the answers for above questions and arranged the research results in two tables. Subsequently, I discussed many kind of significances existed in two tables. These facts becoming clear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ase of cookery books
    It is clear that male participated in writing of three books among thirty books of cookery books. Twenty seven books the rest of thirty books had written by female. When it sees the copyer of the cookery books, one person copy is twenty one books, two person copy is six books and three person copyer is three. The cookery books have no preface or epilogue. The reason is because female writer did not consider public publishing. The preface or epilogue it is not but from time to time is a case which have the simple copy records.
    Chinese character were used in two books of cookery books. And the rests are wholey written in Hangul(Korean alphabet). The most cookery book did not used Chinese character in body text and book's title. There are only eight books used Chinese character in cover book name(표지서명) or opening page's book name(권두서명). It is an important feature that cookery books were used only by Hangul in the writing of book name.

    In case of women educational books
    The most writer(著述者) of women educational books are male, but there are some little books wroted by female. But most copyer of these books are female. When we compare the writer and the copyer of the women educational books, we able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 mark due to sex. Male had the overwhelming superiority in point of writer, but the female had the overwhelming superiority in point of copyer.
    In twenty five woman educational books, twenty two books were copied by one person, two books were copied by two person, one book were copied by three person.
    I analyzed these woman educational books in the viewpoint of number of copyer. And I found the books of one person copyer had overwhelming superiority, and men have overwhelming superiority than female in the respect of writer.
    I analyzed the letters used in body text of these twenty five books, I found such as that using pure-Hangul(순한글) is twenty books, using mixed style of Hangul and Chinese character is three books and using translation style of Korean and Chinese is only one book.
    Like generality Korean-translation-edition(諺解本) Chinese writing it lets before, the literature of the Korean-translation-Style(諺解體) method which puts the Korean alphabet which it translate after that the YEOSOHAK(女小學) which written by Park Moonho(박문호) only it is. When it tried to compare the cookery book and the women educational book from the side of use letter, the Chinese writing or Chinese character was plentifully used on latter, The reason is because the male participates to the manuscript and the write of the female education book plentifully.
    From 3 chapters it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cookery book and the women educational book from the side of letter life. To the cooking book only cooking method it knows that it writes the common sense which is necessary to a life is man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한글 필사본 자료 중 음식조리서와 여성교육서를 통해 조선시대의 여성들이 영위한 문자생활 양상을 조명하였다. 이 논문에서 검토 대상으로 삼은 음식조리서는 모두 30종이고, 여성교육서는 25종이다. 이 문헌들을 대상으로 필사자가 남성인가 여성인가, 필사자가 몇 명인가, 서문과 발문이 있는가, 있다면 누가 썼는가, 필사기와 독서기가 있는가, 있다면 누가 쓴 것인가, 본문과 서명(書名)은 한글로 썼는가 한자로 썼는가, 서체와 필치는 어떠한가 등에 관한 사항을 각 문헌에서 분석하여 두 개의 표로 요약 제시하였다. 이어서 두 표에 나타난 주요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문자생활의 여러 요소에 대해 논하였다. 이 논의에서 밝혀진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음식조리서의 경우>
    한글 음식조리서 30종 중 3종은 남성이 저술에 관여했음이 확실하다. 나머지 27종의 저술과 필사는 여성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음식조리서의 필사자 수를 보면, 1인 필사가 21종, 2인 필사가 6종, 3인 필사가 3종이다. 음식조리서에는 서문이나 발문을 갖춘 것이 없다. 그 이유는 공간(公刊)을 염두에 두지 않은 여성 저술이기 때문이다. 서문이나 발문은 없지만 간단한 필사기가 있는 것이 있다. 음식조리서 중 본문에 한자를 사용한 것은 2종이고 나머지는 모두 순한글로 되어 있다. 음식조리서에서 서명에 한자를 쓴 경우도 그 수가 적다. 권두서명이든 표지서명이든 한자를 쓴 것은 8종에 지나지 않는다. 책의 서명까지 한글로 적은 것은 음식조리서의 중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음식조리서의 서체를 보면 해서체가 13개, 흘림체가 10개, 반흘림체가 5개이고, 필치로 보면 달필체가 15개, 보통체가 14개, 소졸체가 1개이다.

    <여성교육서의 경우>
    여성교육서의 저술자는 남성이 많지만 여성이 직접 저술한 책도 있다. 그러나 여성이 쓴 것이 대부분이다. 여성교육서의 저술자와 필서자를 서로 비교해 보면 성별에 의한 특성이 발견된다. 저술자는 남성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지만, 필서자는 여성이 우세하다. 여성교육서 25종에서 필사자가 한 사람인 것이 22책, 두 사람인 것이 2책, 세 사람인 것은 1책으로 나타났다. 필사자 수의 관점으로 보면 한 책을 한 사람이 줄곧 쓴 경우가 압도적이다. 그리고 여성교육서는 음식조리서와 달리 남성 저술자가 압도적으로 많다. 여성교육서 25책 중 필사기가 있는 것이 21책이다. 필사기가 없는 책은 4책에 지나지 않는다. 본문의 사용 문자를 보면 여성교육서 25책 중 20책이 순한글체이고, 국한체가 3책, 언해체가 1책이다. 일반 언해본처럼 한문을 앞에 두고 그 뒤에 번역 언문을 놓는 언해체 방식의 문헌에는 박문호가 지은 <여소학>뿐이다. 사용 문자의 측면에서 음식조리서와 여성교육서를 비교해 보면 후자에서 한문 혹은 한자가 훨씬 더 많이 쓰였다. 그 까닭은 여성 교육서의 저술과 필사에 남성이 많이 관여했기 때문이다. 여성교육서의 서체를 보면 해서체로 쓴 책이 9개, 반흘림체가 8개, 흘림체가 7개, 흘림체와 해서체를 섞어 쓴 것이 1개이다.

    3장에서는 문자생활이라는 측면에서 음식조리서와 여성교육서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음식조리서에는 음식에 관한 내용뿐 아니라 가정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생활상식을 적은 것도 적지 않다. 그리고 <주방문> 등 일부 책에는 한글 가사(歌詞)나 오행법 등이 실린 것도 있다. 이런 양태는 여성교육서에도 나타나 있는데 편지 쓰는 양식, 상복 입는 법 등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과제의 수행 결과물은 학술적인 면과 사회교육적인 면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연구 결과물의 활용 방안과 기여도를 몇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과제를 통해 우리는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사에 대한 체계적 정보를 확보하여 이 방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본 과제의 결과물은 국어생활사 연구로 나아가는 초석이 되고, 여성생활사 연구의 한 축을 세우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과제는 지금까지의 국어사 연구에서 별 주목을 받지 못여성교육서를 정리함으로써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던 자료들을 국어사 연구 영역으로 끌어들이게 되었다.
    본 과제를 통해 밝혀진 정보는 과거의 편협하고 왜곡된 여성관을 바로 잡거나, 혹은 전통 여성교육과 오늘날의 그것을 연계하여 사회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여성교육서>에는 전통사회에서 여성들에게 요구되었던 윤리적 덕목은 물론 가정을 경영하는 방법,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이끌어 가는 방법, 아랫사람을 자애와 엄격함을 아우르며 다스리는 방법, 아기를 가진 임신부가 지켜야 할 덕목 등 태교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 본 과제는 이런 자료를 현대에 맞게 재가공하여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의 소재와 그 내용적 특징을 알려 줄 수 있다.
  • 색인어
  • 조선시대, 여성, 문자생활, 음식조리서, 여성교육서, 저술자, 필서자, 서체, 필치, 사용 문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