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473&local_id=10011407
기대한 평가유형, 창의적 인성이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기대한 평가유형, 창의적 인성이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혜숙(부산가톨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2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요약>
    본 연구는 창의성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평가와 창의적 수행 간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일반적 관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즉 ‘평가’가 통제적 측면으로서만이 아니라 형성적, 정보 제공적인 긍정적 측면으로 기대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기대의 유형을 4가지로 구분한 후, 각 평가 기대 유형과 창의적 문제해결 간의 관계를 분석,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 기대 유형의 조건을 4가지로 설정하고(개발적 자기평가, 개발적 타인평가, 일반적 평가(상대), 평가부재), 특성이 다른 여러 종류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제를 수행하도록 한 후 수행결과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창의적 과제수행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적용된 과제는 실생활의 창의적 능력을 반영할 수 있는 창의적 수행 발명과제, 창의적 수행 미술과제, 확산적 사고력검사와 창의적 인성검사, 성향검사 등이다. 해당영역 관련 분야 전문가들에게 평가를 의뢰하여 창의적 산출물에 대한 수행 결과를 평가하였다.
    4가지의 평가유형별 창의적 수행 관련 결과의 평균치를 비교한 결과, 평가부재(평가없음)나 상대평가를 기대한 집단의 경우보다 개발적 평가(자기/ 전문가)를 기대한 집단이 창의적 수행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집단별 평균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한 결과, 확산적 사고(독창성차원), 발명(실용성차원), 미술(독창성, 기교성), 성향(관심), 발명지식 차원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분석결과, 확산적 사고(독창성)의 경우 평가부재집단보다 개발적 평가를 기대한 집단인 자기평가와 전문가평가 기대 집단의 경우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 수행에 있어서 과제에 대한 지식 뿐 아니라 창의적 인성, 성향, 동기와 같은 정의적 특성들과 같은 관련 변인들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창의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복합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Lisrel 분석을 적용한 결과, 창의적 수행(발명)의 경우, 평가기대유형 변인과 창의적 활동경험 변인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창의적 인성 및 성향변인은 창의적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창의적 수행과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수행(미술)의 경우, 확산적 사고력과 미술에 대한 경험 및 지식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인성과 성향은 개인의 창의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창의적 산물의 수행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개발적 평가체제의 역할 및 인식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학생들의 창의적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적 조건과 상황적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학교가 창의성을 지원하는 풍토를 지닌 조직으로 개선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 영문
  • ABSTRACT

    This research disputes the opinions on the negative effect caused by the evaluation and the Creative performance, which is generally discussed in Creativity research.
    That is, to guide people to expect the evaluation in positive ways such as formative and informational, and not just controlling.

    This research classifies four assessment expected types. Then relationshipsbetween each assessment expected typ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analyzed and reviewed. In order to achieve this, four conditions were established for the assessment expected type: Developmental self-assessment, developmental assessment for others, general assessment, and no assessment. After the analysis, a varie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ssignme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carried out, which means of the results were compared. The tests applied in order to measure creative assignment performance ability are: creative product test (invent assignment) to reflect creative ability in real life; creative product (art assignment), divergent thinking ability test and creative personality test, and disposition test. The test results were assessed by the experts in each area to evaluate performance results of the creative products.

    When the mean value of the creative performance results per each four assessment type was compared, the case group that was expected to have no-assessment or norm-referenced evaluation showed lower scores in creative performance than the group expected to have developmental assessment (self/professional).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o validate the statistic reliability of the resulted average scores of each group. As a result, divergent thinking (originality level), invention (practicality level), art (originality, craftsmanship), tendency(interests), and invention knowledge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Scheffe test, developmental assessment expected group, that is, self-assessment and professional assessment expected group’s score was higher than the no-assessment group, in case of divergent thinking (originality).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d not only the knowledge of assignment in individual creative problem-solving assignment performance, but also the roles of the variable factors like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creative personality, tendency, and motive. Lisrel’s analysi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factors which affects in creative performance. As a result, variable factors such as assessment expected type and creative activity & experience proved to have direct influence in creative performance (invention). Although variable factors such as individual creative personality and tendency have important influence on creative efficacy, they did not appear to have direct effect on creative performance assessment. In case of creative performance (art), divergent thinking ability, art experience and knowledge had a great influence. Although creative personality and tendency have an influence on creative efficacy in individuals, they did not have direct effect on creative product.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ole of developmental evaluation system and change of recognition in school, and investigat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ituational elements which may maximize the students’ creative abilities in the hope that it may be of use in improving schools’ climate to support creativ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창의적 수행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조건과 환경적 지원 전략을 탐색하려는 데 있으며, 다양한 상황적 조건 중 특히 학교 장면에 초점을 두고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는 우리의 학교와 사회가 창의성을 지원하고 격려하는 문화와 풍토를 지닌 혁신적 조직으로 개선되는데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창의성과 평가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보면 창의적 수행과 성취에 있어서 평가의 역할은 평가적 행위가 평가 불안을 야기하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상황적 조건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러나 평가 활동이 제공할 수 있는 정보적 기능, 형성적 기능을 강조하는 일련의 활동들은 개인의 창의적 수행 증진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평가가 통제적인 측면으로 인식되지 않고 개인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개발적 기회로 인식될 수 있다면 창의적 수행에서 평가가 갖는 역효과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평가 유형을 기대하도록 제시한 후 개인의 창의적 능력의 개발과 향상을 유도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조건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적인 수행을 이해하기 위해서 상황적인 변인들의 여러 요소에 대한 수준과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과정에서 상황적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문제와 창의적 수행을 자극하는 여러 가지 중재 변인들의 가치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규명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관련 기술과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자신의 활동에 대한 평가와 분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그에 수반하는 개인의 창의적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인지를 확인하였다. 둘째, 창의적 인성과 성향과 같은 정의적 특성들과 창의적 활동 및 지식이 창의적 수행과 평가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의 문제를 분석한 결과, 4가지의 평가유형별 창의적 수행 관련 결과의 평균치를 비교에서, 평가부재나 상대평가를 기대한 집단의 경우보다 개발적 평가(자기, 전문가)를 기대한 집단들이 창의적 수행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집단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한 결과 확산적 사고(독창성차원), 창의적 수행과제 발명(실용성차원), 창의적 수행과제 미술(독창성, 기교성), 성향(관심), 발명지식 차원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분석결과, 확산적 사고(독창성)의 경우 평가부재 집단보다 개발적 평가를 기대한 자기평가와 전문가평가를 기대한 집단의 경우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Lisrel 분석 결과, 창의적 수행과제 발명의 경우, 평가기대 유형변인과 창의적 활동경험 변인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창의적 인성 및 성향변인은 창의적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창의적 수행과제의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수행과제 미술의 경우, 확산적 사고력과 미술에 대한 경험 및 지식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인성과 성향은 개인의 창의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창의적 산물의 수행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교나 조직 사회에서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평가 체제가 창의적 수행 증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규명하는 것은 실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창의적 수행에 있어서의 평가의 영향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 장면에서 개인의 수행 결과에 대한 평가 작업은 중요한 교육적 행위 중의 하나이지만 평가는 창의성에 있어서 역효과를 가져오는 부정적 상황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평가의 정보적 측면을 강조하는 개발적 평가의 경우 평가의 역기능적 측면(평가불안으로 창의적 수행에 방해가 되는)이 감소되고 오히려 개인의 창의적 수행을 증진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개발적 성격을 지닌 다양한 평가적 활동이 개인과 집단의 창의적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상황적 조건이 된다면 학교와 조직에서는 학생과 조직 구성원들에 대하여 그들의 다양한 과제와 작업 수행 그리고 일상적 활동들에 대해 개발적 평가를 수행하도록 권장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엄격하고 경쟁적인 측면에서 통제적 기능을 행사하는 평가 체제가 아닌 정보 제공적이고 지원적인 평가적 체제로 개선할 수 있는 자극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창의성, 창의적 수행, 평가, 창의적 인성, 창의적 성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