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423&local_id=10012350
세시풍속의 수용과 변모에 관한 연구 -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세시풍속의 수용과 변모에 관한 연구 - 『형초세시기』& #40;荊楚歲時記& #41;와 『동국세시기』& #40;東國歲時記& #41;의 사례를 중심으로 -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진경환(한국전통문화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5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동국세시기󰡕의 ‘중국 근거 찾기’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 후기 세시기 서술의 한 방식을 점검하고, 그 의미의 일단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동국세시기󰡕에서 찾아낸 ‘중국 근거’에 대해 다음 두 가지 범주를 설정해 검토하였다. 첫째, 󰡔동국세시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국 근거’가 분명하고도 확실하여, 중국의 세시풍속과 우리 세시풍속 간 수수․영향관계를 더 이상 새롭게 해명․확인할 필요가 없는 경우. 둘째, 󰡔동국세시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국 근거’와 우리 세시풍속 사이에 유사성과 함께 차별성이 존재하여, 양자의 영향관계는 일정하게 인정할 수 있을는지 모르지만, 일방적인 수수관계를 상정하기 어려운 경우.
    첫 번째 범주는, ‘우리 고유의 전통’이라는 관념에 입각해 현실을 호도․왜곡하는 일련의 움직임에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협소한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전체로 시야를 확대하고, 문화비교론적 시각에서 문제를 다시 돌아볼 것을 촉구하고 있다.
    두 번째 범주는, 대단히 실증적인 태도로 󰡔동국세시기󰡕를 서술한 홍석모가 일정 부분에서 인상비평적으로 접근․논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근거’가 명확한데도, 그것을 무시․간과하거나 이른바 ‘우리 고유의 뿌리’를 과장하는 시각도 문제지만, ‘우리 고유의 뿌리’가 분명함에도, 굳이 그 발생의 토대를 중국에서 찾아내려는 관점 역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비슷한 것을 유사하다고 말하지 않고, 구조나 행위의 일부 유사성에 착안하여 양자를 원형-모방 혹은 수수의 관계로 파악하는 두 번째 범주의 관점은, 전제가 모호하거나 논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일종의 비약 혹은 부회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해석을 통해, 동아시아 전체로 열린 시야를 확보해야 한다면서 ‘중국의 근거’를 현학적으로 강조하거나, 협소한 민족주의적 관점에 긴박되어 ‘우리의 것’을 공허하게 과장하는 풍토를 극복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 영문
  • The description-attitude and the meaning of 'Donggooksesigi'

    Jin, Kyoung-hwan

    This paper pursue the description-attitude and the meaning of 'finding the chinese base' of Donggooksesigi. The aspects of the 'finding the chinese base' are summarized in two categories. [1] Seasonal customs which the chinese base is certain, so that they have no use for confirmation of the relation of giving and receiving any more. [2] Seasonal customs which cannot suppose the relation of giving and receiving, though we recognize that relation.
    First category offer the chance of reflection in the movement of temporize and distort of the situation which is based on the idea of 'our peculiar tradition' and call upon looking back the probl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ultural comparison.
    Second category show that the editor who composed of 'Donggooksesigi' with the attitude of the verifying prove the articles in the manner of a certain impression. The standpoint of this category that understand the relation of giving and receiving having an eye on the a part similarity of the structure or action is a kind of a farfetched view.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동국세시기󰡕의 ‘중국 근거 찾기’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 후기 세시기 서술의 한 방식을 점검하고, 그 의미의 일단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동국세시기󰡕에서 찾아낸 ‘중국 근거’에 대해 다음 두 가지 범주를 설정해 검토하였다. 첫째, 󰡔동국세시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국 근거’가 분명하고도 확실하여, 중국의 세시풍속과 우리 세시풍속 간 수수․영향관계를 더 이상 새롭게 해명․확인할 필요가 없는 경우. 둘째, 󰡔동국세시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국 근거’와 우리 세시풍속 사이에 유사성과 함께 차별성이 존재하여, 양자의 영향관계는 일정하게 인정할 수 있을는지 모르지만, 일방적인 수수관계를 상정하기 어려운 경우.
    첫 번째 범주는, ‘우리 고유의 전통’이라는 관념에 입각해 현실을 호도․왜곡하는 일련의 움직임에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협소한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전체로 시야를 확대하고, 문화비교론적 시각에서 문제를 다시 돌아볼 것을 촉구하고 있다.
    두 번째 범주는, 대단히 실증적인 태도로 󰡔동국세시기󰡕를 서술한 홍석모가 일정 부분에서 인상비평적으로 접근․논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근거’가 명확한데도, 그것을 무시․간과하거나 이른바 ‘우리 고유의 뿌리’를 과장하는 시각도 문제지만, ‘우리 고유의 뿌리’가 분명함에도, 굳이 그 발생의 토대를 중국에서 찾아내려는 관점 역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비슷한 것을 유사하다고 말하지 않고, 구조나 행위의 일부 유사성에 착안하여 양자를 원형-모방 혹은 수수의 관계로 파악하는 두 번째 범주의 관점은, 전제가 모호하거나 논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일종의 비약 혹은 부회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해석을 통해, 동아시아 전체로 열린 시야를 확보해야 한다면서 ‘중국의 근거’를 현학적으로 강조하거나, 협소한 민족주의적 관점에 긴박되어 ‘우리의 것’을 공허하게 과장하는 풍토를 극복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 대표적인 세시기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동국세시기에 대한 전반적인 새로운 검토가 절실히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와 추후 지속될 후속 연구를 발판으로 세시풍속에 대한 기존의 잘못된 인식과 맹목적인 이해를 근본적으로 타파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장 시급한 과제는 동국세시기 원본 혹은 선본을 발굴하여 현행 조선광문회본의 오류를 바로잡고, 동국세시기에서 인용되고 있는 중국측 문헌 자료를 전반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충실한 번역본이 산출될 수 있다.
  • 색인어
  • 세시풍속, 세시기, 서술 태도, 중국 근거, 보편성과 고유성, 영향․수수관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