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496&local_id=10011618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과 한계에 관한 고찰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과 한계에 관한 고찰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염지숙(건국대학교 GLOCAL& #40;글로컬& #41;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3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내러티브 탐구가 질적 연구의 다양한 방법들 가운데 하나로서 그 인식론적 배경, 개념, 방법 및 고려 사항 등에 대해 소개된 것은 Connelly와 Clandinin(1990)이 함께 쓴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라는 논문을 통해서이다. 그 논문은 내러티브 탐구가 질적 연구 방법론의 한 형태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그리고 정당화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후 지난 15년간 내러티브 탐구는 국․내외의 질적 연구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Clandinin과 Connelly(2004)는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규율 없는 사용이 앞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한 좋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Connelly와 Clandinin이 개념화한 내러티브 탐구를 한국의 교육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내러티브’와 ‘내러티브 탐구’의 차이를 언급하였다. 내러티브는 문헌에서 일반적이고 다양하게 사용되는 용어를 의미하며 내러티브 탐구는 시간성(temporality), 사회적 상황(sociality), 장소(place),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등의 특성을 지닌 특정 방법론을 지칭한다.
    그 다음으로 교육과정, 교사교육, 페미니스트연구, 카운슬링, 유아교육, 원주민 연구, 교육행정, 간호학, 예술치료 등의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한 국․내외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러한 연구들이 내러티브 탐구로서 지니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국외연구들은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참여자와 연구자의 이야기가 구성된 반면,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은 그렇지 못했다.
    내러티브 탐구를 교육연구에 적용할 때 생길 수 있는 딜레마로 연령이나 직위에 따른 위계질서, 연구자와 참여자가 자신을 완전히 개방하고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 참여자의 이야기를 연구자가 다시이야기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의 국내 적용을 위해, 우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대한 적극적인 소개와 연구자들의 참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글쓰기는 지적인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 둘 다를 포함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장르에서 여러 형태의 글쓰기로 구성된 연구 텍스트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연구텍스트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연구자와 참여자의 협력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러티브 탐구에서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 영문
  •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narrative inquiry was addressed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narrative. Then, an overview of the studies that have used narrative inquiry in different areas in Korea as well as in North America wias provided.
    The purpose of reviewing research conducted with narrative inquiry in North America is to help readers gain insight into how and why narrative inquiry has been used with those topics in particular research areas through the exemplars and eventually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narrative inquiry.
    The purpose of introducing studies having used narrative inquiry in Korea i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e of narrative inquir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field in Korea and to pursue what should be done to encourage researchers interested in narrative inquiry.
    Finally, in order to aide future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relate dilemmas researchers might encounter while conducting narrative inquiry and point out possibilities for future application.
    For the future of narrative inquiry in Korea, this study suggest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fields of research applying narrative inquiry must be expanded and diversified. Due to the short history of narrative inquiry in Korea, research with narrative inquiry has been limited to only certain academic areas. Narrative inquirers need to positively and actively introduce and inform qualitative researchers how to use narrative inquiry and why narrative inquiry needs to be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so that narrative inquiry can be widely used in different areas of educational research. Additionally, narrative inquirers must raise questions and investigate the phenomena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not only intellectually but also emotionally. Therefore, writing in narrative inquiry has to maintain both academic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Narrative inquirers are required to experiment with different forms of research texts employing various writing genres in order to make the most of the Korean language's characteristics. Also, narrative inquirers have to position themselves with their participants withi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his means that in narrative inquiry,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s are crucial. Narrative inquirers should pose question to themselves during the entire process of inquiry as to what truly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participants really are.
    It was expected that this study helped us to become aware of what we, as educators and researchers, have had done for our children, schools, and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내러티브 탐구가 질적 연구의 다양한 방법들 가운데 하나로서 그 인식론적 배경, 개념, 방법 및 고려 사항 등에 대해 소개된 것은 Connelly와 Clandinin(1990)이 함께 쓴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라는 논문을 통해서이다. 그 논문은 내러티브 탐구가 질적 연구 방법론의 한 형태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그리고 정당화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후 지난 15년간 내러티브 탐구는 국․내외의 질적 연구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Clandinin과 Connelly(2004)는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규율 없는 사용이 앞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한 좋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Connelly와 Clandinin이 개념화한 내러티브 탐구를 한국의 교육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내러티브’와 ‘내러티브 탐구’의 차이를 언급하였다. 내러티브는 문헌에서 일반적이고 다양하게 사용되는 용어를 의미하며 내러티브 탐구는 시간성(temporality), 사회적 상황(sociality), 장소(place),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등의 특성을 지닌 특정 방법론을 지칭한다.
    그 다음으로 교육과정, 교사교육, 페미니스트연구, 카운슬링, 유아교육, 원주민 연구, 교육행정, 간호학, 예술치료 등의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한 국․내외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러한 연구들이 내러티브 탐구로서 지니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국외연구들은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참여자와 연구자의 이야기가 구성된 반면,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은 그렇지 못했다.
    내러티브 탐구를 교육연구에 적용할 때 생길 수 있는 딜레마로 연령이나 직위에 따른 위계질서, 연구자와 참여자가 자신을 완전히 개방하고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 참여자의 이야기를 연구자가 다시이야기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의 국내 적용을 위해, 우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대한 적극적인 소개와 연구자들의 참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글쓰기는 지적인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 둘 다를 포함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장르에서 여러 형태의 글쓰기로 구성된 연구 텍스트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 안에서 연구텍스트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연구자와 참여자의 협력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러티브 탐구에서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국내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활성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범위가 확장되고 다양화되어야 한다.
    2. 연구자가 지적이며 정서적인 연구주에에 관심을 갖고 탐구함으로써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글쓰기가 학문적일 뿐 아니라 정서적 특성을 반영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3. 내러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을 고려한 글쓰기와 함께 다양한 장르의 글쓰기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활용방안
    1.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한 형태인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킴으로써 국내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질적연구에 대한 관심을 더 높이고 질적연구를 통한 연구 수행을 촉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2.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의 특성인 구성요소들과 연구 사례는 내러티브 탐구에 생소한 초보 연구자들의 연구 수행에 도움을 줄 것이다.
    3.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질적 교육연구에서 다양한 방법론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시사해 줄 것이다.
  • 색인어
  • 내러티브,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 탐구에서 삼차원적 공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