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earch by Achievements Type > Reports View
Reports Detailed Information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431&local_id=10011296
친일시의 계보
Reports NRF is supported by Research Projects(
친일시의 계보
|
2004 Year

|
박수연(충남대학교)

)
data is submitted to the
NRF Project Results
Researcher who has been awarded a research grant by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Support Program of NRF has to submit an end product within 6 months(* depend on the form of business)
- Researchers have entered th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NRF of Korea research support system
Project Number |
A00278 |
Year(selected) |
2004 Year
|
the present condition of Project |
종료 |
State of proposition |
재단승인 |
Completion Date |
2006년 05월 30일 |
Year type |
결과보고 |
Year(final report) |
2006년 |

Research Summary
-
Korean
-
일제말의 친일시는 세가지 계보로 구분된다. 국민문학파의 국민주의, 언어미학파의 순수서정주의, 프로문학파의 전체주의가 그것이다. 이들의 일제말의 세 소시기에 연결된다. 첫째는 일본의 중일전쟁에서 승리를 확정짓던 1938년의 시기, 둘째는 파리가 함락되고 중국 남 ...
일제말의 친일시는 세가지 계보로 구분된다. 국민문학파의 국민주의, 언어미학파의 순수서정주의, 프로문학파의 전체주의가 그것이다. 이들의 일제말의 세 소시기에 연결된다. 첫째는 일본의 중일전쟁에서 승리를 확정짓던 1938년의 시기, 둘째는 파리가 함락되고 중국 남경에 왕정위 정부가 들어서던 1940년의 신체제 시기, 셋째는 교토학파의 근대초극론이 부각되고 태평양전쟁이 일어나던 1941년말 이후의 시기이다. 친일시는 이 시기에 연동되면서 각각 특이한 시적 성격을 보여주었다. 이 성격들의 차이는 문학적 차이이면서 또한 그 차이를 형성시킨 지배적 요인들의 차이이기도 하다. 이 차이는 문학 그룹이나 그 그룹의 미적 이념에 대한 성찰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그 현상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
English
-
A pro-Japanese poetry at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were devided into three lineage. It were a group of national literature and nationalism, a pure lyricism and aesthete and a group of proletarian literature and totalitarianism. They correspo ...
A pro-Japanese poetry at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were devided into three lineage. It were a group of national literature and nationalism, a pure lyricism and aesthete and a group of proletarian literature and totalitarianism. They corresponded with a semi-peroid of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first was a victory of Japan at 1938 in the Chinese-Japanese War. The second was a new rule of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in 1940 after a formation of Wang Jingwei's regime and a collapse of Paris. The third was related the Pacific-War and the philosophy of Kyoto-School. So, Pro-Japanese Poetry are differentiate into inherent characteristics. This differences are literary difference and a difference of primary factor forming the characteristics also. The showing of this difference is possible when the reflection to the group of literary or a aesthetic idea of their. The object of this paper shall be reflection of that phenomenon.

Research result report
-
Abstract
-
일제말의 친일시는 세가지 계보로 구분된다. 국민문학파의 국민주의, 언어미학파의 순수서정주의, 프로문학파의 전체주의가 그것이다. 이들의 일제말의 세 소시기에 연결된다. 첫째는 일본의 중일전쟁에서 승리를 확정짓던 1938년의 시기, 둘째는 파리가 함락되고 중국 남 ...
일제말의 친일시는 세가지 계보로 구분된다. 국민문학파의 국민주의, 언어미학파의 순수서정주의, 프로문학파의 전체주의가 그것이다. 이들의 일제말의 세 소시기에 연결된다. 첫째는 일본의 중일전쟁에서 승리를 확정짓던 1938년의 시기, 둘째는 파리가 함락되고 중국 남경에 왕정위 정부가 들어서던 1940년의 신체제 시기, 셋째는 교토학파의 근대초극론이 부각되고 태평양전쟁이 일어나던 1941년말 이후의 시기이다. 친일시는 이 시기에 연동되면서 각각 특이한 시적 성격을 보여주었다. 이 성격들의 차이는 문학적 차이이면서 또한 그 차이를 형성시킨 지배적 요인들의 차이이기도 하다. 이 차이는 문학 그룹이나 그 그룹의 미적 이념에 대한 성찰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그 현상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
Research result and Utilization method
-
일제말 친일시의 계보를 살펴봄으로써, 당시 조선문학의 미적이념을 확인할 수 있다. 친일문학은 일제의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당대 문인들의 자발적이고 미적인 이념에 따른 문학활동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일제말의 대동아공영론이 근대초극론과 어 ...
일제말 친일시의 계보를 살펴봄으로써, 당시 조선문학의 미적이념을 확인할 수 있다. 친일문학은 일제의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당대 문인들의 자발적이고 미적인 이념에 따른 문학활동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일제말의 대동아공영론이 근대초극론과 어떻게 연결되고, 당시 지식인들이 그 이념의 역사적 전망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보여줌으로써 현재에도 여전히 문제적인 동서양의 대립적 인식 및 그것의 극복 방안을 검토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Index terms
-
친일시, 국민문학파, 국민주의, 순수서정주의, 프로문학파, 전체주의, 미적 이념, 중일전쟁, 신체제, 동아연맹,
-
Examination field of requesting this research issues( The ranking of possible field is up to 3rd place)
-
1Ranking :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시(국문학)
-
List of digital content of this reports
-
This document,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original author and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use copyrighted material for-profit
-
In addition , it does not allow the change or secondary writings of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