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517&local_id=10012361
중등 중견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 변화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중등 중견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 변화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오영재(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5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중견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의 변화양상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과 경기지역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40대 남여 교사 15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5년 6월부터 동년 8월말까지였다. 주요 연구방법은 집단면접과 자기보고서 작성이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등 중견교사들의 삶의 과정에는 교과형, 인성형, 조직형, 업무형, 투쟁형, 유유형, 자기형, 승진형, 소진형 등 아홉 가지 정도의 교직발달유형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40대, 교직경력 15-25년 사이의 중견교사로 성장하기까지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은 교직경력 약 3.9년의 주기로 평균 4.8번 정도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 중견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이 크게 약 4-5년의 주기로 3-4번의 변화를 경험하는 중기변화형과 2-3년의 주기로 5-7번의 변화를 경험하는 단기변화형 두 가지 유형으로 출현하고 있었으며, 단기변화형이 중기변화형에 비해 약 1.5배 정도 많았다.
    넷째,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은 교직입문 후 1-2년 기간은 교과형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입문 후 3-12년 기간 동안에는 학교발전과 주어진 업무에 헌신하는 조직형 및 업무형과 아이들을 잘 가르치는데 주력하는 교과형 및 교육체제의 변화를 위한 투쟁형 등으로, 입문 후 약 12-13년 이후에는 승진형, 인성형, 유유형으로 분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은 순차적으로 발달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기해 나가지만 같은 유형이 다시 출현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일종의 순차적 복합분기형으로 발달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직발달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교사들의 교직발달을 반복 순환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과는 사뭇 다른 내용이어서 주목된다.
    여섯째, 긍정적인 유형으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학생, 연수 등 자기계발, 학교 관리자의 요구 등 세 가지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방향으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가정요인, 학교관리자 요인, 학생요인, 외부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교사들의 경우에 임신, 출산, 육아 요인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부분 자기형, 유유형, 소진형 등 부정적인 유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학문적인 측면이다. 교사발달연구에 있어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교직발달유형을 찾아낸 다음 그 유형들을 적용한 질적 접근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는 연구방법 면에서 하나의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교육정책 및 학교경영의 측면이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정책 및 학교경영의 측면에서 중등교사들의 인사관리와 전문성개발 정책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의 변화양상과 그 영향요인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교사들의 삶에 대한 이해, 교사들에 대한 지원, 교직단계별 동기부여 방법, 학교행정가의 역할 수행, 학교개선의 방향, 학교문화변화의 교사들에 대한 지원, 교직단계별 동기부여 방법, 학교행정가의 역할 수행, 학교개선의 방향, 학교문화변화의 전략, 교원인사정책 수립 등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 영문
  • ABSTRACT

    A Case Study on The Changing Aspects of Teaching Profession Developmental Style of Secondary Experienced Teachers

    Oh, Young-Ja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aspects of teaching profession developmental style of secondary experienced teachers. Major research methods were collective interview and teachers self-reporting method. Research periods was from July to August in 2005.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Nine teaching profession developmental styles such as subject teaching-centered style, student personalty guiding-centered style, organizational contribution oriented style, immersing in administrative duties style, struggling for school system change style, living free from worldly cares style, self-centered style, promotion oriented style, and burnout style were appeared. Second, The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d teaching profession developmental styles change on the average 4.8 years in a cycle of 3.9 years. Third, Two styles such as the middle-term change style and the short-term change style were appeared. Forth, teaching profession developmental styles of secondary teachers was orderly developed, and continually diverging to diverse styles, but few style reappeared. Put another words, teaching profession developmental styles of secondary teachers in Korea were developed as linearly but complexly diverging style.

    Key Words : Secondary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developmental style, Middle -term change and short-term change styl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 중견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 변화 양상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40대, 교직경력 15-25년 사이의 15명의 중등교사들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6월말부터 동년 8월초까지였다. 주요 연구방법은 집단면접과 자기보고서 작성이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계별 연속형과 유형론을 통합한 새로운 접근을 통해 중등교사들에게서 볼 수 있는 아홉 가지의 교직발달유형을 찾아내고, 그 유형을 중기변화형과 단기변화형으로 구분하여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 변화의 빈도, 양상, 영향요인 등을 밝히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등 중견교사들의 삶의 과정에는 교과형, 인성형, 조직형, 업무형, 투쟁형, 유유형, 자기형, 승진형, 소진형 등 아홉 가지 정도의 교직발달유형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40대, 교직경력 15-25년 사이의 중견교사로 성장하기까지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은 교직경력 약 3.9년의 주기로 평균 4.8번 정도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 중견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이 크게 약 4-5년의 주기로 3-4번의 변화를 경험하는 중기변화형과 2-3년의 주기로 5-7번의 변화를 경험하는 단기변화형 두 가지 유형으로 출현하고 있었으며, 단기변화형이 중기변화형에 비해 약 1.5배 정도 많았다.
    넷째,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은 교직입문 후 1-2년 기간은 교과형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입문 후 3-12년 기간 동안에는 학교발전과 주어진 업무에 헌신하는 조직형 및 업무형과 아이들을 잘 가르치는데 주력하는 교과형 및 교육체제의 변화를 위한 투쟁형 등으로, 입문 후 약 12-13년 이후에는 승진형, 인성형, 유유형으로 분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입문 후 약 10년 정도는 대체로 아이들 교과교육과 학교조직 발전을 위해 노력하지만, 12-13년 정도가 지나면 승진과 인성지도에 관심을 보이거나 유유자적하며 지내는 유형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교직 입문 후 약 2-3년이 경과한 시기부터 교직경력 약 16-17년 기간에 걸쳐 소진형이 간헐적으로 출현하고 있는 점이 특기하다.
    다섯째,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은 순차적으로 발달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기해 나가지만 같은 유형이 다시 출현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일종의 순차적 복합분기형으로 발달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직발달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교사들의 교직발달을 반복 순환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과는 사뭇 다른 내용이어서 주목된다.
    여섯째, 긍정적인 유형으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크게 학생, 연수 등 자기계발, 학교 관리자의 요구 등 세 가지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방향으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가정요인, 학교관리자 요인, 학생요인, 외부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교사들의 경우에 임신, 출산, 육아 요인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부분 자기형, 유유형, 소진형 등 부정적인 유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학문적인 측면이다. 교사발달연구에 있어 단계별 연속형적 관점과 유형론적 관점을 함께 고려한 통합적 접근을 통하여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교직발달유형을 찾아내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결과와 현장 교사들과의 집단면접을 통해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을 도출한 다음 그 유형들을 적용한 질적 접근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는 연구방법 면에서 하나의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교육정책 및 학교경영의 측면이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정책 및 학교경영의 측면에서 중등교사들의 인사관리와 전문성개발 정책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중등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의 변화양상과 그 영향요인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교사들의 삶에 대한 이해, 교사들에 대한 지원, 교직단계별 동기부여 방법, 학교행정가의 역할 수행, 학교개선의 방향, 학교문화변화의 전략, 교원인사정책 수립 등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교직 입문초기의 교과형이 교직 경력이 길어지면서 소멸되는 반면 행정적인 일이나 승진 그리고 가정 중심적인 유형이 많아지는 경향은 교육공간으로서의 학교의 기능을 생각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다. 교직경력이 길어지면서 교과형이 소멸되는 원인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함께 교과형이 지속 내지는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교사 및 학교행정가들에 대한 연수, 평가, 승진제도 확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 변화 빈도와 근무한 단위학교 수간에 일정한 관련이 있어 보이는 바, 본 연구에서 밝혀진 아홉 가지 교직발달유형을 적용하여 교사들이 재직하는 단위학교의 수준과 유형 혹은 근무지역과 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일은 우리나라 교사들의 교직발달유형을 이해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후속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중등교사, 중견교사, 교직발달, 질적 연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