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413&local_id=10012213
전남 방언의 파생접미사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전남 방언의 파생접미사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기갑(국립목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3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3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전남 방언에서 형용사와 부사를 파생하는 접미사들의 형태와 기능을 기술한 것이다. 이들 접미사들은 모두 의미적 기능과 형태적 기능을 수행할 뿐, 정의적 기능을 수행한 것은 없었다. 명사 파생의 경우 ‘버르장머리’의 ‘머리’나 ‘멋대가리’의 ‘대가리’ 등은 순전히 말할이의 비하의 감정을 드러내는 정의적 접미사로 쓰였으나(이기갑 2005), 형용사나 부사 파생 접미사에서 이러한 정의적 접미사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점은 명사 파생 접미사와의 중요한 차이로 보인다. 다만 형용사 파생 접미사 가운데 ‘누리끼리하다’, ‘거무튀튀하다’ 등의 ‘-끼리-’나 ‘-튀튀-’ 등은 어기에 고유한 의미를 첨가하면서도 말할이의 부정적 감정(비아냥이나 못마땅함 등)을 부분적으로 드러내는 점에서 정의적 기능을 부분적으로 수행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된 내용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a) 전남 방언에서 의미적 기능을 수행하는 접미사 가운데 ‘-하-’, ‘-시롭-’, ‘-찹-’ 등이 기술되었다. ‘-하-’와 ‘-시롭-’은 현대 중앙어에서도 쓰이는 것이지만 ‘-찹-’은 중세어의 ‘-갑-’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현대 중앙어에서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 것인데, 전남 방언에 그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이다.
    (b) ‘-하-’는 어근에 직접 결합되기도 하고, 어근에 다른 접미사가 결합된 어기에 결합하기도 한다. 이처럼 ‘-하-’가 붙는 어기를 형성하는 접미사로 ‘-으막-’, ‘-직-’, ‘-드라-’ 등이 있는데 이들은 대체로 공간 형용사를 어근으로 한다. 이에 반해 ‘-지근-’, ‘-고롬-/-으롬-’, ‘-스름-’, ‘-콤-’ 등은 주로 상태 형용사를 어근으로 하는 것들이다. 이들 어기 형성 접미사들은 모두 중앙어에도 쓰이는 것이지만, 생산성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 즉 중앙어보다 더 생산적으로 쓰이는 어기 형성 접미사에는 ‘-으막-’, 중앙어보다 생산성이 낮은 접미사로는 ‘-드라-’, ‘-지근’ 등을 들 수 있다.
    (c) ‘-시롭-’은 중앙어의 ‘-스럽-’에 대응하는 의미적 접미사인데, 전남 방언에서는 중앙어에 비해 훨씬 생산적으로 쓰여 많은 경우 ‘-하-’를 대신해 쓰이기도 한다.
    (d) 전남 방언의 형태적 접미사에는 ‘-옵-’과 ‘-읍-’이 있는데, ‘-옵-’은 주로 전남의 서부 지역, 그리고 ‘-읍-’은 낱말에 따라 전남의 서남 해안 지역 또는 동부 지역에 나타나는 분포상의 특징을 갖는다.
    (e) 전남 방언의 부사 파생 접미사로 ‘-니’, ‘-이’, ‘-로’, ‘-껏’, ‘-씬’, ‘-씨’, ‘-나’, ‘-케’ 등을 설정하였다. 이 가운데 ‘-이’, ‘-로’, ‘-껏’ 등은 중앙어에서도 쓰이는 것이나 나머지 접미사들은 중앙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니’, ‘-씬’, ‘-씨’, ‘-케’ 등은 의미적 접미사로 기능하는 것이지만, ‘-이’, ‘-로’는 의미적 접미사와 형태적 접미사의 두 용법을 모두 갖는 것이다. 반면 ‘-나’는 오직 형태적 접미사로 쓰여 이 접미사가 없는 낱말(‘대체’, ‘전히’)과 접미사를 포함한 낱말(‘대체나’, ‘전히나’) 등이 아무런 의미 차이 없이 혼용되고 있다.
  • 영문
  • On the Derivational Suffixes in the Jeonnam Dialect of Korean(Ⅱ)
    - Adjectival and Adverbial Suffixes -

    Kigap Lee(Mokpo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examines adjectival and adverbial suffixes in the Jeonnam dialect. The main goal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l and functional differences of suffixes between the dialect and standard Korean.
    Most adjectival and adverbial suffixes of the dialect share the same meanings and forms with those of standard Korean. However, some suffixes show dialectal variations. First of all, the suffix '­chap­' forms spacial adjectives, which corresponds to the middle Korean '­gap­'. Having no semantic content, the suffixes '­op­' and '­p­' contribute to form the regional variants and divide the Jeonnam dialect into two sub­dialects.
    The suffix '­deuranha­' corresponding to '­daraha­' of standard Korean has many variants, among which '­danha­' has been developed from '­deuranha­' by the deletion of /eur/. Another variant '­deurakha­' or '­deuraksinha­' is different from '­deuranha-', as /k/ and /n/ alternate with each other. We can see the /k/ alternation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Jeonnam area.
    Many other adjectival suffixes including '­eumak­', '­jik­', '­jimak­', '­jigeun­', '­gorom­', '­seureum­', '­khom­', and '­sirop­' have the same forms of standard Korean, but differ in productivity. '­Jik­' and '­jigeun­' are less productive and '­sirop­' is more productive as compared with standard Korean.
    There are two uses of adverbial suffixes. While one is to add lexical or grammatical meanings to the roots, the other is to form adverbial variants without any semantic contribution. The adverbial suffixes '­i', '­ro' and '­na' have both uses, but '­ni', '­ssi' and '­khe' only exhibit the morphological function of word­formation, not semantic or grammatica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전남 방언에서 형용사와 부사를 파생하는 접미사들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각 접미사의 기능과 형태 등을 기술한 것이다. 이들 접미사들은 모두 의미적 기능과 형태적 기능을 수행할 뿐, 정의적 기능을 수행한 것은 없었다. 명사 파생의 경우 ‘버르장머리’의 ‘머리’나 ‘멋대가리’의 ‘대가리’ 등은 순전히 말할이의 비하의 감정을 드러내는 정의적 접미사로 쓰였으나(이기갑 2005), 형용사나 부사 파생 접미사에서 이러한 정의적 접미사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점은 명사 파생 접미사와의 중요한 차이로 보인다. 다만 형용사 파생 접미사 가운데 ‘누리끼리하다’, ‘거무튀튀하다’ 등의 ‘-끼리-’나 ‘-튀튀-’ 등은 어기에 고유한 의미를 첨가하면서도 말할이의 부정적 감정(비아냥이나 못마땅함 등)을 부분적으로 드러내는 점에서 정의적 기능을 부분적으로 수행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된 내용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a) 전남 방언에서 의미적 기능을 수행하는 접미사 가운데 ‘-하-’, ‘-시롭-’, ‘-찹-’ 등이 기술되었다. ‘-하-’와 ‘-시롭-’은 현대 중앙어에서도 쓰이는 것이지만 ‘-찹-’은 중세어의 ‘-갑-’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현대 중앙어에서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 것인데, 전남 방언에 그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이다.
    (b) ‘-하-’는 어근에 직접 결합되기도 하고, 어근에 다른 접미사가 결합된 어기에 결합하기도 한다. 이처럼 ‘-하-’가 붙는 어기를 형성하는 접미사로 ‘-으막-’, ‘-직-’, ‘-드라-’ 등이 있는데 이들은 대체로 공간 형용사를 어근으로 한다. 이에 반해 ‘-지근-’, ‘-고롬-/-으롬-’, ‘-스름-’, ‘-콤-’ 등은 주로 상태 형용사를 어근으로 하는 것들이다. 이들 어기 형성 접미사들은 모두 중앙어에도 쓰이는 것이지만, 생산성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 즉 중앙어보다 더 생산적으로 쓰이는 어기 형성 접미사에는 ‘-으막-’, 중앙어보다 생산성이 낮은 접미사로는 ‘-드라-’, ‘-지근’ 등을 들 수 있다.
    (c) ‘-시롭-’은 중앙어의 ‘-스럽-’에 대응하는 의미적 접미사인데, 전남 방언에서는 중앙어에 비해 훨씬 생산적으로 쓰여 많은 경우 ‘-하-’를 대신해 쓰이기도 한다.
    (d) 전남 방언의 형태적 접미사에는 ‘-옵-’과 ‘-읍-’이 있는데, ‘-옵-’은 주로 전남의 서부 지역, 그리고 ‘-읍-’은 낱말에 따라 전남의 서남 해안 지역 또는 동부 지역에 나타나는 분포상의 특징을 갖는다.
    (e) 전남 방언의 부사 파생 접미사로 ‘-니’, ‘-이’, ‘-로’, ‘-껏’, ‘-씬’, ‘-씨’, ‘-나’, ‘-케’ 등을 설정하였다. 이 가운데 ‘-이’, ‘-로’, ‘-껏’ 등은 중앙어에서도 쓰이는 것이나 나머지 접미사들은 중앙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니’, ‘-씬’, ‘-씨’, ‘-케’ 등은 의미적 접미사로 기능하는 것이지만, ‘-이’, ‘-로’는 의미적 접미사와 형태적 접미사의 두 용법을 모두 갖는 것이다. 반면 ‘-나’는 오직 형태적 접미사로 쓰여 이 접미사가 없는 낱말(‘대체’, ‘전히’)과 접미사를 포함한 낱말(‘대체나’, ‘전히나’) 등이 아무런 의미 차이 없이 혼용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전남방언의 파생어 체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2) 각 지역의 방언 사전을 편찬할 때, 이 연구에서 기술한 접미사의 목록은 참고될 수 있다.
  • 색인어
  • 방언, 전남방언, 파생접미사, 부사 파생접미사, 형용사 파생접미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