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479&local_id=10011645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의 성과와 발전방안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의 성과와 발전방안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강병수(충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67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 소장, 입주기업, 그리고 졸업기업을 대상으로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주요내용은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의 소장, 입주기업, 졸업기업의 특성 파악과 창업보육센터의 주요 성과지표인 입주 및 졸업기업의 지역경제 기여도,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의 질과 효과성, 입주 및 졸업기업의 성공적 육성과 기술상업화 지원, 입주 및 졸업기업의 지역착근과 네트워크 지원 등이었다.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의 각 주요 성과 항목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입주기업과 졸업기업, 선형모형 창업기업과 비선형모형 창업기업, 그리고 기업 R&D혁신 창업기업과 대학 및 연구소R&D혁신 창업기업을 비교하여 성과요인을 도출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explored performances of the business incubators in Daejeon concentrating on managers of business incubators, tenants, and graduate companies. The study analysed four primary subjects as the leading outcome indices of the business incubators : 1) the characteristics of incubator managers, tenants, and graduates, 2) the contribution of tenants and graduates to regional economy, 3)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business incubator's support services, 4) successful nurturing service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pport for tenants and graduates, and 5) support activities for taking root in Daejeon of tenants and graduates and for forming their networks with community. In the process of analyzing each staple result of business incubators in Daejeon, the performance factors were derived from comparing tenant and graduates, start-ups on the linear model and the non-linear model, and start-ups on the R&D innovation in corporation and the R&D innovation in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tute. Lastly, the study suggested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business incubators in Daeje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 소장, 입주기업, 그리고 졸업기업을 대상으로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주요내용은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의 소장, 입주기업, 졸업기업의 특성 파악과 창업보육센터의 주요 성과지표인 입주 및 졸업기업의 지역경제 기여도,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의 질과 효과성, 입주 및 졸업기업의 성공적 육성과 기술상업화 지원, 입주 및 졸업기업의 지역착근과 네트워크 지원 등이었다.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의 각 주요 성과 항목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입주기업과 졸업기업, 선형모형 창업기업과 비선형모형 창업기업, 그리고 기업 R&D혁신 창업기업과 대학 및 연구소R&D혁신 창업기업을 비교하여 성과요인을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br>
    첫째, 창업보육센터 소장의 자격과 역할의 정립이다. 소장의 경우 공공기관과 연구기관 출신이 대부분이고 겸직이 과반수를 넘어 기술상업화의 비전문가일 뿐만 아니라 창업보육센터의 운영에 전념하지도 않는다.<br>
    둘째, 지원 창업규모의 설정이다. 졸업기업은 창업시 고용자수(6.2명)가 입주기업의 창업시 고용자수(3.9명)를 크게 상회한다. 이것은 창업시 기업의 한계고용규모를 넘을수록 창업 벤처기업의 성공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입주기업 선정시 업종별 한계고용규모를 파악하여 선정기준의 하나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다.<br>
    셋째, 지원서비스를 모형별로 평가하였다. 졸업기업의 만족도 분석 결과, 더 이상 저임대료 및 공용서비스라는 창업보육센터의 전통적인 지원서비스로는 기술기반 벤처기업의 육성에 한계가 나타났다. 또 기업 연구개발 창업기업과 대학 및 연구소 연구개발 창업기업의 창업보육센터 서비스에 대한 평가에서도 나타났다. 두 종류의 창업기업 모두 창업보육센터의 기본적 서비스에 만족하고 있지만 창업보육센터의 다른 지원서비스에 대해서는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떨어진다. 이것은 연구개발 혁신을 이용한 창업기업에게는 지원서비스의 효과성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br>
    넷째, 기술상업화기능 강화에 대한 모형별 차이점을 밝혔다. 입주기업의 부도원인이 주로 기술상업화 노하우임이 밝혀졌다. 그리고 선형모형 벤처기업, 기업 연구개발 창업기업, 대학 및 연구소 연구개발 창업기업이 비선형 창업기업보다 기술상업화 기능의 지원과 보완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다섯째, 벤처기업의 지역착근과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졸업기업이 원하는 벤처기업지원 정책의 마련과 대학과 연구소의 기술과 지원을 편리하게 받을 수 있는 기구 설치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입주기업이 졸업하여 지역착근을 시도할 경우 창업보육센터가 지속적으로 네트워크 경로의 형성을 지원해야 할 뿐만 아니라 창업보육센터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금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에서 구축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br>
    여섯째, 졸업기업의 사후관리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개발 혁신을 이용한 창업 입주기업의 수는 많으나 졸업하여 생존하는 기업의 수(6.3%)는 현저히 감소하므로 효과적인 졸업기업 사후관리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br>

    2) 활용방안<br>
    창업보육센터의 성과라는 측면에서 대학이나 연구소의 기술상업화 지원, 창업보육센터의 목적 달성도, 지역경제에의 기여도 등이 구체적으로 규명되어 우리나라 창업보육센터의 이론적 발전에 토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우리나라에 태동하고 있는 지역경제개발이론의 한 영역으로 창업보육센터의 학술적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br>
    또한 대학이나 연구소의 기술상업화 측면에서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의 성과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라 그 동안 창업보육센터의 설립과 운영에 대해 낭비라는 비판과 지역경제에 기여하고 기술상업화의 주요 기제라는 긍정적인 인식에 대한 해답을 주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향후 대전지역 및 우리나라 창업보육센터의 정책방향은 목표, 성과, 지역경제와의 관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수립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br>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기술상업화의 유형과 전략에 따라 창업보육센터를 일률적으로 지원하기보다는 선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또한 창업보육센터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br>
    대학이나 연구소에서도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기술상업화 전략과 창업보육센터의 설립 및 운영이 어느 정도 대학이나 연구소에 효과적인 지를 인식하게 될 것이며, 기술상업화 기능을 심도 있게 갖춘 창업보육센터 운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br>
    창업보육센터의 운영 및 지원기관의 입장에서도 창업보육센터의 유형에 따라 입주기업에게 유효한 기술상업화 도구를 파악하게 될 것이며 이전보다 훨씬 유용한 창업보육센터 운영전략을 제공하게 되었다. <br>
  • 색인어
  • 창업보육센터, 벤처기업, 입주기업, 졸업기업, 선형모형, 비선형모형, 기업R&D혁신, 대학 및 연구소R&D혁신 business incubator, business venture, tenant, graduate, linear model, nonlinear model, R&D innovation in corporation, innovation in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tut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