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498&local_id=10012149
유아교육법 시행을 위한 기초 연구 - 유치원 운영 실태 평가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유아교육법 시행을 위한 기초 연구 - 유치원 운영 실태 평가를 중심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대균(배재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4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1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유아교육법 시행에 따른 유치원 운영실태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평가지표 및 평가체제를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으로 전국의 공사립 유치원을 무선 표집하여 표집된 1,500명의 교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73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지표는 물리적 환경, 교육과정, 운영관리, 유아의 영양ㆍ 건강ㆍ 안전, 교직원,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6개 영역에 86개 항목으로 각 항목당 5점, 10점, 15점, 20점의 가중치를 달리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평가체제로는 평가전문 국가기관이 평가를 주관하고 모든 유치원을 대상으로 하며 3년의 평가주기로 자체평가와 외부평가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3명의 평가단이 하루 동안 현장을 방문하고 평가결과는 최우수/우수/인정/조건부인정/불인정의 5단계로 구분하며 평가결과는 일정 수준 이상만 공개하고 평가결과의 활용은 유치원의 자율적인 질관리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aluation guideline and evaluation system for operation realties evaluation of kindergartens based on enforc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Data were collected from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from all part of the country via random sampling survey. Replies were provided by 1,500 subjects, representing an effective response were 737 surveys. A 10 point Likert scale was used for the 86 questions.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d six sections regarding physical environment, curriculum, management states, children's nutrition, health and security, faculty and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local community. The results show that evaluation system performs self-evaluation and outside-evaluation simultaneously to every kindergarten via three appraisers' a day visiting and period of evaluation is three years. The evaluation result divides into 5 levels (Excellent, good, approval, conditional approval, disapproval) which open above regular average and participants want to apply evaluation result to for autonomous quality management in kindergarte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A Preliminary Study for Enforc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 The Focusing on the Operation Realities Evaluation of Kindergart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aluation guideline and evaluation system for operation realties evaluation of kindergartens based on enforc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Data were collected from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from all part of the country via random sampling survey. Replies were provided by 1,500 subjects, representing an effective response were 737 surveys. A 10 point Likert scale was used for the 86 questions.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d six sections regarding physical environment, curriculum, management states, children's nutrition, health and security, faculty and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local community. The results show that evaluation system performs self-evaluation and outside-evaluation simultaneously to every kindergarten via three appraisers' a day visiting and period of evaluation is three years. The evaluation result divides into 5 levels (Excellent, good, approval, conditional approval, disapproval) which open above regular average and participants want to apply evaluation result to for autonomous quality management in kindergarten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운영실태 평가를 위한 평가 지표 구성에 있어서, 기관의 설립 목적과 성격이 뚜렷하게 다른 유치원과 보육시설 모두를 동일한 하나의 평가 지표로 평가하기 보다는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각기 다른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유치원 운영실태의 수준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평가 항목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부여한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가중치의 부여 과정에 있어서는 현장 교원들의 의견과 유아교육 전문가의 의견이 모두 반영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평가 주관 기관으로는 국가의 위탁을 받은 기관이나 민간 전문 단체보다는 영국의 OFSTED와 같은 평가전문 국가기관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 설문 결과 교육청에 대한 선호도도 높게 나왔으나 유치원에 대한 감독 책임이 있는 교육청이 평가할 경우 보다 냉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기 때문이다.
    넷째, 평가 유형(절차)에 있어서는 자체평가와 외부평가를 모두 실시해야 한다. 현장의 교원들의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듯이 자체평가는 유치원의 교직원들이 자기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이해와 질적 수준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자체 점검할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이다.
    다섯째, 평가 결과의 구분에 있어서는 현장 교원들의 인식 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최우수/우수/인정/조건부 인정/불인정의 5단계 구분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100이 아니면 0이 되는 2단계 평가 결과 구분보다는 5단계 평가 구분이 유치원의 운영실태에 개선 노력에 필요한 정보를 보다 많이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평가 결과의 공개 방법에 있어서는 일정 수준 이상만 공개하는 것이 모두 공개하는 것보다 유치원 운영 실태 평가에 대한 현장의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이 제도의 안정된 정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열심히 노력하고도 부정적인 결과가 공개된다면 현장의 교원들의 사기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일곱째, 평가 결과 활용 방법에 있어서는 점진적인 방법을 취하는 게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현장 교원들이 운영 실태 평가를 받아본 적이 없어 이에 대한 불안감이 높기 때문에 운영실태 평가의 초기 단계에서는 현장의 교원들이 원하는 바와 같이 질관리를 위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고 대부분의 유치원이 일정 수준 이상의 질적 수준에 이르렀을 때 재정 지원 등의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등의 특성을 반영한 보다 세분화된 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학급 수의 규모에 따라서 세분화된 평가 지표가 필요하며,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성격과 특성을 반영한 평가 지표의 개발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유아교육법(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운영실태 평가(operation realities evaluation) 평가체제(evaluation system) 평가지표(evaluation scal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